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32 views205 pages

(2020)

지자체 관광경쟁력 진단지표 개선연구(2020) 최종보고서

Uploaded by

JaeseongHwa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32 views205 pages

(2020)

지자체 관광경쟁력 진단지표 개선연구(2020) 최종보고서

Uploaded by

JaeseongHwang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205

지자체 관광경쟁력진단체계

개선 연구

2020. 04.
< 목 차 >

Ⅰ 연구 배경 및 내용 ·······································································································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 배경 ··························································································································· 1
2. 연구 목적 ·························································································································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 6
1. 연구 범위 ··························································································································· 6
2. 연구 내용 ··························································································································· 6
3. 연구 방법 ··························································································································· 8
제3절 연구 추진 체계 ················································································································ 9
1. 연구 추진 과정 ················································································································· 9
2. 연구 추진 일정 ··············································································································· 10

Ⅱ 관광패러다임 변화와 관광개념 확장 ······································································· 11


제1절 관광 및 관광산업의 변화 ··························································································· 11
1. 관광의 의미 변화 ······································································································· 11
2. 관광생태계의 변화 ······································································································ 15
3. 시사점 ······························································································································ 21
제2절 관광의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4
1. 관광 패러다임 변화의 배경 ·························································································· 24
2. 정책지원에 따른 사회적 관광 대두 ············································································· 28
3. 관광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고찰 ··················································································· 33
4. 시사점 ······························································································································ 38

Ⅲ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및 지역관광발전지수 비교 검토 ············································ 41


제1절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이해 ······················································································ 41
1.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개념 및 목적 ········································································· 41
2.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 지표체계 ············································································· 43
3. 자료수집 방법 ··············································································································· 50
4. 지역의 유형화 ··············································································································· 51
5. 지역관광경쟁력지수 평가 ···························································································· 54
제2절 지역관광발전지수 ········································································································· 56
1. 지역관광발전지수 ·········································································································· 56
2. 지역관광발전지수 지표 체계 ······················································································· 57
3. 자료수집 방법 ··············································································································· 59
4. 지역관광발전지수 평가 ································································································ 60
제3절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및 지역관광발전지수 검토를 통한 시사점 ··························· 61

Ⅳ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재정립 ······················································································ 65


제1절 경쟁력 개념의 검토 ······································································································· 65
1. 국가경쟁력의 의미 ········································································································ 65
2. 국가경쟁력 개념의 시사점 ·························································································· 66
제2절 관광경쟁력 개념의 검토 ······························································································· 67
1. 관광경쟁력의 의미 ········································································································ 67
2. 관광경쟁력 논의의 시사점 ·························································································· 68
제3절 관광경쟁력 개념의 재정립 ··························································································· 69
1. 관광에서 상생의 중요성 ······························································································ 69
2. 상생 관광과 지속가능성 ································································································ 72
3. 기존 지표와 상생지표의 비교 ······················································································· 73
제4절 ‘지역관광상생지표’ 개발에 대한 시사점 ····································································· 74

Ⅴ 지역관광 상생지표 ······································································································· 76


제1절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기본방향 ···················································································· 76
제2절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틀 ······························································································· 78
1. 상생지표의 전반적인 개요 ···························································································· 78
2. 상생지표의 구성 요소와 지표 항목 ············································································· 80
3. 지역관광상생을 위한 관광생태계 지도 ········································································ 89
제3절 지역관광상생지표 체계 및 세부내용 ·········································································· 93
1. 지역관광상생지표 체계 ·································································································· 93
2. 지역관광상생지표 세부내용 ·························································································· 96
3. 기존 관광경쟁력지표와의 비교 ··················································································· 173
제4절 지표 산출 결과 예시 ·································································································· 181
1. 관광체류일수(내국인/외국인) ······················································································ 183
2. 관광고용 기여도 및 OTA 적용 숙박업소 ································································ 184
3. 환경체감도, 강력범죄 발생건수, 지역주민 삶의 질 ················································ 185
Ⅳ 연구 활용 및 제언 ···································································································· 186
제1절 지표의 활용방안 ·········································································································· 186
1. 지방자치단체의 활용방안 ···························································································· 186
2. 중앙 정부의 활용방안 ·································································································· 187
3. 한국 관광공사의 활용방안 ·························································································· 188
제2절 주제모듈 및 크로스커팅 이슈 개발 ·········································································· 189
1. 주제모듈 개발의 필요성 ······························································································ 189
2. 크로스커팅 이슈 개발의 필요성 ················································································· 192
제3절 스마트 투어리즘 지표 개발 제안 ·············································································· 193

[ 참고자료 ] ·································································································································· 195


<표 차례>

<표 1> 연구 추진 일정 ··············································································································· 10


<표 2> 4차 산업혁명과 관광산업의 변화 ················································································· 21
<표 3> 「관광진흥법」상 관광산업 구분 ····················································································· 35
<표 4> 지역관광경쟁력 지표체계 ······························································································· 44
<표 5> 관광정책 지표체계 ············································································································ 46
<표 6> 관광자원집적 지표체계 ·································································································· 47
<표 7> 관광수요촉진 지표체계 ···································································································· 48
<표 8> 포용적성장 지표체계 ········································································································ 48
<표 9> 관광성과 지표체계 ·········································································································· 49
<표 10>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 정성 지표 ········································································· 50
<표 11> 선행연구의 지역 유형화 비교 ······················································································· 51
<표 12> 관광경쟁력지수 지역 유형화 ························································································· 53
<표 13> 지역관광발전지수 지표체계 ························································································· 57
<표 14> 관광 거버넌스의 지표 항목 ························································································ 80
<표 15> 관광자원 매력도의 지표 항목 ····················································································· 81
<표 16> 관광산업 역량의 지표 항목 ························································································ 83
<표 17> 관광성과의 지표 항목 ···································································································· 85
<표 18>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의 지표 항목 ··········································································· 87
<표 19> 지역관광상생지표와 기존 지표 비교 ········································································· 94
<표 20> 지역관광상생지표 구성 ·································································································· 95
<표 21> 지역관광상생지표 – 거버넌스 부문 지표 목록 ························································ 97
<표 22>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자원매력도 부문 지표 목록 ············································· 105
<표 23>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산업역량 부문 지표 목록 ················································ 116
<표 24>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성과 부문 지표 목록 ························································ 137
<표 25>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부문 지표 목록 ································· 156
<표 26> 대분류 체계 개편 ········································································································· 173
<표 27> 지역관광상생 세부지표와 기존 지표 비교 ······························································ 174
<표 28> ‘거버넌스’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 175
<표 29> ‘관광자원매력도’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 176
<표 30> ‘관광산업역량’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 177
<표 31> ‘관광성과’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 179
<표 32>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 180
<표 33> 전주시 –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지표별 변화추이 분석 ······································· 182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 추진 과정 ··············································································································· 9
[그림 2] 외래관광객의 여행 전 정보 입수 경로 ······································································· 16
[그림 3] 외래관광객의 여행 중 정보 입수 경로 ······································································· 16
[그림 4] 내국인 관광객의 해외여행형태 선호 ········································································· 18
[그림 5] 외래관광객의 여행형태 선호 ························································································· 18
[그림 6] 관광의 경계 파괴 및 융복합관광의 등장 ···································································· 20
[그림 7] 사회적 가치로서의 공정관광 ························································································· 27
[그림 8]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체계 ···························································································· 42
[그림 9]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모형) ···················································································· 45
[그림 10] 지역의 유형화 과정 및 구분 ···················································································· 52
[그림 11] 지역 관광경쟁력 유형화 구분 ···················································································· 53
[그림 12] 기존 지표의 비교 검토를 통한 지표개발 방향성 제시 ········································· 64
[그림 13]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기본방향 ··················································································· 76
[그림 14]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틀 ······························································································ 79
[그림 15] 지역관광상생을 위한 관광생태계 지도 구축 ···························································· 92
[그림 16] 최종 지역관광상생지표의 구성 ··················································································· 93
[그림 17] 지역관광상생지표 – 거버넌스 부문 구성 ································································· 97
[그림 18]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자원매력도 부문 구성 ·················································· 105
[그림 19]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산업역량 부문 구성 ···················································· 116
[그림 20]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성과 부문 구성 ························································· 137
[그림 21]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부문 구성 ······································ 156
[그림 22]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1) ··················································································· 183
[그림 23]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2) ··················································································· 184
[그림 24]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 (3) ··················································································· 185
[그림 25] 주제 모듈 개발 절차 ································································································· 190
[그림 26] 연구진 제안 주제 모듈 체계도 ················································································ 191
Ⅰ 연구 배경 및 내용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한국 사회의 비약적인 경제 성장과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여가 향유의 차원에서 관광의 중요성이 증대함. 관광이 대중화, 고급화,
다양화하면서 국내 관광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특히 국민의 여행 경험률,
여행 횟수, 여행 일수 등이 모두 양적으로 증가함. 지역 관광 인프라의 성장과
지역 차별화 전략에 힘입어 외국인 관광객 수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 미래에 대한 준비나 타인을 위한 희생 대신 현재 자신이 즐길 수 있는 행복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욜로(YOLO: You Only Live Once)족 등장, 일과 생활(Life)의
균형(Work-Life Balance) 중시 등으로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하였음

 2018년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어 노동시간이 주당 최대 68시간에서 주당


52시간으로 단축되었고, 근로자휴가지원제가 도입되어 여행 캠페인 등 적극적인
국내 여행 분위기가 조성되고 관광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

 저소득층, 영유아 가족, 돌봄제공자, 장애인, 시니어 등 관광 소외 계층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면서 문화복지 차원에서 관광이 활발해짐

지역간 또는 도시-농촌간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에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지역관광에 대한 기대가 상승함

 전반적인 저성장의 기조 속에서 고용지표 악화, 지역기반 산업 침체 등


지역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관광이 지역경제 회복과 지역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짐

 세계여행관광협회(2018)에 따르면 세계 GDP에 대한 관광의 직접적인 기여도는

- 1 -
2.8억 달러(전체 GDP의 약 3.7%), 일자리에 대한 직접적인 기여도는 1억
2,289만개(전체 고용의 약 3.8%)로 추정됨. 이렇듯 관광이 국가와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짐

 최근 외국인과 내국인의 여행 증가로 관광산업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지만,


그 효과가 지역으로까지는 확산하지 못하고 있음

­관광객이 서울, 경기 이외의 여러 지역을 방문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지역특화콘텐츠 발굴, 지역관광 거점 조성 등 지역관광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

­현재와 같은 천편일률적인 지역 관광 인프라 확대와 관광 콘텐츠로는 수도권


중심의 관광산업 집중 구조를 벗어나기 어려우며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역 관광 산업 육성 전략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함

대중관광과 관광개발의 문제점

 관광산업이 부가가치가 높고 외화획득이 다른 분야 산업보다 용이하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국가는 관광산업을 지원 및 육성하는 정책을 펼치고, 관광시설과
기능의 표준화를 기할 수 있게 됨

 하지만 외부 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은 지역주민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자연과 자원을 착취하는 등 관광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하고 환경 훼손을 초래함

 아울러 획일화된 개발은 지역의 정체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지역관광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음. 이로 인해 관광객은 질 낮은 관광을 경험하고 다시는 해당
지역을 찾지 않는 악순환이 발생함

 대중관광의 오버투어리즘은 관광지를 중심으로 소음, 쓰레기, 주차난, 주택가격


상승 등을 유발하여, 지역주민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일상생활을 위협함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탈리아 베네치아, 서울 이화 벽화마을 등 일부 관광지의


주민을 중심으로 관광객의 방문을 반대하는 反관광운동이 발생하여 관광객의
접근을 막거나 거부하는 상황이 발생함

­지역의 관광 활성화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아내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 2 -
 지역의 자연환경, 풍습, 역사 등을 보전하는 가운데 적절히 활용하여 질적으로
수준 높은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함

지속가능한 관광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의미함

 경제적 지속가능성: 가급적 외부자본을 배제하고 내부의 지역자본으로


경제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관광이 지역을 경제적으로 번영시킬 수 있도록
기여함

 환경적 지속가능성: 관광 개발은 필수불가결한 생태계의 유지, 생물다양성의


존중, 생태자원과 양립할 수 있는 개발을 해야 하며, 관광은 생태적 보존을
담보하고 생물학적 다양성과 지원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실행됨

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감을 높이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을 존중하고, 관광으로 인해 지역의 문화가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역의 고유성을 유지, 강화하면서 발전함

 지속가능한 관광은 대규모 대중관광에서 나타나는 지역의 혼잡, 물리적 환경 및


역사적 자연자원의 훼손, 문화적 정체성의 상실, 지역주민 간 적대감 유발, 개발
주체 간 협력 결여, 매력자원 부족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유용함

기존 관광 연구의 한계

 전통적 관광산업의 한계와 관광 트렌드 변화를 포착하지 못함. 이 같은 한계


안에서 만들어지는 관광 패러다임과 관광 정책은 지역 관광에 내재한 문제들을
재생산하는 결과를 초래함

 관광 트렌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관광의 구성 요소인 주체-객체-매개체의


의미와 범위를 확장한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이 필요함

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해서는 개발의 장·단기적 영향을 고려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역관광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과 지역
특수성과 고유성을 반영한 관광 거버넌스의 실행이라 할 수 있음

- 3 -
기존의 관광통계 및 지표의 한계점

 관광객 숫자, 관광 매출액 등 관광 총량을 파악하는데 머물러 있고, 관광객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관광행태 분석과 관광객이 관광 과정에서 느끼는 심리적,
감정적 만족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 관광객의 관광행위 및 관광산업개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지역사회와 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대한 고려가 없음

 과학기술/ICT의 발전으로 인터넷, 모바일, 공유경제 등 관광산업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조사와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지역관광상생지표체계 제시

 지역관광의 실태를 진단하고 그에 따라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표체계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함. 기존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는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문화관광연구원의
지역관광발전지수를 보완하고 창조적으로 개편하는 것이 필요함

 특히 경쟁력 기준으로 각 지역을 일률적으로 줄 세워 지역에 맞지 않는 차별성


없는 관광을 양산하는 것을 지양해야 함

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하고 지역관광 매력도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경쟁력을 유지하며,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지역관광을 창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며, 그 출발이 이
연구에서 제시하려는 “지역관광상생지표체계”라 할 수 있음

- 4 -
2. 연구 목적

기존 지역관광 진단체계 재검토

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문화관광연구원의 지역관광발전지수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와 지표 항목에 대한 검토 필요함. 같은 주제를 가지고 서로
다른 기관에서 작성한 두 지표체계의 중복은 불가피함

 다만 두 지표체계 모두 관광산업과 관광객 향유 측면에서 작성되기 때문에


지역관광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이 사실임. 이 관점에서
중복되는 지표들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함. 이는 두 지표체계에
동시에 수록된 지표들일수록 과거 패러다임의 영향권 아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 본 연구는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가 가진 장점을 최대한


수용하고 상호보완될 수 있는 진단체계로 개선함으로써 지표 항목 측정을 위한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관광 현황을 다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새로운 지역관광 진단체계의 구축

 기존의 진단체계로 지역관광 경쟁력을 평가하고 향상하는 시도를 했을 경우


지역의 고유성을 잃고 천편일률적인 관광자원개발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큼

 본 연구는 지역관광 경쟁력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전통적 관광의 틀에서 벗어나 관광의 주체-객체-매개체를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측정하는 진단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본 연구는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차별화된 관광자원을 개발하고 다차원적이고


미래 지향적 지속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체계를 구축할 것을 목적으로 함

- 5 -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범위

공간적 범위

 전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시간적 범위

 기준 연도: 2020년

2. 연구 내용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관광의 개념적 확장

 대중관광에 대한 비판과 최근 관광행태의 변화 양상에 대한 이론적 검토

 4차 산업혁명 및 ICT/테크놀러지의 발전에 따른 융복합 관광산업의 발전 등


관광산업 생태계 변화에 대한 이론적 검토

 기존의 관광시스템, 즉 관광 주체-객체-매개체의 개념과 범위 확장의 필요성에


대한 검토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및 지역관광발전지수 비교분석

 기존의 지역관광 관련 지수 진단체계 및 지표에 대한 비교 분석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문제점 및 개선점 도출

- 6 -
지역관광경쟁력 개념의 재정립

 관광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는 관광의 구성 요소의 확장

 공급자 관점에서 벗어나 관광의 주체를 중심으로 하는 관점이 반영된 새로운


개념을 정립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형 및 지표의 수정과 보완

 새로운 관광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형 개발

 지역관광발전지수와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발전지수 조사결과 활용

 지표 개념 및 의의, 산출 방법 등이 포함된 지표정의서 작성

 일부 산출이 가능한 지표에 대한 예시 제공

중장기 지역관광경쟁력 진단 발전 방향 제언

 새로운 진단모형 및 지표를 기반으로 중앙정부, 지자체, 관광공사가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새로운 진단모형을 기반으로 한 주제모듈 개발을 통해 관광을 통한 지역의 상생


및 미래상 제시

 복잡하고 급변하는 관광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주제 발굴 및 진단지표 개발


제시

- 7 -
3.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지자체관광수용태세 경쟁력 진단(2010-2017) 연구와 지역관광경쟁력


지수 구축 및 진단(2017-2019)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체계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것을 그 출발점으로 삼음

 먼저, 유사한 주제를 다룬 연구보고서, 실태조사보고서, 관련 홈페이지, 언론


보도 등 관광경쟁력과 관련된 문헌을 연구하여, 기존 지표체계에서 활용한
관광통계 및 지표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함

 최근의 관광 트렌드 변화와 관광 패러다임을 반영한 새로운 지역관광 경쟁력


개념에 기반하는 진단체계의 프레임을 제시하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하위
요소들의 개념과 의미를 설명함

 관광 관련 실태조사, 행정자료, 빅데이터 등 풍부한 관광 데이터 발굴 및 수집


등을 통해서 진단체계의 프레임 및 구성 요소를 객관적, 실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항목을 구성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지표 항목의 수정 및 보완하고,
신규 지표 항목을 개발함

 보완한 지표체계를 활용하여 특정 지역의 데이터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경쟁력을 개략적으로 시산함

- 8 -
제3절 연구 추진 체계

1. 연구 추진 과정

관광의 개념 및 관광통계  관광산업 현황 및 산업 분류


오버뷰  관광 지표 및 통계의 특성

 경쟁력 관련 이론적 논의 검토
지역관광경쟁력 관련
 관광경쟁력 관련 이론적 논의 검토
이론적 고찰 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관련 검토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의미와 특성 분석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의미와 특성 분석
지역관광발전지수 비교분석 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비교분석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및  경쟁력 개념과 범위의 확정


범위 확정  지역관광 진단체계 수정.보완

 지표 항목 수정 및 보완 및 산출
지표 항목 산출 및 시산  신규 지표 항목 개발 및 산출
 새로운 진단모형에 기반한 시산: 특정 지역 예시

활용 방안 및 향후 과제
 중장기 지역관광 진단 발전을 위한 제언
제시

[그림 1] 연구 추진 과정

- 9 -
2. 연구 추진 일정

<표 1> 연구 추진 일정

1월 2월 3월 4월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
비교분석
지역관광경쟁력 관련
이론적 고찰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및 범위
확정

지역관광경쟁력 산출 가능한
지표 산출

진단 프로세스에 대한 제언

중간보고서 작성 및
보고회

중간보고회 피드백 반영

최종보고서 작성 및 보고회

- 10 -
Ⅱ 관광패러다임 변화와 관광개념 확장

제1절 관광 및 관광산업의 변화

1. 관광의 의미 변화

1) 관광의 정의

관광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며, 각기 해당 시기와 사회의 가치와 여건을 반영

 과거에는 거주지를 떠난다는 것 자체가 중요하였으나 점차적으로 관광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나 활동에 주목하는 경향

 관광의 발전은 교통의 발달로 물리적 이동이 편리해지면서 관광산업의 발전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 단체여행을 조직하는 여행사, 여행의 상품화, 여행
관련 업종의 등장으로 대중관광 시대가 도래

관광이란 생활권역(일상의 루틴)에서 벗어나서 ‘독특하고’ ‘차별화된’ 체험이


가능한 ‘매력적인’ 공간을 방문하여 일정한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화

 여행의 일상화, 일상의 여행화 현상은 새로운 관광행위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특성

 여행은 즐거운 불편한 느낌을 줌. 여행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기억에 남는


경험을 위해서 떠나는 행위를 의미

주요 학자들을 통해 본 관광의 정의

 보르만(Bormann)은“직장에 통근하는 것과 같이 정기적인 왕래를 제외하고 휴양


목적이나 유람, 비즈니스, 행사 참여 등과 같은 이유때문에 거주지를 일시적으로
떠나는 여행”이라고 정의

- 11 -
 오길비(Ogilvie)는“다시 돌아올 의사를 가지고 1년 이상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거주지에서 취득한 금전을 소비하며 거주지를 떠나있는 사람”으로
관광객을 정의

 매타이슨과 월(Mathieson & Wall)은 관광을“평소의 생활권(거주지 또는


근무지)을 벗어나서 비일상적인 공간으로의 이동, 그리고 여행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관광지에서 시설 또는 서비스 제공을 거치는 과정”이라고
정의

 맥킨토시 등(McIntosh, Goldner & Ritchie)은 “방문객을 유치하고 접대하는


과정에서 관광객, 관광기업, 관광지의 정부, 지역사회 등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과 관계들의 총체”라고 정의

 세계관광기구(UNWTO)에 따르면“관광은 여가, 사업 및 기타 목적으로 1년


미만의 기간 동안 비일상적인 곳에서 여행하고 체재하는 사람들의 활동”임

2) 전통적 관광의 특성

대중관광시대의 도래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중교통수단의 발달, 교통기관의 설비능력 개선으로


대량수송체계를 갖추게 되고, 전후 경제회복과 뒤이은 고도성장으로 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대중에 의한 대중관광(Mass Tourism) 시대를 맞이하게 됨

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긴장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욕구 증가, 노동시간의


단축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대, 자연으로 도피하고 싶은 욕구 증가 등도
대중관광의 조류에 일조함

 각국은 자국의 경제력 회복을 위해 필요한 외화획득의 수단으로서 국제관광을


중시하게 되었고, 국가 정책 차원에서 관광 산업을 육성하고 외국인이 머물기
편하고 즐기기에 매력적인 장소들을 제공하면서 세계적으로 국제 관광수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 12 -
대중관광의 문제점

 대중관광은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단순히 관람/구경하는 표준화된 방식이므로


관광객의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활동 참여가 어렵고 지역사회와 자연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해도를 높일 기회를 갖기 어려움

 대중관광은 남들과는 다른 차별적이고 세분화된 관광경험을 찾으려는 관광객의


욕구 변화에 맞지 않아서 관광객의 만족도를 떨어뜨림

 대중관광은 사회문화적, 환경적인 측면에서 관광지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관광지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였음

3) 탈근대 관광의 특성

유릴리(Uriely)가 규정한 탈근대 관광

 근대의 핵심적인 가치인 합리성, 과학적 사고, 보편성, 객관성, 효율성 등에 대한


회의에서 탈근대는 다양성, 다원성, 불확실성, 우연성, 해체 등의 가치를 중시함

 탈근대 관광은 다수를 만족시키는 보편타당성이 아니라 개인이 가진 다양성과


특수성을 강조하면서 개인의 관광경험을 각자의 배경, 동기, 욕구에 기반한
독특한 의미 구성으로 봄

 탈근대 관광의 특성은 다음의 4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됨

일상과 관광의 구분이 모호해짐

 매스미디어 발달, 기술의 발전으로 일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관광경험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물리적 여행을 통한 일상으로부터의 벗어남의 의미는 중요하지
않게 됨

 이러한 특성을 래쉬와 우리(Lash & Urry)는“관광의 종말(The End of


Tourism)”로 표현하였고, 문트(Munt)는“모든 것이 관광이다(Everything is
Tourim)”라고 설명함

- 13 -
관광경험의 형태가 다양화

 관광객은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추구하므로 기존의 단체관광/패키지관광에서


제공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관광활동에 대한 욕구를 가짐

 관광객은 보편적 경험보다는 각자가 원하는 관광경험을 하기 위해서 개별관광,


배낭여행 등으로 관광의 형태를 바꾸고 있음

관광의 대상보다 관광객에게 초점이 맞춰짐

 관광을 이해하는 방식이 공급자적 측면에서 소비자적 측면으로 변화하였는데,


과거에는 관광산업이 제공하는 관광현상이 중요한 요소였다면 이제는 관광객의
주체성이 중요해 짐

 같은 관광대상이어도 관광객은 저마다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모든


관광객을 만족시키는 관광대상이 아니라 관광객에게 독창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관광을 개발해야 함

관광현상에 대한 상대적인 해석을 추구함

 관광과 관광객에 대해서 단정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맥락을


포함하여 이해해야 함

 동일한 관광대상, 관광과정일지라도 각각의 관광객이 실제로 얻는 경험과


만족감은 다를 수 있으며,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함

탈근대 관광과 새로운 지표체계

 개인이 가진 다양성과 특수성, 그리고 개별적 체험과 해석을 중시하는 탈근대


관광으로의 전환을 일정 부분 수용할 수 있는 지표체계의 구성과 지표의 선정이
중요한 것은 그러한 전환이 향후 더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임

 지역관광의 경쟁력과 지속가능발전을 모니터링해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지표체계의 본령을 생각할 때 탈근대 관광 추세를 반영하는 것은
빠르게 변하고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지역관광 특성상 반드시 필요한 과업임

- 14 -
2. 관광생태계의 변화

1) 디지털 관광의 등장

여행의 디지털화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관광산업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메가트렌드 분석」에서 2040년까지 관광산업을 변화시킬 거대한 흐름으로
여행객 수요의 변화, 지속가능한 관광 성장, 기술 진보, 여행 이동성 증대 등을
언급

 이 보고서는 디지털 경제, 자동화와 인공지능, 블록체인,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 기술의 진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더욱 저렴하게 즐기고 효율적이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분석

 최근의 관광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OTA(Online Travel Agency) 활용이 급증하여


온라인 검색 및 예약 비중이 높아지면서 매끄럽게 연결된 여정을 특징으로 하는
관광으로 변화하고 있음

관광 정보 획득의 인터넷 의존 심화

 디지털 플랫폼의 활성화 등에 따른 소비자들의 정보 탐색 및 의사결정 등의


과정에서 디지털의 역할 중요성이 확대됨

­「외래관광객실태조사」(2020)에 따르면 외래관광객이 한국 여행 전에 정보를


입수한 경로는 ‘친지.친구.동료’50.9%, ‘글로벌 인터넷사이트/앱’ 48.9%,
‘자국의 인터넷사이트/앱’ 4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에 대한 의존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

- 15 -
[그림 2] 외래관광객의 여행 전 정보 입수 경로
* 출처: 「외래관광객실태조사」(2020)

­또한 외래관광객이 여행 중에 정보를 얻는 출처는 ‘인터넷(스마트폰)’


81.2%, ‘인터넷(노트북/테블릿)’33.9%, ‘친구.친지’30.4%로 인터넷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그림 3] 외래관광객의 여행 중 정보 입수 경로

* 출처: 「외래관광객실태조사」(2020)

- 16 -
2) 빅테이터 중요성

스마트 관광

 관광산업은 온라인 및 모바일 기기 등이 활성화된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음

 관광정보 습득, 여행계획 수립, 관광상품 구매 등에 있어서 온라인 및 모바일


활용이 증가

­여행 시작 전부터 구글이나 트립어드바이저 같은 메타서치를 통해 관광


동기의 지각이 이루어져 여행을 결정하면 OTA 또는 TMCs 등을 통해서
여행에 필요한 예약을 수행

 정보탐색 및 교통, 숙박, 체험 등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모바일 기반


서비스인 우버, 에어비앤비 같은 새로운 플랫폼이 활발하게 이용되는 등
밸류체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관광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음.
특히 민간의 스마트 플랫폼 활용이 중요한 추세

빅데이터의 중요성

 영역 간의 경계가 불분명한 특성상 관광분야에서는 기존의 공인통계 외에


새로운 관광성과를 측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 시의성 및 객관성을 바탕으로 한 정책적 활용 측면에서 통신사(이동 데이터),


카드사(매출 데이터), 네비게이션(검색 정보) 등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

 기존 지표체계의 통계가 갖는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써 빅데이터 활용 도입이


필요

- 17 -
3) 개별화되는 관광

개별관광의 증가

 여행사를 통한 단체 패키지여행에서 개별 FIT여행으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데,


관광객들은 일정을 주도적으로 관리하며 직접 체험을 통해 색다른 경험을 하는
것을 선호

 내국인의 해외여행에서는 개별여행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반면 단체


패키지 여행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음

[그림 4] 내국인 관광객의 해외여행형태 선호


* 출처: 삼정KPMG(2018)

 「외래관광객실태조사」(2020)에서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의


여행행태는‘개별여행’이 79.9%로 ‘단체여행’이나 ‘에어텔투어’보다
압도적으로 높으며, 내국인보다 개별여행 선호도가 훨씬 높음

[그림 5] 외래관광객의 여행형태 선호


* 출처: 「외래관광객실태조사」(2020)

- 18 -
4) 여행의 일상화, 일상의 여행화

여행의 일상화, 일상의 여행화

 The end of Tourism: 전통적인 관광의 종료, 그리고 관광산업만으로 접근할


경우 더 이상 관광산업을 파악할 수 없는 가능성이 열림

 Everything is Tourism: ‘모든 것이 관광이다’의 의미는 관광지, 관광산업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표현함

 식도락 등 지역맛집 찾기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유투버, 인플루언서 등


SNS 채널 활용이 증대

지역주민과의 관계의 중요성

 관광의 주체로서 관광객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지역주민에 대한 진단이 필요해짐

 제주 “해녀의 부엌”은 해녀와 함께 하는 극장식 레스토랑으로서 제주 해녀


다이닝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체험형 콘텐츠 프로그램
­해녀의 삶을 이야기하는 연극, 해녀가 들려주는 제철 해산물 이야기, 해녀가
채취한 해산물을 활용한 해녀밥삽 등을 소개하고 판매

 일본 호시노 리조트 그룹에서 개발한 OMO5 오모레인저 투어는 호텔 내


리셉션에서 지역민이 운영하는 상점 등을 결합한 다양한 투어를 진행
­레트로 감성과 로컬 여행이 결합한 무료 워크(walk) 투어에서부터 1000엔
투어까지 진행하는 현지 지역 연계 투어임

여행취향의 존중

 여행경력 패턴의 증가에 의해서 여행 취향 존중 시대가 도래

 여행방송을 중심으로 관광객들에게 덜 알려진 숨겨진 명소 등을 찾는 내용에


관심이 증대

 여행이 일상화되어 여행에 대한 취향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 19 -
여행경력이 쌓여가면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지역관광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성 대두

5) 관광의 경계 파괴 및 융복합

관광의 경계 파괴 및 융복합관광의 등장

 관광산업은 산업구분이 명확하고 제한적인(closed system) 타산업과 다르게 타


산업에 대해 개방적이고(open system) 조합과 융합이 활발함

[그림 6] 관광의 경계 파괴 및 융복합관광의 등장

 관광산업은 점차 다른 산업과의 연계가 활발해지고 확장하는 추세로 타 산업과


관광의 경계는 사라지고 있음. 이에 따라 산업간 융복합 관광산업이 활성화될
전망

­도시관광의 경우를 보면, 단순히 관광뿐만 아니라 교통, 공원, 쇼핑, 비즈니스,
건물, 문화적 엔터테인먼트 등이 모두 관광산업이 될 수 있음

­마이스(MICE) 산업은 거대한 규모와 1인당 높은 소비 비용으로 지역사회에


고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해 관광산업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지만, 서울을
제외하고 지역전략산업으로 육성되지는 못하고 있음

- 20 -
3. 시사점

관광산업의 혁신 지향

 4차 산업혁명의 확산에 따른 관광산업의 판도 변화에 조응하고, 다양한 관광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하며,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관광산업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

 이종 기술 및 산업간 결합을 통해 관광객이 새로운 경험과 창의적인 관광


활동을 할 수 있는 관광벤처업이 도입되고 있음

 기존 산업의 틀을 파괴하고 비물질적 경제를 경제적 영역으로 포섭하는


공유경제형 관광이 확산하고 있음

<표 2> 4차 산업혁명과 관광산업의 변화

관광산업의 변화

 이종 기술 및 산업간 결합을 통해 신기술, 신시장 출현


초융합  공유경제 기반 교통, 숙박 등 개별서비스 연계 영역에서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 등장

 D&A를 통한 관광객 패턴 변화 진단
초지능
 플랫폼 연계를 통한 개별화된 맞춤형 여행 서비스 제공

 사람, 사물 간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관광산업 생태계에서 플랫폼


초연결 경제가 새로운 가치창출 기반으로 부상
 OTA의 시장규모 확대 및 가치 성장

* 출처: 삼정KPMG(2018)

- 21 -
융복합관광의 증대

 관광산업의 영역이 확장하고 융복합 관광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됨

 공유경제에 기반한 교통, 숙박 등 개별서비스 연계 영역에서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함

 사람, 사물 간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서 개별화된 맞춤형 여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관광산업 생태계에서 플랫폼경제가 새로운 가치창출
기반으로 부상

관광과정에서 소비자의 적극성 발현

 관광의 첫 번째 단계인 관광동기부터 관광 종료 이후의 전체 과정에서 과거에


비해 관광객의 적극성이 점차 증가

 관광객은 인터넷 검색,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관광욕구를 표출하고 있으며


관광 이후에는 블로그, SNS 등에 평가와 후기를 남김으로써 다른 관광객의 관광
선택과 소비에 영향을 미침

 관광생태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과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서 관광은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음

지역관광의 가능성

 지역이 보유한 자원에 다양한 가치를 부여하고, 기존의 다양한 산업에 가치를
더하는 지역관광의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

 새로운 관광트렌드에 부합하는 신규 콘텐츠 및 여행상품을 발굴하고,


관광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개선함으로써 차별화된 체험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이 요구됨

- 22 -
관광주체로서 지역주민의 참여 중요

 지역관광의 성공여부는 지역주민의 주체성과 자발성이 중요하므로 지역사회에서


의사결정과정에 다양한 주민들과 집단이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의 작동이
중요하게 떠오름

 지역관광은 단순히 관광객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지역내 고용와 소득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관광사업이 필요하며, 지역주민을 관광사업의 주체로 육성하는
관광두레사업은 지속가능한 관광의 실천적 해법으로 도입되었음

 관광 행정과 산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지역주민은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고 정체성을 강화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은 경제적
풍요와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음

혁신적·포용적 지역관광 지표의 개발

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경쟁력 제고를 위한 컨설팅이나 보다 큰 틀에서의 관광


정책 기조도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향으로 설정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여러 지역에서 실험적인 관광산업·서비스 개발에 대한 과감한 시도를
꾸준히 진행해 성공 사례를 축적하고 확산시킴으로써 반응력을 높여야 함

 아울러 새로운 지역관광 관련 지표체계의 목표와 세부목표, 그리고 개별지표


수준에서도 융복합, 벤처, 공유경제 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켜
지역 수준에서 관광산업 생태계, 경쟁력, 지속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함

 지역관광 경쟁력을 배가하고 지속적인 관광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이


관광객의 안전과 만족에 기여할 책임을 가짐

 지역주민 간 신뢰, 관광 행정 관심, 정책 효능감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이 관광


거버넌스의 중요한 일부가 되어야 함. 궁극적으로 관광객도 만족하고,
지역주민의 경제적 여건도 개선하며, 행복감도 높이는 것을 지향하는 상생
관점의 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함. 이것이 본 연구가 새롭게 제안하는
지표체계를 “지역관광상생지표”라 명명한 이유임

- 23 -
제2절 관광의 패러다임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관광 패러다임 변화의 배경

1) 세계관광기구의 관광 패러다임 전환

2015년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설정

 2000년부터 시행했던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종료하고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공동 목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설정함

 빈곤 퇴치를 최우선 목표로 하는 새천년개발목표에 비해서 불평등 해소, 건강,


삶의 질 등 보다 보편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정부, 시민사회,
민간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포용성을 갖추고 있으며, 경제성장,
기후변화 등 경제.사회.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특성을 보임

UNWTO는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의 중심에 관광을 위치시킴

 세계관광윤리강령(Global Code of Ethics for Tourism)을 공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었음

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관광의 역할을 강조하고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관광의 주체적 역할을 선언함

 관광을 통한 불평등 심화와 관광 향유가 소수에게만 집중되는 배타적 특성은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어긋나는 측면이 있는데, 관광의 배타성을 줄이려는 노력은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기회와 배분의 평등을 강조한 포용적 성장에 대한
논의로 확대

­관광의 배타성은 중산층 이상에게 집중된 해외여행의 기회, 부유층에게


이익을 돌아가는 방식의 관광자원개발, 대규모 외부자본에 의한 개발이익의
쏠림과 지역주민 배제 등으로 나타남

- 24 -
­관광의 배타성을 적절히 제어하지 못할 경우 지역 관광 발전을 위한 투자에
힘입은 관광 활성화의 성과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무관하게 되고, 오히려
지역 내 갈등과 사회통합 저하를 심화시켜 지역관광의 지속적 발전이
지체되거나 퇴보할 가능성이 농후함

 관광의 포용성은 관광의 의사결정과정에 소외되었던 이해관계자 및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포함시키고, 관광개발 이익을 다수의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데 초점을 둠

2) 대안적 관광 패러다임의 출현

대안적 관광의 출현

 대안적 관광이란 관광객의 대량 이동과 활동으로 인해 야기된 사회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려는 목적의 관광형태를 말함

 세계관광기구는 대안관광을 “사회적으로 책임성 있고 환경을 의식하는 새로운


형태의 관광”이라고 정의를 내림

 대안적 관광은 결국 지속가능한 관광이 핵심이므로 대안적 관광은 지속가능성을


표방

대안적 관광 패러다임의 배경

 대중관광시대의 관광산업이 노정한 문제를 비판하면서 지속가능한 관광을


표방하는 대안적 관광 패러다임이 등장

­대중관광산업의 문제점은 외부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과 관리를 통해


유지됨으로써 관광지의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초래하고, 지역주민을
소외시키고, 지역의 자연과 자원을 착취대상으로 전락시키는 점 등을 들 수
있음

­대중관관산업 패러다임이 지역에서 천편일률적으로 적용되면서 정부와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 경쟁력 상응과 지역 경제 발전 노력은 그 효과도
기대한만큼 거두지 못하면서 부분적인 기여조차도 소수의 정치경제적 배경을
공유한 사람들에게만 돌아가는 결과를 초래

- 25 -
 지속가능한 관광을 표방하는 대안적 관광에는 질적관광(Quality Tourism), 모두를
위한 관광(Tourism for All), 생태관광(Eco Tourism), 녹색관광(Green Tourism),
책임관광(Responsible Tourism), 공정관광(Fair Tourism), 윤리관광(Ethical
Tourism) 등이 있음

­다양한 유형의 대안적 관광이 갖는 공통적인 특성은 자연과 인간, 관광객과


지역주민 등 관광을 둘러싼 주체와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고 호혜적
관계를 지향한다는 점임

지속가능한 관광(Sustainable Tourism)

 지속가능한 관광은 지역의 자원과 고유성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관광개발이


계획되기 때문에 관광객의 관광경험의 질을 제고시키고, 지역주민의 수용, 참여,
지지를 이끌어냄으로써 지속적인 관광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음

­초기에는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관광자원의 보전’으로 간주하여 관광객에게


도덕적, 윤리적 책임감과 행동을 요구하는 등 관광행동을 통제, 조절하려고
하였음

­최근에는 관광자원을 보전하면서도 관광수요를 유지하고 창출할 수 있는


‘경쟁력의 지속가능성’으로 변화하고 있음

 지속가능성은 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형평성의 문제도 제기하는데,


관광개발로 인한 혜택이 세대 간, 세대 내에서 골고루 분배되어야 함을 강조함

 루와 네팔(Lu & Nepal, 2009)이 제시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주요 4대 원칙

­전반적 계획과 전략 설정의 신념

­생태적 과정의 중요성

­인간의 문화유산과 종다양성 보호의 필요성

­미래를 위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생산성

- 26 -
공정관광(Fair Tourism)

 공정관광은 관광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 간 공정한 거래를 기본적, 핵심적


개념으로 봄

 관광객이 현지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지 않고 환경과 공존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여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광객이 책임 있는 의식을 가지고 윤리적
소비와 공정한 거래를 통해 공정한 분배를 실현하는 관광을 지향

 그러나 현실에서는 대규모 관광 개발은 지역 활성화의 강력한 수단으로


활용하지만, 관광 개발을 통한 이익이 지역주민에게 공평하게 배분되지 않음

 따라서 지속가능한 관광의 원칙 하에 실천적 측면으로서 관광객, 지역주민,


생태계, 관광산업 공정성이 중요하게 대두

[그림 7] 사회적 가치로서의 공정관광


출처: 황희정&이훈(2011)

- 27 -
2. 정책지원에 따른 사회적 관광 대두

1) 관광의 포용성

포용성에 대한 주목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경제의 침체 및 소득 불평등 악화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침

 포용성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서 모든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공평하게 갖고, 모든 주체들에게 성장의 혜택이 골고루
분배됨으로써 새로운 성장의 동력을 되는 선순환을 의미함

 정부는 포용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혜택을 받지 못한 주체들에게


안전망을 구축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함

관광에서의 포용성의 의미

 관광의 배타성은 중산층 이상에게 집중된 해외여행의 기회, 부유층에게 이익을


돌아가는 방식의 관광자원개발, 대규모 외부자본에 의한 개발이익의 쏠림과
지역주민의 배제 등의 문제를 표출

 관광분야에서의 포용성이란 모든 주체가 관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공평하게 가질 수 있고, 관광행위의 결과 및 혜택이 공평하게 분배됨으로써
관광객과 지역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새로운 관광행위를
유인하는 것을 의미

 관광 생산과 소비 및 관광 혜택을 받는 사람들의 범위를 확대, 기존


관광지에서의 소비, 생산 및 이익 공유에 대한 접근을 넓힐 뿐만 아니라 경험과
상호 작용의 새로운 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

 정부는 관광에 참여할 기회를 갖기 어려운 관광소외 계층이 관광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비,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회적 관광의 필요성이 대두

- 28 -
2) 관광의 사회적 책무

사회적 책무의 중요함

 대중관광이 초래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관광주체의 인식과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

 관광은 다양한 요소가 복합되어 있어서 모든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단일한


해결책을 발견하기 어렵고, 관광객, 관광지의 거주민, 정부 간의 협력이 요구

 관광정책이 경제적 가치 중심에서 국민행복, 관광복지 실현 등 관광의 사회적


가치와 책무를 강화하기 위한 측면이 강조

관광과 시민성

 관광의 사회적 가치와 책무로서 핵심은 시민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시민성이란


시민이 공동체 생활에서 보이는 능력, 덕성, 참여와 실천을 의미

 공동체의 구성원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위기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활동, 즉 평등, 공정, 신뢰,
포용과 배려 등이 중요

 관광행위를 통해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관광을 둘러싼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관광객, 지역주민,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시민성의 가치를 잃지 않아야 함

3) 사회적 관광의 등장

사회적 관광의 등장 배경

 대중관광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지배적인 관광현상으로서 관광을 위한 시간이나


비용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없이 관광활동에 참여하는 형태를 의미

 또한 대중관광은 관광이 가능한 여가시간,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소득수준,


관광에 참여할 만한 심리적 요인 등이 주어져서 개인의 능력에 따라서 관광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광객의 양적 비율을 통해서 파악됨

- 29 -
 관광에서 소외되고 배제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복지관광이 제안되고 있음

사회적 관광의 의미

 사회적 관광(Social Tourism)은 관광의 사회적 배제를 완화하고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관광으로서 사회적 약자의 관광 참여를 촉진하고 가능하게 하는
총체적 현상을 의미

­정부가 사회적 약자에게 복지의 개념으로 관광기회를 확대한다는 복지관광


개념과 혼용되는데, 사회적 관광은 관광기회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

 자력으로 관광이 어려운 계층에게 생계형 복지서비스를 넘어서 문화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노인, 장애인, 외국인노동자, 다문화가정 등이


대상이 됨

­사회적 관광은 그 주체와 수혜자가 확대되어 전반적인 행복 수준 향상을


지향하고 있음

 사회적 관광의 특성은 무엇보다 관광할 권리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관광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함

­지원의 주체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 시민사회단체, 노동조합 등의


공공성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될 수 있으며, 정책적, 제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치를 필요로 함

­사회적 관광에서는 관광에 필요한 자원을 배제된 사람들에게 공적으로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고 그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관광을 향유함으로써 전반적
삶의 질 개선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

- 30 -
4) 장애물 없는 관광

관광의 장애요소

 내재적 장애요소: 개인을 둘러싼 특수한 상황으로 신체적, 정신적 제약으로 인해


관광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를 의미함

 사회적 장애 요소: 관광 과정에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데


대인간 상호작용의 문제로 관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의미함

 환경적 장애요소: 관광지나 관광자원에 대한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를


의미함

장애물 없는 관광의 의미

 ‘장애물 없는 관광(Accessible Tourism)’은 ‘모두를 위한 관광(Tourism for


All)’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의 하나임(노영순, 2017)

 모든 사람이 관광을 향유할 수 있으려면 불편함이 없이 접근 가능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정보와 관련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데 제약이 없는 환경을
만드는 관광을 의미함

 장애인, 노약자 등 관광을 위한 이동에 제약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열린


관광지 조성사업’을 추진하여 장애물 없는 관광을 위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음

­장애인, 노약자에 대한 관광업 종사자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 의사소통의


곤란함, 관련 정보 이용의 어려움, 정확한 정보전달의 한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

- 31 -
접근가능한 관광시설 확충 사례: 서울시

 서울시는 장애인, 노령인구 증가로 복지관광 정책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장애물 없는 관광을 실현하기 위한 진단과 정책적 시도를 하고
있음

­교통 및 보행시설 중심으로 생활권에서 이동권은 상당 수준 개선된 반면,


관광지. 호텔. 음식점 등 관광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은 미흡하여
관광소외층의 자유로운 여행에 장애가 됨

 서울시는 무장애 관광 지원을 위해서 관광객의 주요 방문지에 위치한


관광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조사하고, 시설별로 갖춰야 할 기준 요건을 충족한
민간업소를 무장애 관광 우수시설로 지정. 홍보

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리프트 장착 버스를 도입하여 장애인 등 관광소외층의


여행활동을 지원하고, 관광소외층을 위한 시티투어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장애인복지관 등에서 단체여행을 할 경우 대여함

- 32 -
3. 관광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고찰

1) 관광의 3요소의 변화

관광주체로서 지역주민

 지역주민은 관광객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대상이지만, 대규모 관광개발과


대중관광에서 지역주민은 주체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관광의 혜택에서도
불균하게 배분받음

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상호작용은 관광경험의 질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요소이므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긍정적
경험을 축적해야 함

 관광주체로서 지역주민의 비중이 높아지고 그들의 행위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음

­최근에는 도시에서 문화적 색채를 입혀서 방문객의 유입을 증대시키면서


도심의 여러 곳이 관광지화하면서 오랜 기간 거주했던 주민의 일상이
파괴되고 주민이 대상화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야기함

­유명관광지를 중심으로 수용능력의 한계를 넘는 오버투어리즘(Over


Tourism)은 반대급부로서 주민들에 의한 反관광운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함

 따라서 관광객으로 국한되었던 관광주체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고 그동안


간과되었던 지역주민까지 포괄하여 관광을 둘러싼 행위를 분석하고 관광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음

관광객체로서 자원(지역)

 관광객의 유입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관광자원이 독특하고


차별적인 매력을 갖고 있어야 하지만, 특색없는 지역은 관광객에게 외면받을 수
밖에 없음

- 33 -
 서울, 경기에 관광기반시설이 집중되어 있고 관광의 중심지가 되어 있어서
서울과 지방의 격차는 매우 심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음

­지역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광거점도시를 중심으로 관광개발 계획이


발표되어 서울로 집중되는 관광객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그러나 실제로 거점지역에서 관광개발은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색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지역의 특성이 없고 고유성이 없으면 관광객에게 매력적인 장소가 될 수


없으므로 지역의 특색을 보존하고 개발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에 대한 애착을
갖고 지역 정체성을 확고히 갖게 됨

관광매체로서 관광산업

 여행의 디지털화의 영향으로 관광사업은 「관광진흥법」상 7대 관광업종이


관광트렌드의 변화를 제도적, 법률적으로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에
관광지원서비스업이 추가됨

 관광지원서비스업의 추가는 기존 법체계로는 아우를 수 없는 업종을


관광사업으로 받아들이고, 관광환경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유형의
관광사업체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분류를 신설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임

­관광지원서비스업은 관광객 뿐만 아니라 관광사업자 등을 위하여 사업이나


시설 등을 운영하는 업으로서 ‘관광산업 특수분류’에 해당됨

- 34 -
<표 3> 「관광진흥법」상 관광산업 구분

종류 세분

여행업 일반여행업, 국외 여행업, 국내 여행업

관광 호텔업, 수산관광 호텔업, 한국전통 호텔업, 가족 호텔업


관광숙박업
휴양 콘도미니엄업

전문휴양업-민속촌, 스키장, 해수욕장, 동물원, 식물원, 온천장,


수영장 등

자동차 야영업장
관광객이용시설업
관광 유람선업-일반 관광 유람선업, 크루즈업

관광 공연장업

외국인 전용 관광기념품 판매업

국제회의업 국제회의시설업, 국제회의기획업

카지노업

유원시설업 종합 유원시설업, 일반 유원시설업, 기타 유원시설업

관광 유흥 음식점업, 관광극장 유흥업, 외국인 전용 유흥


관광편의시설 음식점업, 관광식당업, 시내순회관광업, 관광사진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광펜션업, 관광궤도업

렌트카업, 기념품판매업, 관광벤처기업, 관광객 수송업,


관광지원서비스업 관광두레사업, 체험상품 제공업, 관광레저장비 공급업,
여행자보험업 등

- 35 -
2) 코로나 19와 관광위기

코로나19와 관광산업의 타격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업계의 침체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며, 앞으로 관광에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에 대한 관리는 범분야적 이슈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

 지역의 관광역량은 투자, 자원, 거버넌스 등 내재적 요인에 의해서 주로


결정되지만, 코로나19 같은 외부 환경으로 발전과 퇴보가 결정될 수 있음

 개인 및 사회가 변화된 현실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그리고 주어진 새로운


가능성에 얼마나 잘 편승하는지에 따라서 재난 또는 위기에 따른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남

위기 상황과 회복탄력성(resilience)

 회복탄력성 개념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규정되는데,


단순히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기(bouncing back)를 의미하지는 않음

 위기에 대한 예측이 제한되고, 그에 대한 대응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예방전략보다 회복탄력성 전략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

 회복탄력성은‘지역사회의 사회적 기반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지역사회의 능력’(Adger, 2000)

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는 충격에 대한 문제점, 기회 및 잠재성을


예견하고, 기능적 위험에 대한 개발사업 이력, 사회경제적 조건 및 민감성과
관련된 취약성을 경감하며, 위기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공정하게 정당하게
대응하고, 더 신속하고 더 좋게 더 안전하게 더 적절하게 복구함’(Willbanks,
2008)

- 36 -
지역 차원의 회복탄력성

 많은 지역이 자원부족, 자연재해, 갈등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최근의


글로벌 트렌드로 인한 기후변화, 신종전염병, 테러 등이 지역의 회복력을
위협하고 있음

 특히 도시의 경우 변화하는 환경에 끊임없이 적응해야 하는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회복탄력성 개념의 도시 적용은 전통적인 위기관리와 신종위험에 대한
적응 사이의 격차를 연계하는데 유용함

 지역차원의 회복탄력성은 단순히 특정 재난으로 인한 자원의 손실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위험에 직면하고 있는 시스템의 역량을
강화하는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음

급변하는 관광 환경 속에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성 제기

 예측할 수 없는 재난 또는 위기 상황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함

 외부 환경이 초래한 위기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표를 포함해서


지역관광의 위기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회복탄력성을 시계열적으로
관리할 필요 있음

- 37 -
4. 시사점

관광 주체 관점에서의 변화

 관광의 주체들이 관광을 기본권으로 인식하여 관광을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어야 함

 개별적으로 여행하고 차별적인 경험을 기대하는 관광객의 마음, 즉 관광수요의


변화를 세분화해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 관광을 통해서 관광 주체인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문화적으로 상호교류함으로써


자신과 상대방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함. 지역 상생
관광의 정착을 위해서는 문화적 개방성과 차이에 대한 관용이 중요

공급자 관점에서의 변화

 관광 수요자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와 공급체계가 필요하며,


변화된 관광 경향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함

 관광 업체와 관광객 간 거래에만 초점을 둔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관광이 아니라


관광객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선사하고 지역민에게는 공동체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촉진할 수 있는 공익적 관점에 부합하는 생태계 구축 필요

 공급자가 관광의 궁극적 목적이 단기적 이윤 창출보다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이윤을 보장하는데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인프라와 생태자원을 보존하면서 지역민도 수혜자가
되어야 할 것

- 38 -
관광의 디지털화, 스마트화

 관광의 디지털화, 스마트관광,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의 중요성 증대

 기술의 발달, 온라인 플랫폼 구축 등의 변화로 관광객은 디지털 관광객으로


변화하고 있음

­여행지를 결정할 때 여행서적이 아닌 인터넷 검색 엔진과 소셜 미디어를


찾으며, 숙소와 여행 상품도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고 예약함

 관광수요의 디지털화가 급진전되고 있는 가운데, 관광 관련 기업은 철저한


디지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

생태계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관광진단체계의 필요성

 수요자, 공급자, 관광기술적 관점의 변화에 대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관광경쟁력 진단체계를 필요로 함

 새로운 진단체계는 관광 트렌드의 패러다임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함

 진단체계의 비전/목표는 관광객의 방문과 소비 증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하여 지역사회가 지속가능한 번영을 이루는 것임. 따라서 새로운
진단체계에는 지역민의 관광산업에 대한 수용성과 관광객 환대, 그리고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시민적 책무성과 시민성을 점검하는 요소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이를 위해서는 외부자본 유입에 의한 토건적, 획일적 방식이 아니라


자연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관광자원을
개발하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전제해야 함

- 39 -
지역관광 회복탄력성 모니터링 지표체계의 필요성

 코로나19 이후 국내 관광이 대비해야 할 요소들에 대한 검토하고 다양한 응용이


필요

 관광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진단 및 평가하는 지표체계를 구축하여 재난


또는 위기 발생과 대응에 대한 상시적인 모니터링 지표를 개발해야 함

 위기 영향 및 회복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을 진단하는 지표체계를 구축하여


다면적 평가를 진행

 상시적 모니터링을 통해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회복탄력성을 관리하는


지표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장기적인 위기관리 대응 시스템을 마련

- 40 -
Ⅲ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및 지역관광발전지수 비교 검토

제1절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이해

1.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개념 및 목적

지역관광경쟁력의 정의

 한국관광공사는 관광경쟁력을 ① 관광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능력, ② 관광


인프라 및 자원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능력, ③ 관광 수요촉진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 ④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해 포용적 성장을 창출하는 능력, ⑤
관광성과 창출 능력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함(한국관광공사, 2018)

 동시에 지역관광경쟁력은“관광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통해 지역의 관광자원을


집적하고 관광가치를 창출해 나가면서 지역의 포용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여 선순환적 자기강화 체계의 방향성을 제시(그림 8 참조)

지역관광경쟁력 개발 목적

 한국관광공사는 지역의 관광육성을 통해 지역사회의 신 성장 동력을 만들고


지역 경제 활성화, 더 나아가 국가의 관광경쟁력 창출을 위해 2017년
지역관광경쟁력 모델을 구축하였음(한국관광공사, 2018)

 지역 관광경쟁력 모델은 지역관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지속 가능한 관광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 지역관광경쟁력 모델은 [투입→산출→성과→재투입]의 ‘순환적 관점’에서


지역의 현 관광경쟁력을 파악하고 잠재 관광경쟁력을 발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광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음

- 41 -
 한국관광공사는 이러한 지역관광경쟁력 모델을 바탕으로 지자체의 관광경쟁력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른 컨설팅을 통해 지역의 관광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음
­1단계 : 지자체 관광경쟁력 진단 및 현황 파악

­2단계 : 타 지역과 차별화되는 지자체의 잠재 관광경쟁력 발굴

­3단계 : 잠재 관광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자체의 지속가능한 관광방향성 제시,


향후 재투입 유도

지역관광경쟁력의 5가지 체계 기준

정책 수립 및 집행 자원 집적 포용적 성장 관광성과
가치 창출
(Policy (Resource (Inclusive (Tourism
(Value Creation)
Implementation) Collection) Growth) Outcomes)

    
관리자 관점 수용자 관점 종합적 관점
→ →
투입 산출 성과

지속가능한 관광경쟁력의 선순환 체계

1단계 : 현재 경쟁력 2단계 : 잠재 경쟁력 3단계 : 지속가능한 경쟁력

관광경쟁력 진단을 → →
타지역과 차별화 된 지자체 지속가능한 관광
통해 각 지자체의
잠재적 경쟁력 도출 방향성 및 정체성 제시
현 위치 파악

지자체 관광경쟁력 선순환 자기강화(Reinforcing)


지역관광경쟁력(Regional Tourism Competitiveness)

관광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통하여 지역의 관광자원을 집적하고


관광가치를 창출하면서 지역의 포용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능력

[그림 8]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체계
* 출처: 한국관광공사(2018)

- 42 -
지역관광경쟁력 공간적 범위

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제주,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 속하는 총 226개의 시, 군,
구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관광경쟁력 지수를 산출함

2.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 지표체계

총 57개의 지표: 핵심지표 14개, 차별화지표 42개

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은 <표 4>, [그림 9]와 같이 총 57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 대분류와 15개 중분류로 구분됨

 57개 지표는 지표의 성격을 기준으로 15개 핵심지표와 42개 차별화지표로


구분되고, 지표의 조사방법에 따라 50개 정량지표, 7개 정성지표로 구분됨

 핵심지표(15개)는 5가지 대분류를 구분되며 모든 지자체를 진단할 수 있는


지표로서 객관적이고 대표성 있는 지표 산출을 위해 87%이상 정량지표를
활용하였음(13개)

 차별화지표는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단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함

­17개의 광역자치단체(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제주,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는 차별화지표 42개 모두를
적용하였고,

­광역 차별화지표: 진단범위, 지자체 특성 등을 고려하여 광역지자체에만


적용되는 8개의 지표(항공운항횟수, 렌터카 회사 수, 관광통역안내원 수,
관광고용의 기여도, MICE개최건수, 내국인 방문객 수, 외국인 방문객 수,
방문객 성장률)

­최종 진단 지표는 광역 57개, 기초지자체 49개로 구성됨

- 43 -
<표 4> 지역관광경쟁력 지표체계

대분류 중분류 핵심지표(15) 차별화 지표(42)

3개(정량 2, 정성 1)
1개(정량)
관광정책수립 및 집행 관광정책우선순위,
관광육성계획
조례제정건수, 정부연계사업참여수
2개(정량 2)
1개(정량)
관광 예산 관광보조금지출비중,
관광지출 비중
정책 관광홍보마케팅예산비중
4개(정량 4)
1개(정량) 관광전담부서유무, 관광공무원유무,
조직
관광공무원 비중 관광공무원교육프로그램이수비율,
DMO조직유무
1개(정량) 2개(정량 2)
숙박시설
관광숙박업 객실 수 관광숙박이용률, 호텔등급지수
4개(정량 4)
1개(정량) 유원시설수, 관광(단)지수,
관광 관광시설
관광객 이용시설 수 컨벤션/전시시설수, 문화기반시설
자원
집적
4개(정량 4)
1개(정량) 문화재수, 세계자연문화유산수,
특화관광자원
지역 문화관광 축제 수 자연휴양림수, 문화관광축제유무

4개(정량 4)
1개(정량) 철도운행횟수, [광역] 항공운항횟수,
관광접근성
이동수단 운행횟수 시티투어운행횟수, [광역] 렌터카회사수

1개(정량 1)
관광 1개(정량)
여행사상품 우수여행상품수
수요 지자체 여행상품 수
촉진
4개(정량 3, 정성 1)
1개(정량)
관광홍보 문화관광해설사수, 관광박람회참가횟수,
스마트 안내체계 지수
[광역] 관광통역안내원수, 목적지브랜드지수
1개(정량) 2개(정량 2)
관광품질
관광품질 인증 종류 수 랜드마크평판, 관광지 안전
1개(정성)
1개(정성 1)
지속가능한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오버투어리즘방지
인식수준
포용적
1개(정량) 2개(정량 2)
성장 소외계층 수용성
무장애 관광지 수 시니어관광프로그램, 열린관광지유무
1개(정량) 1개(정량 1)
지역기반 관광
지역기반 관광 운영 지역기반관광프로그램수
5개(정량 5)
1개(정량) [광역] 관광고용기여도, 마이스개최건수,
관광 효과성
관광 관광GRDP기여율 내국인방문객수, 외국인방문객수,
성과 주요관광지방문객수
1개(정성) 3개(정량 1, 정성 2)
관광 가치창출
관광객의 만족도 방문객성장률,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 출처: 한국관광공사(2018)

- 44 -
[그림 9]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모형)
* 출처: 한국관광공사(2018)

- 45 -
관광정책

 관광정책은 지역의 관광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관광관련


정책 수립 및 집행, 예산 책정과 조직 정비를 시스템화하는 투입 과정(input)과
산출 과정(output)을 내포함

 관광정책은 관광정책 수립 및 집행, 예산, 조직으로 유형화할 수 있으며, 3개의


핵심지표(관광육성계획, 관광지출비중, 관광공무원비중)와 9개의 차별화지표로
세분화되며 구체적으로 <표 5>와 같음

<표 5> 관광정책 지표체계


핵심지표 차별화지표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종류 구분 지표명 종류 구분
관광정책 우선순위 정성 투입
관광정책 수립
관광육성계획 정량 투입 관광관련 조례 제정 건 수 정량 투입
및 집행
정부 연계사업 참여 수 정량 산출
관광 보조금 지출 비중 정량 투입
예산 관광지출 비중 정량 투입 관광 홍보·마케팅
정량 투입
예산 비중
관광
정책 관광전담 부서 유무 정량 투입
관광 전문직 공무원 유무 정량 투입
관광공무원 교육프로그램
관광공무원 정량 산출
조직 정량 투입 이수 비율
비중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 정량 투입
조직 유무

관광자원집적

 관광자원집적은 관광수용태세의 핵심적 요소인 숙박시설, 관광시설, 그리고


특화관광자원으로 구성되는 자원의 집적화를 의미함

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을 관광적 가치로 활용하며 그


결과물로 만들어지는 산출 요소(output)로 구성됨

- 46 -
 관광자원집적은 숙박시설, 관광시설, 특화관광자원으로 유형화할 수 있으며,
3개의 핵심지표(관광숙박업객실수, 관광객이용시설수, 지역문화관광축제수)와
10개의 차별화지표로 세분화되며 구체적으로 <표 6>과 같음

<표 6> 관광자원집적 지표체계

핵심지표 차별화지표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종류 구분 지표명 종류 구분

관광숙박업 관광숙박 이용률 정량 산출


숙박시설 정량 산출
객실 수 호텔등급 지수 정량 산출
유원시설 수 정량 산출
관광객 관광(단)지 수 정량 산출
관광 관광시설 정량 산출
이용시설 수 컨벤션 및 전시시설 수 정량 산출
자원
집적 문화기반 시설 수 정량 산출
문화재 수 정량 산출
특화관광 지역 문화관광 세계 자연·문화유산 수 정량 산출
정량 산출
자원 축제 수 자연휴양림 수 정량 산출
지정 문화관광 축제 유무 정량 산출

관광수요촉진

 관광수요촉진은 방문객의 방문동기를 촉진하고 방문 장애요인을 구조적으로


해소시켜 주는 요소를 의미함

 관광수요촉진은 관광접근성, 여행사상품, 관광홍보, 관광품질로 구성되며 대부분


산출 (Output)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4개의 핵심지표(이동수단운행횟수, 지자체여행상품수, 스마트안내체계지수,


관광품질인증종류수)와 11개의 차별화지표로 세분화되며 구체적으로 <표 7>과
같음

- 47 -
<표 7> 관광수요촉진 지표체계
핵심지표 차별화지표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종류 구분 지표명 종류 구분
철도 운행 횟수 정량 산출
항공 운항 횟수
정량 산출
(광역 해당)
관광접근성 이동수단 운행횟수 정량 산출
시티투어 운행횟수 정량 산출
렌터카 회사 수
정량 산출
(광역 해당)

관광 여행사상품 지자체 여행상품 수 정량 산출 우수여행 상품 수 정량 산출


수요
문화 관광 해설사 수 정량 산출
촉진
관광관련 박람회 참가 횟수 정량 산출
스마트
관광홍보 정량 산출
안내체계 지수 관광통역 안내원 수
정량 산출
(광역 해당)
목적지 브랜드 지수 정성 산출
랜드마크 평판 정량 산출
관광품질 관광품질 인증 종류 수 정량 산출
관광지 안전 정량 산출

포용적 성장

 포용적 성장은 지속가능한 관광 원칙을 준수하면서 관광의 소외계층을 수용하고


지역기반 관광을 활성화하는 정책 패러다임을 의미함

 포용적 성장은 지속가능한관광, 소외계층수용성, 지역기반관광으로 구성되며


3개의 핵심지표(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인식 수준, 무장애 관광지수, 지역기반
고나광운영)와 4개의 차별화지표로 세분화되며 구체적으로 <표 8>과 같음

<표 8> 포용적성장 지표체계


핵심지표 차별화지표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종류 구분 지표명 종류 구분
지속가능한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정성 성과 오버투어리즘 방지 정성 산출
관광
인식수준
포용적 소외계층 무장애 관광지 시니어관광 프로그램 유무 정량 산출
성장 정량 산출
수용성 수 열린 관광지 유무 정량 산출
지역기반 지역기반 관광
정량 산출 지역기반 관광 프로그램 수 정량 산출
관광 운영

- 48 -
관광성과

 관광성과에 속하는 지표는 관광정책의 투입 요소와 관광자원의 집적화,


관광수요 촉진 그리고 포용적 성장을 통하여 나타나는 지자체의 가시적 성과를
의미함

 관광성과는 관광의 효과성과 관광의 가치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핵심지표(관광GRDP 기여율, 만족도)와 8개의 차별화지표로 세분화되면
구체적으로 다음 <표 9>과 같음

<표 9> 관광성과 지표체계

핵심지표 차별화지표
대분류 중분류
지표명 종류 구분 지표명 종류 구분
관광고용의 기여도 (광역 해당) 정량 산출

MICE 개최건수 (광역 해당) 정량 산출


관광GRDP
관광효과성 정량 성과 주요관광지 방문객 수 정량 산출
기여율
관광 내국인 방문객 수 (광역 해당) 정량 산출
성과 외국인 방문객 수 (광역 해당) 정량 산출
재방문의도 정성 산출
관광가치
만족도 정성 성과 방문객 성장률 (광역 해당) 정량 산출
창출
타인추천의사 정성 산출

- 49 -
3. 자료수집 방법

 지역관광경쟁력지표의 경우 정량뿐만 아니라 정성 지표가 다수 활용되고 있으며,


국가승인통계 및 타 기관 통계 자료의 활용뿐만 아니라 조사기관의 위탁 조사(설
문), 지자체 조사표 작성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있음

­정량지표는 50개의 지표 모두 조사기관에 의해 조사되며, 세부조사방식에 따라


진단기관 자체조사(38개)와 타 기관 협조 조사(12개)로 구분됨

­본 모델은 객관적인 자료구득을 통하여 지역의 관광경쟁력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다수의 정량지표(72%)가 진단 기관이 자체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의 정성지표는 7개(핵심지표 2개, 차별화지표 5개)로


전문가, 방문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함

<표 10>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델 정성 지표

대분류 핵심지표 (2개) 차별화지표 (5개)

관광정책 - 관광 우선순위 (전문가조사)

관광자원집적 - -

관광수요촉진 - 목적지 브랜드 지수 (방문객조사)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인식수준


포용적 성장 오버투어리즘 방지 (지역주민조사)
(지역주민조사)

재방문의도, 타인추천의사
관광성과 만족도(방문객조사)
(방문객조사)

 지역관광경쟁력지표가 2017년 개발된 이후 2018년도에 전국 지자체의 관광경쟁


력 진단이 이루어졌으며, 정례적으로 해당 지표를 활용한 조사나 전국적으로 이
루어지는 것은 아님

 해당 지표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국관광공사의 맞춤형 컨설팅에 주로 활용되고


있음

- 50 -
4. 지역의 유형화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는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관광의 고유성과 장단점 파악하


고, 지역의 고유성을 반영한 관광경쟁력 창출을 위해 지역 간 관광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지역유형화 기준을 도출

 지역 유형화의 목적은 각 기초 자치단체가 지역별 특성이나 발전 정도 등에 따라


지역 관광의 다양한 고유성과 매력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여 각 유형에 적합한 지
역별 맞춤형 개선사업 발굴 및 효율적인 컨설팅 성과를 도출하고자 함임

 이는 기존의 대다수 관광진단 지표들과의 차별점으로 지역유형화 기준은 선행연구


를 토대로 도출

 다음 <표 11>과 같이 지역을 유형화해 진단하는 모델들은 공통적으로 ‘관광자원’


을 지역 유형화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WEF의 TTCI 및 OECD의 관광경쟁력 보고서
등에서는 정부의 관광정책 추진의지가 지역관광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나타남

<표 11> 선행연구의 지역 유형화 비교

지자체 관광수용태세 지자체 관광수용태세


구분 2015년 지역관광발전지수
(2010년) (2010년 이후)
 지역별 GRDP
 관광자원 종합지수  자연자원(자연공원, 자연휴양림,
분류  지자체 인구 대비 방문객 수
(관광단지, 관광특구, 자연명승지 면적)
기준  문화생태 녹색관광자원 수
문화관광축제,  문화자원(문화재, 박물관 수)
자연·생태·문화자원 수)
 문화생태 녹색관광자원
 지역별 GRDP를 분류 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이 풍부한
수를 분류기준으로
기준으로 활용하여 지자체 지역은 관광이 발전할 수 있는
포함하여 지속 가능한
간 상대적인 재정자립도를 잠재 요소이며, 반대인 지역은
관광과 연계할 수 있는
가늠 할 수 있음 지역관광을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함
 향후지역 재정을 고려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 문화생태 녹색관광자원
맞춤형 컨설팅이 가능함 있음
특징 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 일부 지자체의 경우  자연자원 중 자연명승지에 대한
부재하여 활용에 있어서
GRDP를 산출하지 않기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이로 인해
신뢰성을 훼손 할 우려가
때문에 자료 획득에 있어서 면적에 대한 자료 획득이 어려움
있음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 문화자원을 문화재 및 박물관수
 분류기준에 대한 정의가
GRDP를 산출하기 위한 만으로는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명확하지 않아, 자료 출처의
노력을 하고 있음 문제가 존재함
어려움이 존재함

* 출처: 한국관광공사(2018)

- 51 -
 이에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는 관광자원과 관광정책을 기준으로 지역을 유형화 하
였으며, ‘관광정책’지수와 ‘관광자원집적’지수를 활용하였음

 전국의 지역 유형화는 다음 [그림 10]과 같이 표준화, T점수 변화, 가중치 부여, 평


균계산 등의 유형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개 유형(A·B·C·D유형)으로 구분
하였음

유형화 기준 표준화 T점수 변환 가중치 평균 유형화


- A 유형
핵심과
- 관광정책 각 지수별 - B 유형
→ Z값 산출 → T점수 산출 → 차별화지표 → →
- 관광자원집적 평균값 계산 - C 유형
5:5 가중치
- D 유형

[그림 10] 지역의 유형화 과정 및 구분

 226개 기초지자체는 관광정책 지수와 관광자원집적 지수의 평균값이 높고 낮음에


따라 4개 유형으로 분류됨. 유형의 결과는 지자체 관광역량의 절대적 우위나 열위
를 의미하지는 않으며, 각 유형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짐

- 52 -
<표 12> 관광경쟁력지수 지역 유형화
유형 분류 기준 의미
 유·무형 관광자원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지역이고
적극적인 관광정책 수립 및 집행을 통하여 지역관광의
관광정책 지수 값이 평균 잠재적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A 유형 이상이며, 관광자원집적 노력하는 지자체군을 의미함
지수 평균값이 평균 이상  총 226개 기초지자체의 실측 자료로 도출한 ‘관광정책
지수’와 ‘관광자원집적 지수’에서 상대적으로 평균 이상의
수치를 가진 지자체들로 구성되어 있음
 상대적으로 유·무형 관광자원이 미흡하나 적극적인
관광정책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지역관광의 잠재적
관광정책 지수 값이 평균 경쟁력과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는
B 유형 이상이며, 관광자원집적 지자체군을 의미함
지수 평균값이 평균 미만
 상대적으로 ‘관광자원집적 지수’가 ‘관광정책 지수’에
비해 낮은 지자체
 상대적으로 유·무형 관광자원이 많고, 관광정책 수립과
관광정책 지수 값이 평균 집행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나, 지역관광의 경쟁력을
C 유형 미만이며, 관광자원집적 제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지자체군을 의미함
지수 평균값이 평균 이상  상대적으로 ‘관광자원집적 지수’가 ‘관광정책 지수’에
비해 높은 지자체
 유·무형의 관광자원 및 관광정책 수립·집행이
관광정책 지수 값이 평균 상대적으로 미흡하나, 지역관광의 경쟁력을 높일 수
D 있는 잠재력을 가진 지자체군을 의미함
미만이며, 관광자원집적
유형
지수 평균값이 평균 미만  상대적으로 ‘관광자원집적 지수’와 ‘관광정책 지수’가
낮은 지자체

[그림 11] 지역 관광경쟁력 유형화 구분


* 출처: 한국관광공사(2018)

- 53 -
5. 지역관광경쟁력지수 평가

 지역관광경쟁력지수는 경험적(귀납적)접근과 이론적(연역적)접근을 통합하여


지역의 관광경쟁력을 측정하기 위해 5개 대분류 영역과 세부 주제 분류를 통한
15개의 중분류 영역을 개발한 다음, 중분류 영역을 대표하는 핵심지표를
개발하고, 지역의 차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차별화 지표를 개발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지표를 개발하였다는 의의가 있음

 특히, 기존 대다수의 지표들이 내재하고 있는 한계인 순위 경쟁과 이로 인한


지역 관광자원 개발의 천편일률적인 모방화를 극복하고자 유형별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자 시도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큼

 또한 지역관광경쟁력지수는 객관적 데이터 산출 외에 정성적 자료의 상대적


비중이 높아 최근 변화하고 있는 관광 환경 및 행태의 역동성 파악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음

 반면, 관광 주체인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의견을 반영하는 지표는 미흡하여, 지역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특히 주민)를 둘러싼 역동성, 관광객의 반응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제기

 경쟁력(competitiveness)이란 단기간에 획기적으로 개선되거나 유형적이고


정량적인 측면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관광의 체질을 개선하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표
개발 및 관리로의 접근이 필요함. 경쟁력 개념을 확장하여 새로운 개념화가
필요한 시점

 기존 관광 분야에서 산출된 매우 제한된 통계 자료, 양적 평가를 통한 순위


부여에서 탈피하여 전국의 기초 지자체가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해 지역주민과
관광객, 지역 내 산업체가 모두 상생하며, 행복할 수 있는 지표로 패러다임
전환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

- 54 -
 새로운 관광 행태/트렌드 반영을 위한 ICT 준비 수준, 온라인 관광지
홍보/수용태세(스마트관광) 등의 평가 항목(예: OTA, 빅 데이터 활용 등)이
필요하며, 포용적 성장, 관광의 지속가능성(환경/사회문화/경제), 복지관광,
지역주민의 삶의 질 반영 필요함

- 55 -
제2절 지역관광발전지수

1. 지역관광발전지수

지역관광발전지수

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지자체의 관광 발전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장기적으로 지역 관광의 발전을 유도하고자 2014년 지역관광발전지수 표준
모델을 개발

 초기 개발된 모델을 2015년과 2017년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분석 연구에서 지표


체계, 지표별 자료의 구득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진단 지표를 보완

 최근 발간된 2019년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분석(2020)은 기존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분석과 일관성을 가지면서 수정·보완된 모델을 토대로 동일 지자체의 시점
간 비교, 동일 시점의 지역 간 비교 등 다차원적인 동향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수 활용도를 제고하고, 정책 활용 자료로 제공

지역관광발전지수 개발 목적

 지역관광발전지수는 관광이 지역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되도록 지자체 입장에서 관광의 발전 수준을 손쉽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진단 도구의 역할로 기여하도록 개발(문화체육관광부, 2020)

 이를 통해 지자체의 중장기 관광정책 방향 설정 및 의사 결정시 기초 자료로


제공되고, 장기적으로 지역의 관광 발전 및 지역사회 발전을 유도하고자 함

 개발된 지표를 활용하여 격년제로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분석을 실시하며, 이


조사를 통해 기 개발된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표 구성 체계, 지수 산출방식
등을 재점검하고 지자체 담당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모델을 보완해 나가고 있음

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주요 현황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세부 지표,


소분류, 중분류, 대분류 등의 특성별 관광 발전 정도를 비교하여 연속적
차원에서 지역관광발전 동향분석을 실시

- 56 -
지역관광발전지수 공간적 범위

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 속하는 152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관광발전지수를


산출하고 있으며,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동일지역 시점 간 비교
및 세부 지표 현황 분석만 실시

2. 지역관광발전지수 지표 체계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세부 지표는 총 34개로 구성되며 종합ㆍ대분류(3개)ㆍ중분류


(7개)ㆍ소분류(21개) 지수를 산출함(표 5 참조)

<표 13> 지역관광발전지수 지표체계

대분류(3) 중분류(7) 소분류(21) 세부 지표(34)


자연생태자원 자연공원 면적, 자연휴양림 면적, 자연명승지 면적
역사문화자원 문화재 수, 박물관 수
관광
관광(단)지 관광(단)지 면적
자원분포
관광 관광시설 관광이용시설 수
수용력 관광축제 관광축제 개최일 수, 스포츠 이벤트 개최일 수
지수 숙박 일반숙박업 객실 수, 관광숙박업 객실 수
관광 안내 관광안내소 수, 관광안내인력 활동일수
인프라 교통 시티투어버스 운행 횟수
안전 교통사고 발생 건수, 5대 범죄 발생 건수
관광객 수 주요관광지점 입장객 수
지역 관광만족도 관광만족도
관광 관광
효과 관광지출액 관광지출액
소비력
지수 관광산업 관광사업체 수, 관광마을 매출액, 관광숙박업 객실 이용률
지역민 인구구조 인구, 인구성장률
관광활력 관광활동 여건 경제활동 참가율
관광정책 관광정책사업 관광자원 개발사업 건수, 관광조례 제정 건수
환경 관광예산 재정자립도, 관광예산액
정책인력 관광 공무원 수
관광정책 인적
역량지수 역량 공무원 관광교육 프로그램 이수자 수, 관광종사원 교육프로그램
관광교육
예산액
지역 홍보정책 관광홍보행사 참여 건수
홍보 매체홍보 보도자료 건수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2020)

- 57 -
관광수용력 지수

 관광수용력지수는 지역별 관광특화발전을 통해 매력적인 관광자원분포 및


관광인프라 확보를 강조하는 지역관광정책의 기조에 맞추어 관광수용력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의미하며, 총 16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관광자원 분포는 전국 각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관광자원을 체계적인


기준으로 구분하여 지자체의 관광 공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의미하며, 자연생태자원, 역사문화자원, 관광(단)지, 관광시설, 관광축제로 구성됨

 관광인프라는 관광객이 각 지역에 방문하여 누리는 관광활동 과정에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지표로 선정하고, 체류관광을 위한 숙박시설,
관광정보 제공을 위한 안내, 관광지 접근성을 측정하는 교통, 관광지역의 안전
등의 세부 지표로 구성됨

관광소비력 지수

 관광소비력지수는 관광객 성장 정도와 지역민 관광 잠재력에 대한 지수를


의미하며, 외부 지역에서 유입되는 관광객 소비의 양적ㆍ질적ㆍ경제적 성장을
통한 지역관광 효과와 내수시장의 근원지로서 지역민의 인구구조, 관광활동
여건 등 지역민 관광활력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체계로 구분됨

 지역관광의 효과는 지역에 방문하는 관광객의 양적ㆍ질적 성장정도, 지역관광의


경제적 효과, 지역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산업 발전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 관광객 만족도, 관광 지출액, 관광산업으로 구성함

 지역민관광활력은 지역민을 잠재적 관광소비자로 간주하여 지역 내 관광의


수요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민의 관광활동 잠재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지역
관광수요의 양적 크기와 성장성을 반영하는 인구구조, 관광활동 여건으로
구성함

관광정책역량 지수

 관광정책역량지수는 지자체의 지역관광 진흥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환경, 인적


역량, 홍보 측면에서 파악하는 지표체계로 관광정책환경, 인적역량, 지역홍보로
구성함

- 58 -
 관광정책 환경은 관광정책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환경 수준과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적 노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지자체가 지역관광
발전을 위해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관광정책사업, 정책 환경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관광예산으로 구성함

 인적 역량은 지역관광발전정책을 집행하는 주체인 관광공무원 투입 인원을


측정하고 관광 관련 인적 자원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성 제고 노력을
측정하는 지표체로 정책인력과 관광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관광교육으로
구성함

 지역홍보는 행사참여, 매체 등을 통해 지역관광을 적극적으로 알려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해당지역의 관광공무원 정책적
노력인 홍보정책과 매체홍보로 구성함

3. 자료수집 방법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경우 모든 통계자료는 국가승인 통계자료의 사용을 원칙으


로 하며, 지자체 조사표를 확보하여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자료 수집과 활용
을 장점으로 하고 있음

­국가승인 통계: 국립공원 기본통계, 도립공원ㆍ군립공원 기본통계, 산림청


임업통계, 문화재청 문화재 통계, 관광지식정보시스템 등 20개

­지자체 조사자료 12개

­전국민 만족도 조사(설문) 2개

 다만, 일부 지표는 관리체계 부재 등의 이유로 통계자료 형태로 존재하지 않아


직접 구득이 어려운 상황임(예: 관광만족도와 관광 지출액 데이터)

 대부분의 자료는 1년 동안(예: 2018년 1월 1일 ~ 12월 31일) 혹은 12월 31일을


생산시점으로 정하여 구득하고, 해당 연도에 생산할 수 없는 일부
지표(문화재수, 전체 사업체수)는 전년도에 생산된 데이터를 일부 포함하여
구득하는 방식으로 격년제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음

- 59 -
4. 지역관광발전지수 평가

 지역관광발전지수는 정부승인 통계자료 활용을 기본으로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데이터 구득과 활용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음

­34개 세부지표 중 관광만족도(정성)를 제외한 33개 세부지표가 모두


정량지표로 구성

 하지만 기존 구독 가능한 지표만 활용하다 보니 최근 더욱 빠르게 변해가고


있는 관광 환경 및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

 관광산업은 복잡한 시스템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기술의 진보, 관광트렌드 변화


등으로 타 분야와의 융·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임

 따라서 관광의 융·복합적 특성(예: OTA, 공유 경제 등)과 최근 트렌드,


조사방법(예: 빅 데이터 활용) 등을 반영한 지표의 구현이 필요함

 관광발전지수는 주로 투입 위주의 지표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산출 또는 성과와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의 개념이 부재하며,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지역 관광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무형적 가치(예: 지역사회의 시민의식 및 책무성, 개방성,
지속가능성, 관광 환경 등)에 대한 고려 역시 요청됨

- 60 -
제3절 지역관광경쟁력지수 및 지역관광발전지수 검토를 통한 시사점

순위 경쟁 대신 지속가능한 지역관광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지표체계 작성 필요

 관광경쟁력 및 관광발전 지수의 경우, 전국 지자체의 관광 수준 진단을 통한


순위, 비교 평가에 대다수의 지자체와 공무원들이 몰입되어 있었음

 지표개발의 취지, 목적과 달리 순위 경쟁에 매몰되다 보니 실제 각 지자체에서


성공한 관광 콘텐츠나 자원이 생기면 우후죽순 모방이 되고, 어느 지역에 가든
비슷한 자원과 콘텐츠가 양산되어 관광경험의 질과 만족도, 지역관광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

 따라서 향후 지표는 지자체의 다양한 매력과 경쟁력을 획일화하는 지표체계


구성에서 한발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지역 관광을 위한 토대와 환경, 역량을
갖추어 나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진단 지표명인 ‘지역관광경쟁력지수’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같이 정량적인 개념이 지배적인 지표명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지역 관광과 관광객, 지역주민, 지역의 관광사업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진단지표체계를 지향하기 위하여 ‘상생’지표로 네이밍 하고, 포지셔닝
하고자 함

지속가능한 관광을 고려한 지표 체계 구축

 이제까지의 관광의 성과는 주로 정량적이고 단선적인 관광객 수, 매출액 등에


한정되어 왔음

 하지만 ‘지역관광상생지표’는 지속가능한 지역 관광을 위해서는 최근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오버투어리즘 문제,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지역사회의
환경 및 사회문화적 지속성 훼손,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

- 61 -
 전 세계적으로 환경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 관광 관련 지표체계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부문이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음

 WEF의 관광경쟁력 지표를 살펴보면, 자연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면의


지표가 제시(예: 미세먼지 농도, 환경규제의 엄격성/집행력, 관광개발의
지속가능성, 미세먼지농도, 환경조약 승인수, 물부족 수치, 멸종위기 종,
산림지역 변화, 폐수처리, 어업강도) 되어 있음

 따라서 자연 및 문화 자원 훼손 등 환경과 지역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정책과 관광개발 시행,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

 ‘지역관광상생지표’에서는 관광을 통한 환경적 지속가능성,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이라는 3대 지속가능한 관광발전의 핵심 목표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

관광의 주체인 수요자 입장(지역주민, 관광객)을 고려한 지표 필요

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은 양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공급자 측면의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져 왔음

 기존 연구에서도 주로 관광산업의 공급자 측면에서 지표가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 관광 경험의 질과 관광객 만족도,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지속가능한
관광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하면서 관광의 주체인 수요자 관점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

 연구진은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갈등을 해소하고, 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관광사업체 운영과 마을 관광개발을 통해 관광을 통한 편익이 지역주민에게
온전하게 선순환되고, 관광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역주민
측면의 지표체계가 중요하다고 판단

 더불어, 최근 더욱 다양해진 관광객의 욕구와 수요를 만족시키고 관광경험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사회 심리적 반응에 대한 고려 역시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관광객 측면의 지표체계를 구성

- 62 -
지역 사회와 지역민의 역량을 통한 관광 번영과 선순환 가치 체계 필요

 이제까지 우리나라의 관광개발 방식은 주로 탑다운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관광을 통해 지역 사회와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관광으로 인한 편익과
혜택이 온전히 지역사회로 선 순환되기 위해서는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관광
개발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개발에 지역사회와 주민의 참여를 전제하여 지역의


활성화와 주민 복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지표가 반영될 필요성이
높음

 또한 지역의 관광자원 이외에 관광 공급자와 지역주민의 인적역량을


발전시키고, 관광객이 지역을 안전하게 관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인종과
종교에 대한 차별 없이 외부 방문객들이 환대받을 수 있는 지역 주민의
시민의식과 개방성 역시 중요한 지역관광의 요건이라고 판단

 따라서 본 지표에서는 지역 관광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요건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의 역량과 환경에 대한 고려가 지표에 제시될 필요성이 있음

상생 관광을 위한 지표체계 반영

 전술한 바와 같이 향후에는 관광을 통한 양적, 경제적 발전뿐만 아니라 양적


성장의 부작용으로 나타난 문제들을 해소하고 지역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행복하기 위한 상생 관광을 모색할 필요가 높음. 이를 위한 관광의 책무성과
지속가능성, 공정성(형평성) 등의 고려가 필요함

 특히, 관광에 있어 취약하였던 장애인, 노인, 영·유아동반 가족 등을 위한


무장애관광코스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시설, 지역 내 관광개발 및 지역사업체
육성 등을 고려한 지표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

- 63 -
[그림 12] 기존 지표의 비교 검토를 통한 지표개발 방향성 제시

새로운 관광 트렌드 및 환경 변화의 고려

 제4차산업시대 디지털과 기술 진보로 관광객들의 관광행태 변화(예: 스마트 폰,


공공 Wifi 확산에 따른 관광 전-관광-관광 후 관광행태 변화), 관광산업에서
디지털 혁신을 활용한 새로운 관광형태 및 플랫폼 개발, 홍보 마케팅 전략 등이
가속화되고 있음(예: 온라인 여행사 및 예약, 공유숙박/모빌리티 등, 타 분야와
융·복합된 다양한 관광벤처 및 플랫폼)

 최근 스마트 관광안내체계 및 인프라 구축, 스마트 관광 도시 조성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면서 관광지 내의 접근성, 인근 지역과의 연결성이 보다
수월해지고 있으며 관광객들의 이동 동선도 더욱 확장되고 있음

 따라서 새로운 관광 행태 및 트렌드 반영을 위한 스마트 관광안내 체계 및 관광


환경, ICT준비 수준 등이 앞으로의 지표에 중요하게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빅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자료 구득 방법을 활용하여 필요한 통계를 산출해
나가는 것도 모색되어야 할 것임

- 64 -
Ⅳ 지역관광경쟁력 개념 재정립

제1절 경쟁력 개념의 검토

1. 국가경쟁력의 의미

경쟁력은‘국가경쟁력지수'에 따른 순위 매김

 주요 국제기구들은 부가가치의 창출이라는 관점에서 경쟁력을 정의하고 있음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는 자국 내 기업이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민들이 더
나은 경제적 번영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유지하는 국가의 능력으로
정의함

­세계경제포럼(WEF)은 높은 수준의 일인당 GDP 성장률을 유지하도록 하는


국가의 능력으로서, 중장기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지지해 주는 제도와
경제정책의 종합으로 설명함

 ‘경쟁’이라는 의미에 집중하여 한 국가가 다른 국가들과 경제적 측면에서


경쟁하여 이길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한 경우도 있음(산업정책연구원)

 경쟁력이라는 용어의 외연을 확장하여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경제성장 및 삶의 질을 제고하는 국가의
총체적 역량이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음(삼성경제연구소)

 핵심 키워드는 기업에 초점을 맞춰 더 많은 부가가치 창출, 타 국가의


경쟁기업과의 경쟁에서의 승리 등 생산성/효율성 등을 통한 ‘경제번영’과
이러한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한 ‘국민의 삶의 질(생활수준)’ 향상을 도모함

- 65 -
2. 국가경쟁력 개념의 시사점

국가경쟁력과 관광산업간의 적합성

 국가경쟁력은 경제성장, 번영, 생산성의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관광을 통한


이윤의 창출과 경제적 번영이라는 “관광산업” 측면에서 관광과 다소간 개념적
적합성이 있음

국가경쟁력 개념의 중대한 한계점

 경제성장을 해서 국가경쟁력이 높은지, 국가경쟁력이 높아서 경제성장을


했는지의 인과관계가 불분명함

 경제성장을 위해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신)자유주의 이론과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지지하는 발전주의국가 이론은 상충됨

 오늘날의 국가경쟁력은 기업의 경쟁력 위주에서 국가의 거버넌스 능력을


고려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특히 사회적 갈등해결능력이 특별히
요구됨)

 지수는 현재 상태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이어야 함. ‘지수를 구성하는 지표


항목들의 수치가 (일방향적으로) 높으면 높을 수록 좋은 것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됨

- 66 -
제2절 관광경쟁력 개념의 검토

1. 관광경쟁력의 의미

관광경쟁력의 다양한 의미

 생산성의 측면에서 관광경쟁력을 정의하는 입장이 있고, 생산성 이외에 관광의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입장이 있음

 생산성 중시 관점에서의 관광경쟁력 개념 정의는, 대표적으로 일국의 관광여건이


국제관광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의 관광생산성과
관련된 총체적 능력(WEF)이나 관광생산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심원섭,
2003)이라는 정의가 있음

 한 국가의 관광시장 및 여건, 관광자원, 인력자원, 인프라 구조 등이


국제관광시장에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 창출 및 국부를 증가시키는 능력이라는
설명도 있음(김철원, 2000)

 리치와 크라우치(Richie & Crouch)는 생산성 이외에 관광의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는 입장으로서, 관광목적지 경쟁력을 논할 때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실체가 없는 개념이며, 이는 단순히 economically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ecologically, socially, culturally, politically 지속가능성을 모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

 관광목적지 경쟁력은 관광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생산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능력이라는 규정도 있음(Buhalis, 2000)

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자원을 집적하고 관광가치를 창출하면서 관광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통하여 지역의 포용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관광시스템을 구축하는 능력으로 정의

- 67 -
2. 관광경쟁력 논의의 시사점

국가경쟁력과 관광경쟁력의 공통점

 기본적으로 관광경쟁력 논의는 관광시장, 관광산업 차원에서 접근되었으며


지속가능한 생산 능력(생산성)의 향상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및 국부의 증가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음

관광경쟁력 개념의 한계

 그러나 단순히 생산 능력(혹은 생산성)의 향상으로만 접근한다면 대규모


대중관광의 활성화로 인해 관광지역의 자연과 자원이 훼손되고 지역주민이
소외되는 문제가 발생함

 이러한 가운데 2015년 제 70차 UN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의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 패러다임이 사회
전 영역으로 확산되면서 관광에서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음(Ritchie & Crouch, Buhalis, 한국관광공사)

 관광산업은 복잡한 시스템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기술의 진보, 관광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인해 타분야와의 융복합적 특성이 역동적으로 발현됨

 이러한 측면에서 관광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관광트렌드의 변화를 반영하는 지표


설정과 개발이 요구됨

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경쟁력 개념은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이라는 측면에서


단순히 생산 능력(혹은 생산성)의 향상이라고 정의한 기존의 관광경쟁력처럼
관광의 효율과 효과에만 치중한 것은 아니며, 다만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이라는
개념들이 현재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있는 상태

- 68 -
제3절 관광경쟁력 개념의 재정립

1. 관광에서 상생의 중요성

‘상생’관점에서 본 관광경쟁력의 한계

 상생의 사전적 정의는 “둘 이상이 서로 북돋우며 다 같이 잘 살아감”을


의미하는데, 관광경쟁력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관광의 목표는 해당 관광지역의
자원을 고갈시키고 지역주민들을 소외시킴으로써 ‘상생’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여줌

 구체적으로 대중 관광(Mass Tourism)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관광은 대규모 관광객


유치가 핵심이었으며 자연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자원의 관광화에 따른
관광수입 극대화를 목표로 함

 따라서 자원을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연이 훼손되어 심각한 경우 관광


자원의 매력이 감소할 수 있음

 개발은 주로 대규모 시설유치에 중점을 둠으로써 지역의 자본보다는 외부


자본(특히 외국인 투자) 유치에 중점을 두었으며, 개발 과정에서 주체는
외부인이었고 지역주민은 관광 관련 종사원 혹은 방관자의 역할에만 국한됨

경쟁력 없는 경쟁적인 관광개발

 천편일률적인 시설을 유치(예: 흔들다리, 레일바이크 등)함으로써 유사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지자체와의 경쟁이 불가피하며, 중복투자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

 대규모 시설유치에 중점을 둔 관광개발은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정서 괴리에


의한 고유전통문화의 상실이라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환경 인식 역시
저하될 가능성이 큼

 따라서 관광을 관광객의 양적인 유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생산 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만 접근한다면, 관광의 또 다른 주체들인 지역주민과 지역의
관광산업체들을 소외시키거나 배제하는 문제를 야기

- 69 -
‘상생’을 반영한 지표 재구성의 필요성

 한국관광공사는 지역관광경쟁력을 관광자원을 집적하고 관광가치를 창출하면서


관광정책의 효과적인 집행을 통하여 지역의 포용적 성장을 견인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관광시스템을 구축하는 능력으로 정의함

­그러나 지역관광경쟁력 지표의 구성을 살펴보면 “관광자원을 집적하고


관광가치를 창출하며 관광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하는 주체가” 공급자
위주로 구성되어 있음

­관광자원, 관광인프라, 관광정책을 반영한 지표들이 대거 포함됨으로써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관광시스템 구축’ 역시 관광 관련 사업체와
지자체로부터 시작되는 top-down 방식을 반영하고 있음

 하지만 관광의 또다른 주체들인 관광의 수요자(관광객)와 지역주민의 참여를


반영한 지표들이 부족한 실정

­최근 SNS를 중심으로 후기·평판·입소문과 같은 바이럴 마케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관광객의 사회심리적 반응(만족도, 재방문의사, 추천의사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관광객과 주민의 갈등, 주민이 참여하는 관광두레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주민에 대한 고려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지역의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지역주민과 관련된 지표 개발이 요구됨

 한국관광공사의 지역관광경쟁력 지수가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관광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의 지표체계에서 반영되지
않았던 수요자(관광객), 지역주민, 지역관광 산업체들로부터 시작되는 bottom-up
방식의 지표가 반영될 필요가 있음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관광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급자 위주의


일방향적인 정책지향보다는 수요자 및 지역 구성원들의 욕구와 역할이 반영된
양방향적인 지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맥락에서 단순히 생산성의 향상이라는 의미가 강하게 드러나는


지역관광경쟁력이라는 개념보다는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행위 주체들의
역할과 욕구가 반영된 ‘상생’이라는 키워드가 반영된 지역관광 상생지표로
지표 이름을 변경함

- 70 -
 포용성 혹은 시민의식을 반영한 지표개발을 통해서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등 소위 사회적 약자라고 일컬어지는 집단들이 물리적 제약과 사회적
편견 없이 자유롭게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음

 지표의 궁극적인 목표(바람직한 관광 성과)에 대한 개념적 재정의가 요구됨

­기존의 관광경쟁력 및 관광발전 지수의 경우, 전국 지자체의 관광 수준


진단을 통한 순위매김 혹은 비교 평가에 대다수의 지자체와 공무원들이
몰입되어 있었음

­지표 개발의 취지와 목적과 달리 순위 경쟁에 매몰되다 보니 관광객들의 관광


경험의 질과 만족도, 지역 관광의 지속가능성이라는 측면이 간과되고 있음

­또한 기존의 관광경쟁력 논의는 관광시장, 관광산업 차원에서 접근하면서


대규모 대중관광의 활성화로 지역의 자연과 자원이 훼손되고 지역주민이
소외되는 문제를 발생시켰음

- 71 -
2. 상생 관광과 지속가능성

상생을 위한 관광의 지속가능성

 향후 지표는 지자체의 다양한 매력과 경쟁력을 획일화하는 지표 체계 구성에서


한발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지역 관광을 위한 토대와 환경, 역량을 갖추어
나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음

 지속가능한 관광이란 관광이 지역을 경제적으로 번영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관광의 발전은 생태적 보존을 담보하고 생물학적
다양성과 자원의 보호하는 방식으로 실행한다는 ‘환경적 지속가능성’,
관광으로 인해 지역의 문화가 정체성을 잃지 않고 지역의 고유성을
유지·강화하면서 발전한다는 ‘사회문화적 지속가능성’이라는 세 차원에서
고려해볼 수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진단 지표명인 ‘지역관광경쟁력지수’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같이 정량적인 개념이 지배적인 지표명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지역 관광과 관광객, 지역주민, 지역의 관광사업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진단 지표를 지향하기 위하여 ‘상생’지표로 네이밍 하고, 포지셔닝
하고자 함

- 72 -
3. 기존 지표와 상생지표의 비교

미래 지향적인 지속가능성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가 양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공급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면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경우는 관광의
다차원성을 반영한 지표라고 할 수 있음

­지역관광 상생지표는 관광주체 (지역민+관광객) + 관광정책 + 관광자원 매력성


+ 지역관광산업 역량 + 관광의 사회적 책임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됨

지역적인 맥락을 반영하는 지표체계

 지금까지 관광개발 방식은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가 지표체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지역적인 맥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하지만 관광을 통해 지역사회와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관광으로 인한


편익과 혜택이 온전히 지역사회로 선순환되기 위해서는 지역민이 주체가 되는
관광개발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임

­따라서 고유성의 측면에서 지역의 특색이 효과적으로 반영된 관광자원과


콘텐츠를 발굴할 필요

관광객의 다양성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

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경우 다양한 인구·사회·문화적


배경을 지닌 관광객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따라서 형평성의 측면에서 인구·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열린 물리적, 심리적으로 접근가능한 관광지가 될 필요가 있음

­무장애 코스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나 외국인 노동자 혹은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없는 포용성 확보가 요구

- 73 -
제4절 ‘지역관광상생지표’ 개발에 대한 시사점

지역주민 관점에서의 상생발전을 지표에서 측정가능해야 함

 생활관광, 시민관광, 관광주체로서의 지역주민의 중요성이 높아짐

 지역민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 증대 – 관광의 궁극적인 목표는 관광객뿐 아니라


지역민의 삶의 질 개선 및 만족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됨

 정책에 대한 수혜자는 곧, 해당 지역의 거주자로서 주권 행사가 가능한 주체가


중심이 되어야 함

지역특성 및 테마를 고려한 관광자원이 증진될 수 있도록 상생발전을 지표에서


측정가능해야 함

 관광객체로서의 관광자원에 대한 매력도를 실질적으로 측정해야 함

 출렁다리, 케이블카 등 똑같은 관광지 및 관광시설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2019년


확대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도 지적한 바 있음

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브랜드화, 지역테마 관광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지도록 본


지표가 견인할 수 있어야 함

스마트관광의 등장, 관광의 영역 확장, 빅데이터 기반의 상생지표의 측정이 필요

 관광에 대한 새로운 매체(플랫폼)에 대한 등장과 스마트 관광의 중요성 대두

 측정방식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측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가공인통계의


한계성을 극복 가능함

 관광진흥법 상의 관광사업체만이 아닌 보다 확장된 관광객 입장에서의


관광측정이 필요함

- 74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부합하는 관광의 책임성 강화가 지표에 반영 필요

 관광의 경쟁력이라는 초점에서 치우친 지역의 경제적 발전 중심의 논리에서


탈피함

 관광이 가져야 할 환경적 지속성과 사회·문화적 지속성에 대한 고려가 요구됨

 지속가능발전 목표에 부합하는 관광의 책임성 강화 필요

지역관광의 회복탄력성 관점에서 진단체계 구축 필요

 포스트 코로나 이후 국내관광이 대비해야 할 요소들에 대한 검토

 관광의 안전성, 지역관광이 지역을 살리는 소비진작 효과, 지역만의 콘텐츠를


부각시키는 요소의 개발

 핵심모듈에서 다룰 수 없는 내용은 주제모듈과 크로스컷팅 형태로 관광의


Transformer 지표를 검토

- 75 -
Ⅴ 지역관광 상생지표

제1절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기본방향

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비전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모두 행복한 지속가능한 상생


관광 실현’으로서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핵심적인 목표였던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관광 시스템 구축의 주체를 확장시키고 ‘행복’이라는 키워드를
추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광의 궁극적 목적을 좀 더 명확히 제시함

 핵심 가치는 고유성, 형평성, 지역역량, 상생

- 고유성이란 지역의 특색이 담긴 관광 자원의 발굴을 의미하며 지역의 특색이


녹아 있는 관광자원과 콘텐츠 개발을 지표에 담고자 함

- 형평성이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지역사회를 의미하며 인구·사회·문화적


배경과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열린 물리적, 심리적으로 접근가능한 관광지 구축을
목표로 함

[그림 13]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기본방향

- 지역역량이란 지역이 주도가 되는 지역의 관광역량 육성을 의미하며, 지역의


관광산업과 주민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관광정책 개발을 목표로 함

- 76 -
- 상생이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모두 행복한 지역관광을 의미하며 관광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표를 반영

- 예컨대 지역주민에 대한 관광 관련 평생학습을 통해 사회참여를 바탕으로 한


경제적 기회 창출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만족감, 더 나아가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

- 77 -
제2절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틀

1. 상생지표의 전반적인 개요

지표의 틀과 구성에 대한 개관

 ‘상생’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조건/환경 → 과정 → 결과’라는 틀을 적용

­‘선행조건/환경’은 Crouch & Ritchie(1999)가 제시한 관광경쟁력 모델 중에서


‘핵심적 자원과 매력요소’라는 개념과 부합하며 해당 관광지역에 방문하게
되는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음

­‘과정’은 ‘상생’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해당 관광지역의


관광역량이라고 할 수 있음

­‘결과’는 ‘선행조건/환경’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관광역량을


극대화함으로써 목표한 최종산출이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

지표의 구성 요소에 대한 개관

 ‘선행조건/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는 관광자원 매력도가 있으며, 관광자원의


경우 보편적인 관광자원을 의미하는 ‘일반적 관광자원’과 해당 지역의 고유한
관광자원을 의미하는 ‘지역특화적 관광자원’으로 구성

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는 관광산업 역량이며, 관광산업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역량들인 ‘교통편의성, 관광산업체 서비스 역량, 안내/홍보 능력’과
해당 지역의 자체적인 관광산업 역량을 의미하는 ‘지역특화적
관광제공역량’으로 구성

 ‘결과’에 해당하는 요소는 관광성과이며, 성과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성과지표인 ‘관광 결과 및 효과,
관광객 만족’과 ‘상생’의 의미를 살려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을 포함

- 78 -
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 역시 관광자원 매력도, 관광산업
역량, 관광성과라는 투입 → 과정 → 산출의 메커니즘을 담고 있지만 지표의
대부분이 관광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

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경우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와 지역관광발전지수가


간과하고 있던 ‘상생’이라는 가치를 반영

­관광산업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에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관광 거버넌스,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들을 적극적으로 반영

[그림 14]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틀

 관광 거버넌스의 경우는 관광에 참여하고 있는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체계를 갖춘 관광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제도적 지원을
의미하며, 지역관광에 참여하고 있는 세 주체인 관광산업, 지자체, 지역주민의
역할을 반영하는 ‘관광투자, 관광행정, 주민참여 관광’이 여기에 해당

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은 관광의 지속가능성, 형평성, 시민의식, 그리고 관광객과


주민의 안전과 관련된 지표들로 구성됨

- 79 -
2. 상생지표의 구성 요소와 지표 항목

관광 거버넌스

 관광 거버넌스는 관광투자, 관광행정, 주민참여관광으로 구성됨

<표 14> 관광 거버넌스의 지표 항목

대분류 중분류 기존 지표체계와 비교 지표 항목

 기존 지표체계에서 지자체 관광(시설)민간투자실적


관광투자
반영되지 않았음 민간투자잠재력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정책 역량지수와 관광공무원수
관광행정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 관광정책의 일부 지표 지자체 관광예산 비중
거버넌스 를 반영하고 있음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
포용적성장 영역에서
주민참여 측정하던 지역기반관
관광 광을 거버넌스 관점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
에서 주민 참여에 초
점을 맞춰 측정함

 우선 관광투자는 기존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반영하지


않았던 영역임

­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실적, 민간투자잠재력을 측정하고 있음

 관광행정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정책 역량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구체적으로는 관광공무원수, 지자체 관광예산 비중을 포함하고 있음

 주민 참여 관광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포용적 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영역 중


하나인 지역기반관광 영역과 유사성을 갖고 있으나 주민참여에 초점을 맞춰
지역관광 상생을 위한 거버넌스를 측정하고자 한다는 점에 차이를 보이며,
지역주민들이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지역관광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반영하고 있음

­구체적으로는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를 통해


측정하고 있음

- 80 -
관광자원 매력도

 ‘선행조건/환경’으로서 관광자원 매력도의 경우 Crouch & Ritchie(1999)가


제시한 관광경쟁력 모델 중 ‘핵심적 자원과 매력요소’라는 개념과 부합하며,
해당 관광지역에 방문하게 되는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음

­해당 지표는 지역특화 관광자원과 일반적 관광자원으로 구성됨

<표 15> 관광자원 매력도의 지표 항목

대분류 중분류 기존 지표체계와 비교 지표 항목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문화생태관광자원
관광자원분포와 지역
지역특화 관광경쟁력지수의 관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관광자원 광자원집적(특화관광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자원)의 일부 지표를
반영하고 있음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관광자원
관광객이용시설수
매력도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자원분포와 지역관광 유원시설수
일반적 경쟁력지수의 관광자
관광(단)지수
관광자원 원집적 ( 관광시설 ) 과
일부 지표를 반영하 국제회의시설수
고 있음
문화기반시설수

 지역특화 관광자원은 해당 지역에 방문해야만 누릴 수 있는 고유한 자원을


의미하며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자원분포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특화관광자원)과 일부 부합함

­구체적으로는 문화생태관광자원,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등이 여기에 해당함

­관광시설 매력도와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는 기존의 관광경쟁력 지표들이


고려하지 않았던 지역의 고유한 매력도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음

- 81 -
 일반적 관광자원은 해당 관광지역의 고유한 자원이 아닌 보편적인 측면에서의
관광자원을 의미하며,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자원분포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관광시설)과 일부 부합함

­대표적으로 관광객이용시설수, 유원시설수, 관광(단)지수, 국제회의시설수,


문화기반시설수 등이 여기에 해당함

- 82 -
관광산업 역량

 ‘과정’으로서 관광산업 역량은 교통편의성, 관광산업체 서비스 역량, 안내/홍보


능력과 같은 일반적인 관광산업의 역량과 지역특화적 관광제공역량으로 구성됨

<표 16> 관광산업 역량의 지표 항목

대분류 중분류 기존 지표체계와 비교 지표 항목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이동수단운행횟수
관광접근성과 지역관
광발전지수의 관광인 철도운행횟수
프라의 일부 지표를
시티투어운행횟수
교통 반영함
편의성 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 시내교통망
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
존의 관광경쟁력과 관 공유 모빌리티 운영
련된 지표에서 반영하
관광지별 주차장 확보
지 않았던 지표 추가

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숙박업 역량
관광자원집적과 지역
관광발전지수의 관광 일반숙박업 역량
사업체 인프라의 일부 지표를
서비스 반영함 공유숙박업 역량
역량  공유숙박업의 비중이
관광산업 높아지고 있는 최근의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역량 관광트렌드를 반영하
고 있음 쇼핑시설업 수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
프라안
( 내), 지역관광경쟁력 무선 네트워크 범위
지수의 관광수요촉진관 ( 광홍
보의
) 일부 지표를 반영함 스마트안내체계지수
관광안내/
 기존의 지수들이 반영하
홍보 능력
지 않고 있는 스마트관광 안내서비스인력수
이라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지표들을 적극적 OTA 적용 숙박업소수
으로 개발하고 있음
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
지역특화관 서 적극적으로 반영하 관광품질인증수
광제공역량 지 않았던 지역기반 우수여행상품수
관광산업의 역량을 의
미함 한국관광100선여부

- 83 -
 일반적인 관광산업의 역량과 관련하여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접근성과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에 해당하는 교통편의성은
이동수단운행횟수, 철도운행횟수, 시티투어운행횟수, 시내교통망, 공유 모빌리티
운영, 관광지별 주차장확보 등이 해당됨

­상생지표에서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존의 관광경쟁력과


관련된 지표에서 반영하지 않았던 공유 모빌리티 및 주차공간 확보를 추가함

 관광산업체 서비스 역량은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과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관광숙박업 역량, 일반숙박업 역량, 공유숙박업 역량,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쇼핑시설업수 등이 여기에 해당함

­특히 숙박업 중에서 공유숙박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최근의 관광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음

 관광 안내/홍보 능력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안내),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수요촉진(관광홍보)과 일부 부합함

­무선 네트워크 범위, 스마트안내체계지수, 안내서비스인력수, OTA 적용


숙박업소수 등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스마트관광이라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지표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 지역특화적 관광제공역량의 경우 기존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았던 지역기반 관광산업의
역량을 의미함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관광품질인증수, 우수여행상품수, 한국관광100선


여부 등이 포함됨

- 84 -
관광성과

 관광성과는 관광 결과 및 효과와 관광객 만족, 그리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됨

<표 17> 관광성과의 지표 항목

대분류 중분류 기존 지표체계와 비교 지표 항목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지역관광효과와 지역
관광경쟁력지수의 관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광 효과성의 일부 지
관광GRDP 기여율
표를 반영하고 있음
관광
 기존 지수에서 반영 관광고용의 기여도
효과성
하고 있지 않은 권역
평균관광체류시간
(혹은 생활권 내) 지
역주민 관광객수를 관광 체류일수
신규 지표로 반영하
고 있음 권역내 지역주민 관광객수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
관광객 만족도
역관광효과와 관광 가
치창출 지표를 일부 반
관광객 재방문의사
관광성과 관광객 영하고 있음
만족  사회적 편견없는 여행
타인추천의사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지역주민 환대라는 지
지역주민 환대
표를 새롭게 추가함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
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
지역 관광활력과 일부
분 관련이 있지만, 그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
지역주민
동안 기존의 관광에서
만족 지역주민의 자긍심
소외되었던 지역주민
의 만족도를 적극적으
로 반영하였음 지역주민의 정체성

지역주민의 행복

- 85 -
 우선 관광효과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관광효과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 효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구체적으로는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관광GRDP


기여율, 관광고용의 기여도, 평균관광체류시간, 관광체류일수, 권역(혹은 생활권
내) 지역주민 관광객수로 구성됨

­특히 ‘상생’이라는 측면에서 지역주민이 해당 지역의 관광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권역(혹은 생활권 내) 지역주민
관광객수를 신규 지표로 반영하고 있음

 관광객 만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관광효과와 관광 가치창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관광객 만족도, 관광객 재방문의사, 타인추천의사, 지역주민 환대 등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등 소위 사회적 약자라고 일컬어지는


집단들이 사회적 편견없이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해당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지역주민 환대라는 지표를 새롭게 추가함

 지역주민의 만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 관광활력과 일부분 관련이 있지만,


그동안 기존의 관광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음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 지역주민의 자긍심, 지역주민의 정체성, 지역주민의 행복에 대한
지표들을 새롭게 추가함

- 86 -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

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은 기존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지표 내에 반영하고 있지 않던 개념으로서 지속가능성, 형평성, 주민의 시민의식,
안전으로 구성됨

<표 18> 관광의 사회적 책임성의 지표 항목

대분류 중분류 기존 지표체계와 비교 지표 항목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지속  기존 지표에는 피해정도
가능성 반영되지 않았음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
무장애관광지수
 무장애관광지수를 청년실업률
제외하고는 기존
형평성 여성고용률
관광의 지표에는
사회적 반영되지 않았음 불평등계수
책임성 지가 불균형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지역주민의  기존 지표에는
신뢰 반경 범위
시민의식 반영되지 않았음
지역주민 시민의식
강력범죄 발생건수
 생활안전
사고발생건수,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안전
야간보행 야간보행 만족도
만족도가 추가됨
교통사고 발생건수

 우선 지속가능성은 지속가능한 관광이라는 최근의 정책적 담론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개념임

­젠트리피케이션지수,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를 포함

- 87 -
 형평성은 무장애관광지수, 청년실업률, 여성취업률, 불평등계수, 지가불균형을
포함하고 있음

­관광산업을 통해 창출된 경제적인 성과가 불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을 추가하였음

­무장애관광지수를 통해 사회적 약자가 지역관광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는지를 측정하고 있음

 주민의 시민의식은 지역관광의 주체로서 지역주민이 얼마나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지역관광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개념임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신뢰반경범위, 지역주민 시민의식을 통해


측정하고 있음

 안전은 강력범죄 발생건수,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야간보행 만족도, 교통사고


발생건수 등을 통해 측정하고 있음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 지표들이 반영하지 못하고 있던 여행지에서의 안전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구축함

- 88 -
3. 지역관광상생을 위한 관광생태계 지도

지역관광 상생지표 생태계 맵핑

 지역관광상생을 위한 관광생태계 지도를 개략적으로 구축한 자료가 [그림 15]에


제시됨

 지역관광 상생지표 생태계 맵핑을 작성한 이유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지표체계 구성 및 관광의 융복합성으로 인해 관점(관광객, 지역주민, 산업)에
따라 지표체계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구축되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지역상생을 위해 다양한 관광요소가 어떤 관계성을 갖고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지역관광을 구성하고 있는 세 주체인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산업과 관련된


지표들이 색깔별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세 주체간 중첩
영역에 대해서도 구별되는 색깔을 통해 표시하고 있음

Base area와 관점에 따른 관광생태계 내에서의 지표 간 연계성

 우선 거버넌스 영역 중 관광투자는 관광산업의 관점에만 해당하며,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 투자실적, 민간투자 잠재력 등이 포함됨

- 해당 영역은 Acceleration area의 관광자원 매력도 중 일반 관광자원 지표들과


연결됨

 관광 행정은 관광산업, 관광객, 지역주민 모두의 관점이 반영된 지표이며 관광


공무원수와 지자체관광 예산비중이 포함됨

 주민참여관광은 관광산업과 지역주민 관점이 중첩된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정도가 포함되며 간접적으로는 지역주민 관점에만 해당하는
주민주도관광사업체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영역 중 형평성에 해당하는
지표들을 포함

- 89 -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영역과 관련하여 지속가능성은 관광객 관점에만 해당하는
관광지 개발로 인한 자원보존도 평가(관광객) 세 관점 모두를 포함하는
젠트리피케이션지수, 지역주민 관점만 해당하는 관광개발로인한 지역주민
피해정도, 관광지 개발로 인한 자원보존도 평가(지역주민)를 포함

 형평성은 지역주민과 관광객 관점이 중첩된 열린 관광지수, 무장애 관광지수와


지역주민 관점만 반영하는 청년실업률, 여성취업률, 불평등 계수, 지가 불균형을
포함하고 있음

 지역주민의 시민의식은 지역주민과 관광객 관점이 중첩된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신뢰반경 범위, 지역주민 시민의식을 포함하고 있음

 안전은 관광객 관점에만 해당하는 강력범죄 발생건수,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지역주민과 관광객 관점이 중첩되는 생활안전 사고발생 건수, 야간보행 만족도를
포함하고 있음

Acceleration area와 관점에 따른 관광생태계 내에서의 지표 간 연계성

 우선 관광자원 매력도와 관련하여 지역특화 관광자원은 관광객과 지역주민


관점이 중첩되는 문화생태 관광자원, 지자체문화 관광축제수, 지역특화관광
시설매력도, 지역특화 음식적 매력도를 포함하며, 이 지표들은 관광산업역량의
스마트안내 체계지수 지표, 교총편의성 지표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일반 관광자원은 관광객과 지역주민 관점이 중첩되는 관광객이용 시설수,


유원시설수, 관광(단)지수, 국제회의 시설수, 문화기반 시설수를 포함하며 Base
area의 거버넌스 영역 중 관광행정 지표인 지자체관광 예산비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관광산업역량과 관련하여 교통편의성은 관광객과 지역주민 관점이 중첩되는


관광지별 주차장확보, 세 주체의 관점이 모두 중첩된 시티투어 운행횟수,
시내교통량, 마지막으로 관광산업과 관광객이 중첩되는 이동수단 운행횟수,
철도운행횟수, 공유모빌리티 운영을 포함하고 있음

- 이 지표들은 관광자원 매력도의 일반 관광자원 지표들과 연결됨

- 90 -
 사업체역량의 경우 세 주체의 관점이 모두 중첩된 관광편의 시설업, 관광산업과
관광객의 관점이 충접된 관광숙박업, 공유숙박업, 쇼핑시설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지역특화관광 제공 역량 중 관광품질 인증 수 지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

 관광안내, 홍보역량은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관점이 중첩되는 안내서비스 인력수,


관광객의 관점만 반영된 무선네트워크 범위, 스마트 안내 체계지수, 관광객와
관광산업과 중첩되는 OTA 적용 숙박수를 포함하고 있음

 지역특화관광 제공 역량은 지역주민과 관광객 관점이 중첩된 한국관광 100선,


관광산업과 관광객의 관점이 중첩된 관광품질 인증 수, 우수여행 상품 수를
포함하며, 산업 관점만 반영한 지식기반 여행자수 도 여기에 포함

Result area와 관점에 따른 관광생태계 내에서의 지표 간 연계성

 관광성과의 하위 영역인 지역주민만족, 관광객만족, 관광효과성은 각각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산업의 만족도를 의미하며 각각의 독립적인 관점을 반영함으로써
중첩된 관점의 영역은 존재하지 않음

- 91 -
[그림 15] 지역관광상생을 위한 관광생태계 지도 구축

- 92 -
제3절 지역관광상생지표 체계 및 세부내용

1. 지역관광상생지표 체계
지역관광상생지표는 크게 5개 분야 16개 부문으로 구성하여 종합적인 지역 상생관광을 측정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지역관광상생지표의 체계는 1) 거버넌스(6개 지표), 2) 관광자원매력도(9개 지표), 3) 관광산업역량(19개 지표), 4)
관광성과(17개 지표), 5)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16개 지표) 총 5개의 축으로 구성되며, 전체 지표는 67개임

[그림 16] 최종 지역관광상생지표의 구성


최종 지역관광상생지표는 기존 관광경쟁력지수 및 관광발전지수와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음

<표 19> 지역관광상생지표와 기존 지표 비교

변화
기준 구체적 내용
(지역관광상생지표가 추구하는 바)

 관광의 추구 방향은 관광객의 정량적 증가 패러다임을 극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패러다임 전환


측정 범위 관광이 추구하는 방향 재설정  관광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 정립을 통해 사회적 형평성, 책무성에 대한 강조점 마련
 지역 내 민간의 관광생태계가 잘 구성되고 이끌 수 있도록 관 주도의 관점에서 민간 이양 을 측정

 국가 공인 통계 및 관광객 설문조사 활용에 대한 데이터 한계가 존재 (시점 및 범위의 한계, 관점의 한계)
기존 데이터의 한계성을 극복한  설문조사는 지역민 및 민관협의체 구성원들까지 포괄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이해관계 주체의 확장 고려
측정 방법
新 지표 패러다임 접근  공인통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최근년도 자료 구득 및 기초지자체 단위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빅데
이터 자료 활용

 기존 지수는 지자체간 순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되어 과열경쟁 및 불필요한 오해 소지 존재


 본 지표는 해당 지자체의 지역관광에 대한 상생 방안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지자체의 실질적인 진단에 초점
지자체의 실질적 진단을 위한
활용 방안  이를 통하여 지자체 내 관광의 상생발전을 위한 정책 발굴 및 컨설팅 활용이 가능한 부분을 우선 고려하여
지표 활용
개발
 또한, 주제모듈 및 크로스컷팅 지표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표의 연계성 마련에 초점
<표 20> 지역관광상생지표 구성

대분류 의미 중분류 의미 지표
개수
지역관광  지자체가 관광 투자 규모를 통해 지자체의
관광투자 2개
진흥과 촉진을 관광촉진 의지
거버
목적으로 하는 관광행정  관광행정을 집행하는 토대 2개
넌스
거버넌스 구조 주민참여  관광정책 의사결정 과정에 시민적 요소(주민
2개
(사람, 돈, 제도) 관광 참여)
관광 지역특화
 지역 특화된 독특한 관광자원 4개
관광객 관광자원
자원
매력 유인 일반적  기본적인 관광 자원 인프라
매력도 5개
관광자원  (시설, 하드웨어)
교통편의성  다양한 교통수단 확보 6개
사업체  관광객의 욕구/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광주체와 5개
역량 관광 관련 서비스(소프트웨어) 제공
관광 관광객체를
관광안내  관광객에게 필요한 정보 제공
산업 연결시킬 수 있는 4개
/홍보 능력  (신속성, 용이성, 편리성 등)
역량 관광산업/기관
지역특화
역량  지역 특화된 관광사업체/지역주민에 의한
관광 4개
관광서비스 제공가능 여부
제공역량

관광 효과성  관광객 관광행위의 직접적 결과 7개


관광주체 및  관광객 만족도
관광 관광객 만족 4개
지역사회에  지속적인 관광행위 유도 능력
성과
미치는 결과
지역주민 만족  관광객 관광행위가 지역주민에 미치는 영향 6개

 관광개발 시 자연환경 훼손 여부
지속
 관광개발 시 지역사회 역사성/문화성 존중 4개
가능성
여부
관광과 관련하여  사회적 소수자(노인,임산부, 유모차, 외국인,
관광의
제기될 수 있는 형평성 장애인 등) 배려 5개
사회적
사회적 문제  지역적 형평성
책무성
해결능력 지역주민의  지역주민의 외부 방문객에 대한 개방성
3개
시민의식  지역주민의 전반적 시민의식

안전  관광객 안전 4개

- 95 -
2. 지역관광상생지표 세부내용

1) 거버넌스

거버넌스 파트는 해당 지역의 관광진흥 및 촉진을 위하여 지자체 관광정책을 실행하는


구조의 수준을 측정하고, 관광투자/관광행정/주민참여형 관광을 평가함

거버넌스는 지자체 관광정책 실행 구조를 측정하여 기존 대비 민간의 책임 및 투자


독려를 강조

구체적인 항목을 살펴보면 관광투자는 기존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


에서 반영하지 않았던 영역으로서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실적, 민간투자잠재력을
측정하고 있음. 또한, 민간투자잠재력의 경우 민간투자를 위한 조건이 확보되었는지를
판단하고자 함

관광행정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정책 역량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정책


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관광공무원수, 지자체 관광예산 비중을 포함하
고 있음

주민참여관광은 기존의 지역관광개발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적극적으로 고려


하지 않았던 영역이자 ‘상생’이라는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목표에 잘 부합하는 개념
으로서 지역주민들이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지역관광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
는지를 반영하고 있음. 구체적으로는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 주민주도 관광사업
체수를 통해 측정하고 있음.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의 경우 기존에 없던 지표로
주민참여관광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지역관광협의체의 조직건전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추가하였음

- 96 -
[그림 17] 지역관광상생지표 – 거버넌스 부문 구성

<표 21> 지역관광상생지표 – 거버넌스 부문 지표 목록

중분류 세부지표 의미

지자체 관광(시설)
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 유치 노력도
관광 민간투자실적
투자
민간투자잠재력  지자체의 민간투자 의지 및 경쟁력을 측정

관광공무원수  관광관련 부서의 공무원 수 확보 정도 (전문직 공무원 포함)


관광
행정 지자체
 전체 지자체 예산 대비 관광관련 예산의 확보 정도
관광예산 비중
민관관광협의체  지역관광협의체(DMO 등)의 재정 및 운영 등 조직 건전성 정
주민
활성화 정도 도
참여
주민주도 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두레, 지자체주도 주민주도 관광사업체, 마
관광
관광사업체수 을 기업수 측정

- 97 -
(1) 관광 투자

가.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실적

 먼저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실적은 지자체 관광(시설) 조성사업에 대한 민간


자본 투자 유치 실적을 의미함. 이 지표는 지자체 민간투자 경쟁력을 측정하여,
합리적인 민간투자 유치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지자체 관광(시설) 민간투자실적

지자체 관광사업에 대한 민간 자본 투자 유치 실적
※ 관광사업이란 대규모 조성계획이 포함된 관광(단)지 사업 및 관광시설물 조성
정의
사업(예: 짚라인, 루지 등)을 의미함
※ 민간 자본이란 국내 및 해외의 민간부문이 지자체에 투자한 화폐자본을 의미함

산식 관광(단)지 민간 자본 투자 유치액 및 관광시설물 민간 자본 투자 유치액의 합계

출처 지자체 조사표 작성 ( 지자체별 관광개발사업 민간투자 유치액 데이터 요청)

의미 지자체 민간투자 경쟁력 진단을 통해 합리적인 민간투자 유치계획 수립

- 98 -
나. 민간투자 잠재력

 민간투자 잠재력은 지자체의 민간투자 의지 및 경쟁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표임.


지자체에 내부의 민간투자 담당 조직 설치 및 여부와 관광개발 관련 민간투자 계획
수립 여부를 확인하여 지자체의 민간투자 잠재력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관광자원 개발을 기대함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민간투자 잠재력

지자체의 민간투자 의지 및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자체 내부의 민간투자 담


당 조직 설치 여부 및 관광개발 관련 민간투자 계획 수립 여부
※ 민간투자 담당 조직이란 민간투자를 담당하는 실,국,과,팀 또는 테스크포스(TF)
정의
를 의미함
※ 관광개발 관련 민간투자 계획이란 관광(단)지 또는 각종 관광개발과 관련된
투자 목표 및 실행 전략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계획을 의미함

조사 시점 지자체 민간투자 담당 조직 설치 여부(설치되지 않은 경우: 0, 설치된


산식 경우: 1) 및 관광개발 관련 민간투자 계획 수립 여부(수립되지 않은 경우: 0, 설치
된 경우:1)의 합

출처 지자체 조사표 작성 ( 지자체별 관련 조직 및 계획 여부에 대한 데이터 요청)

의미 민간자본 투자 유치를 통한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관광자원 개발기여

- 99 -
(2) 관광행정

가. 관광공무원수

 관광공무원수의 정의는 관광전담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수이며, 연속성 있는


관광정책 추진가능성과 정책 추진의 체계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임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관광공무원수

관광전담부서*에 근무하는 공무원 수(* 팀 명에 ‘관광’ 또는 ‘MICE’가 명시된 관


정의
광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

산식 관광전담부서 공무원 수

출처 관광전담부서: 지자체 조사표를 통한 자료요청 또는 개별연락

의미 연속성 있는 관광정책 및 사업추진과 집행시스템을 통한 관광육성기반 조성

- 100 -
나. 지자체 관광예산비중

 지자체 관광예산비중은 지자체 전체 예산 중에서 관광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을 뜨함.


해당 지자체가 영역별로 예산 배분을 하는 데 있어서 관광분야 발전에 대한
지자체의 의지와 재정능력을 평가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지자체 관광예산비중

정의 지자체에서 관광분야가 차지하는 비중

관광예산/전체예산
산식  관광예산 : 세출예산서상 [62]관광예산
 전체예산 : 세출예산서상 일반회계+기타특별회계

출처 지자체 세출예산서

지자체가 관광분야에 직접적으로 예산을 배분한다는 점에서 관광분야에 대한 지


의미
자체의 재정적 능력을 평가

- 101 -
(3) 주민참여관광

가.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

 민관관광광협의체 활성화 정도는 민관관광협의체의 재무·운영 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이 지표를 활용하면 민관관광협의체의 조직 특성 및 역량을 파악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민관관광협의체 활성화 정도


민관 관광협의체의 재무, 운영 건정성 측정
※ 민간 관광협의체는 지역의 관광 관련 조직 및 사업체, 시민단체 그리고 시민들
이 민간주도 협의체와 지자체 및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실무자로 구성됨. 민관 관광
정의
협력 체제에서 지역의 관광조직이나 단체 시민들은 시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홍보
마케팅, 관광콘텐츠 육성, 관광수용태세 개선 등)을 수행하며, 협의와 자문 수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및 실행 주체로서 의사결정에 참여함
McKinsey 조직건강도 지수 (Organizational Health Index)
조직 방향성, 시스템, 조직 문화 등 9개 영역 37개 분야로 세분화하여 진단하며
세부진단 내용은 아래와 같음

산식

*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맥킨지컴패니 “한국기업의 조직경쟁력 진단”, 2015


출처 민관 관광협의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서베이 실시

의미 민관 관광협의체의 조직 특성 및 역량 파악

- 102 -
나.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

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는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관광사업체 수를 의미하며,


지표 그 자체로 지역주민이 관광에 얼마나 참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거버넌스

주민참여
중분류 관광투자 관광행정
관광

지표명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

정의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관광사업체 수

산식 문체부 관광두레수 + 지자체주도 주민주도 관광사업체 + 마을기업수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visitkorea.or.kr) → 관광두레 연차별 실적보고서
출처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사업담당자 개별연락
의미 관광사업에 주민 참여 정도 파악

- 103 -
2) 관광자원매력도

관광자원매력도 파트는 해당지역의 관광객을 유입하고, 편안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매력 요소의 수준을 측정하고, 지역특화관광 및 일반적 관광자원을 평가함

지역의 특화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고유성 및 가치 발굴에 초점을 맞춘 지표이며,


어느 지역에나 존재하는 출렁다리, 스카이워크, 레일바이크 등의 개발을 지양하기 위한
차별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고려

우선 지역특화 관광자원은 해당 지역에 방문해야만 누릴 수 있는 고유한 자원을


의미하며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자원분포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특화관광자원)과 일부 부합하며 구체적으로는 문화생태관광자원,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등이
여기에 해당함. 특히 관광시설 매력도와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는 기존의 관광 경쟁력
지표들이 고려하지 않았던 지역의 고유한 매력도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음

지역특화 관광자원 세부지표 중 신규 지표는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와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력도’임. 두 지표는 모두 최근 SNS가 유행하면서, 관광객들이
직접 점수를 정하고 그 점수가 온라인 상에서 모두 공개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함.
이러한 현상은 보다 수요자적 관점에서 지표체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줌. 이를
통해서 관광객들이 정한 해당 지역의 매력 점수를 확인할 수 있음. 또한, 최근 음식
프로그램 유행과 맞물려서 여행 트렌드 또한 지역의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반영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만 맛볼 수 있는 음식에 대한 지표가 필요하므로
이러한 지표를 활용할 수 있음

일반적 관광자원은 해당 관광지역의 고유한 자원이 아닌 보편적인 측면에서의


관광자원을 의미하며,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자원분포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관광시설)과 일부 부합한다고 할 수 있음. 대표적으로 관광객이용시설수,
유원시설수, 관광(단)지수, 국제회의시설수, 문화기반시설수 등이 여기에 해당함

- 104 -
[그림 18]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자원매력도 부문 구성

<표 22>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자원매력도 부문 지표 목록

중분류 세부지표 의미

지역의 문화자원과 자연생태자원이 얼마나 다양하게 분포되어


문화생태관광자원
있는지
지역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축제 및 예비축제가 개최되는지
특화
관광 관광객이 생각하는 관광매력정도의 평가(SNS) 수준이 어떻게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자원 되는지
관광객이 생각하는 음식매력정도의 평가(SNS) 수준이 어떻게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되는지

관광객이용시설수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각종 관광시설 수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유원시설수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유원시설 수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일반적
관광 관광(단)지수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관광지 및 관광단지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자원
국제회의시설수 MICE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관광객/여가선용시민들이 이용하는 문화시설이 얼마나 존재하


문화기반시설수
는지

※ 지역특화 매력도는 트립어드바이저등 SNS 자료의 활용, 기타 지표는 관광통계 및 지자체통계 적용

- 105 -
(1) 지역특화 관광자원

가. 문화상태관광자원

 문화상태관광자원의 정의는 주요관광지점 분류 현황 중 문화, 자연 및 생태환경 수의


총합이며, 이 지표는 지역 관광 매력도를 제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관광객
집객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문화생태관광자원

정의 주요관광지점 분류현황 중 문화, 자연 및 생태환경 수의 총합

산식 문화자원 수 + 자연 및 생태환경 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s://www.tour.go.kr/) → 관광자원 → 관광자


출처
원조회 → 지역별, 자원별 분류 자료

의미 지역관광매력도 제고 및 관광객 집객효과 창출

- 106 -
나.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지정 문화관광축제 보유수를


의미하며, 이 지표 또한 지역관광의 매력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며,
관광객의 집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정의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지정 문화관광축제 보유 수(일반 및 예비 모두 포함)

산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지정 문화관광축제 보유 수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mcst.go.kr)

의미 지역관광매력도 제고 및 관광객 집객효과 창출

- 107 -
다.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의 경우 해당 지역 관광시설 매력도를 의미함. 측정은


트립어드바이저 사이트 즐길거리 리뷰 점수 평균으로 하며, 이 지표는 지역을 광광한
관광객들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관광시설 매력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임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정의 해당 지역의 관광시설 매력도

산식 트립어드바이저 즐길거리 리뷰 점수 평균

출처 트립어드바이저

의미 지역을 관광한 관광객들이 느끼는 관광시설 매력도 파악

- 108 -
라.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의 경우 해당 지역 음식점의 매력도를 의미함. 측정은


트립어드바이저 음식점 리뷰 점수 평균으로 하며, 이 지표는 지역을 관광한
관광객들이 느끼는 지역의 음식 매력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정의 해당 지역의 음식점 매력도

산식 트립어드바이저 음식점 리뷰 점수 평균

출처 트립어드바이저

의미 지역을 관광한 관광객들이 느끼는 지역의 음식 매력도 파악

- 109 -
(2) 일반적 관광자원

가. 관광객 이용시설수

 관광객 이용시설수 지표는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객 이용시설수를


의미함. 산식은 관광진흥법상 관광객 이용시설 수 합계로 하며, 이 지표는 해당
지역에 관광시설 확대를 통해 수요창출기반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관광객 이용시설 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객 이용시설 수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 2


정의
조에 의한 관광객 이용시설업의 종류 모두 포함)

산식 관광진흥법상 관광객 이용시설 수 합계

한국관광협회중앙회(ekta.kr) → 자료실 → 사업체현황 → 전국관광사업체현황자


출처

의미 관광시설 확대를 통한 수요창출기반 조성

- 110 -
나. 유원시설수

 유원시설수는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유원시설수로 하며, 산출은


관광진흥법상 유원시설 수 합계로 함. 이 지표는 해당 지역에 관광시설 확대를 통해
수요창출기반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유원시설 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유원시설 수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 2조에 의


정의
한 유원시설업의 종류 모두 포함)

산식 관광진흥법상 유원시설 수 합계

한국관광협회중앙회(ekta.kr) → 자료실 → 사업체현황 → 전국관광사업체현황자


출처

의미 관광시설 확대를 통한 수요창출기반 조성

- 111 -
다. 관광(단)지수

 관광(단)지수의 경우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용하고 있는 관광(단)지 수를 의미함.


실제 산출은 관광진흥법상 관광(단)지 수 합계로 함. 이 지표는 해당 지역에 관광시설
확대를 통해 수요창출기반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관광(단)지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단)지 수


정의
(관광진흥법 제 52조에 의한 관광지 및 관광단지 지정 수)

산식 관광진흥법상 관광(단)지 수 합계

출처 문화체육관광부(mcst.go.kr) →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의미 관광객 수용력 확대를 통한 수요창출 기반조성

- 112 -
라. 국제회의시설수

 국제회의시설수는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국제회의 시설을 의미함. 실제


산출은 K-MICE 홈페이지에 기재된 지자체별 국제회의 시설수의 합계로 관광공사
지정 코리아 유니크 베뉴까지 포함 함. 해당 지표는 관광객 집객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며, 이 지표는 MICE 산업 육성 정도를 측정하여
지역관광경쟁력을 반영하고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국제회의시설 수

정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국제회의 시설 수

지자체 확보 국제회의 시설 (컨벤션센터, 호텔, 리조트, 유스호스텔, 연수원, 대학


원, 기타시설 및 한국관광공사 지정 ‘코리아 유니크 베뉴’)의 총합
산식
※ 유니크 베뉴란“MICE“ 개최도시의 독특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장소로서 실내
시설과 외부(자연)환경을 모두 포함

K-MIICE 홈페이지(k-mice.visitkorea.or.kr) → 베뉴파인더


출처
K-MIICE 홈페이지(k-mice.visitkorea.or.kr) → 유니크베뉴

의미 집객효과가 큰 MICE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경쟁력 확대

- 113 -
마. 문화기반시설수

 문화기반시설수는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문화기반시설수를 의미함.


측정은 해당 법령상 문화기반시설수를 합계하여 산출함. 이 지표는 문화 및 교육관광
기반 조성 정도를 확인하는 지표이며, 지표값이 높을수록 지역관광경쟁력이 높다고
볼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자원매력도

지역특화 일반적
중분류
관광자원 관광자원

지표명 문화기반시설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문화기반시설 수(「도서관법」상 도서관,


정의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상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및 「지방문화원진흥
법」 상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포함)

산식 해당 법령상 문화기반시설 수 합계

출처 문화체육관광부(mcst.go.kr) → 문화기반시설 총람

의미 문화 및 교육관광 기반조성을 통한 지역관광경쟁력 확대

- 114 -
3) 관광산업역량

관광산업역량 파트는 관광주체와 관광객체를 연결하는 지역관광의 주요 매개역할을


수행, 관광산업 생태계의 혁신과 발전을 측정함. ‘과정’으로서 관광산업 역량은
교통편의성, 관광산업체 서비스 역량, 안내/홍보 능력과 같은 일반적인 관광산업의
역량과 지역특화적 관광제공역량으로 구성됨

관광진흥법상 관광사업체 범위의 확장, 여행자 입장에서 필요한 관광산업생태계의


고려, 지역특화관광의 평가

관광수용태세 입장의 교통, 관광안내/홍보 등의 역할, SMART 관광에 대한 변화를 고려

우선 일반적인 관광산업의 역량과 관련하여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접근성과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에 해당하는 교통편의성은
이동수단운행횟수, 철도운행횟수, 시티투어운행횟수, 시내교통망, 공유 모빌리티 운영,
관광지별 주차장확보 등이 해당하며, 기존의 관광경쟁력과 관련된 지표에서 반영하지
않았던 공유 모빌리티 및 주차공간 확보를 추가함

관광산업체 서비스 역량은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자원집적과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관광숙박업 역량, 일반숙박업
역량, 공유숙박업 역량,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쇼핑시설업수 등이 여기에 해당함. 특히
숙박업 중에서 공유숙박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음

관광 안내/홍보 능력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관광인프라(안내),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수요촉진(관광홍보)과 일부 부합하며, 무선 네트워크 범위, 스마트안내 체계지수,
안내서비스인력수, OTA 적용 숙박업소수 등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스마트관광이라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지표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음

지역특화적 관광제공역량의 경우 기존의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았던 지역기반 관광산업의 역량을 의미하며,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관광품질인증수, 우수여행상품수, 한국관광100선 여부 등이 포함됨

- 115 -
[그림 19]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산업역량 부문 구성

<표 23>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산업역량 부문 지표 목록


중분류 세부지표 의미
이동수단운행횟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등의 지자체 외 연결이 얼마나 가능한지
철도운행횟수 KTX, ITX, 무궁화호, 관광열차 등이 얼마나 운행이 되는지
시티투어운행횟수 지자체 내 시티투어 운행이 얼마나 되는지
시내교통망
교통 택시, 버스노선, 관광택시 등 시내 교통망의 이용이 얼마나 가능한
(택시수, 버스노선수,
편의성 지
관광택시 수)
공유 모빌리티 운영 우버, 그랩, 쏘카, 그린카 등 관광객 대상의 공유교통체계가 가능한
(우버, 그랩, 쏘카, 그린카) 지
관광지별 주차장 확보 관광객수 당 주차장 확보가 얼마나 가능한지
관광숙박업 역량 진흥법 상 관광숙박업의 매출액이 어느 정도인지
일반숙박업 역량 관광숙박업 외 모텔, 펜션, 민박 등의 매출액이 어느 정도인지
공유숙박업 역량
사업체 외국인도시민박업 및 기타 에어비엔비 등 매출액이 어느 정도인지
(에어비앤비 검색 객실수)
역량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진흥법 상 관광편의시설업의 매출액이 어느 정도인지
쇼핑시설업수
재래시장 및 대형마트수 등 관광객 주요 구입처가 얼마나 되는지
(재래시장수, 대형마트수)
관광 무선 네트워크 범위 관광객이 쉽게 접하는 와이파이가 얼마나 구축되어 있는지
스마트안내체계지수 스마트 관광안내체계 설립, 유튜브 등 최신매체 홍보가 되고 있는지
안내
관광통역 안내사, 문화관광해설사 뿐 아니라 도시 및 마을 해설사가
홍보 안내서비스인력수
활동하는지
능력 OTA 적용 숙박업소수 네이버 호텔/트립어드바이저 등 숙박업이 얼마나 등록되어 있는지
지역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지자체 내 인바운드, 지역내 관광 역량이 있는 여행사수가 얼마나
특화 수 되는지

관광 관광품질인증수 한국관광공사 품질인증팀의 품질 인증 수가 얼마나 확보되어 있는지


제공 우수여행상품수 우수여행상품 인증을 통해 양질의 관광상품이 얼마나 운영되는지
역량 한국관광100선여부 한국관광 100선 선정 등 얼마나 지자체의 관광자원이 알려져 있는지

※ 교통편의성은 대부분 통계자료 및 지자체 통계 요청 자료이며, 지자체 주차장 확보는 관광객을 통신 빅데이터를 함께 적용
※ 사업체 역량은 카드사 빅데이터 통계를 기반으로 측정, OTA적용숙박업수빅데이터 통계 및 기타 지표는 통계자료 적용
※ KATA, 한국관광공사 자료 활용

- 116 -
(1) 교통편의성

가. 이동수단 운행횟수(시외버스)

 이동수단 운행횟수(시외버스)는 각 지자체와 연결된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횟수를


말함. 제주도의 경우 김포공항 제주행 항공 운행횟수로 대체하고, 울릉도는 선박
운행 횟수로 측정함. 이 지표는 방문객의 이동편의성과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관광수요 창출효과가 큼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이동수단 운행횟수(시외버스)

각 지자체와 연결된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횟수


정의 제주도의 경우 김포공항 제주행 항공 운행횟수로 대체하며, 울릉도의 경우 선박
운행횟수로 대체함

산식 해당 지자체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 주중주말 운행 횟수의 합

출처 각 이동수단별 공식홈페이지

의미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및 접근성 제고를 통한 관광수요 창출

- 117 -
나. 철도운행 횟수

 철도운행 횟수는 KTX, ITX(새마을호), 무궁화호, 관광열차 등 철도 정차수를 말함.


지표는 이동수단 운행횟수와 동일하게 방문객의 이동의성과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관광수요 창출 효과가 큼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철도운행 횟수

정의 KTX, ITX (새마을호), 무궁화호, 관광열차 등의 철도 정차 수

해당 지자체에 정차한 철도 정차 빈도 수
산식
(단, 광역단위의 경우 해당 노선의 합계를 개별 지자체 데이터로 일괄 적용)

출처 코레일 홈페이지(letskorail.com)

의미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및 접근성 제고를 통한 관광수요 창출

- 118 -
다. 시티투어 운행횟수

 시티투어 운행횟수는 지자체가 보유 및 운영하는 시티투어 운행 빈도수를 말함.


시티투어 운행횟수는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및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며, 동시에 해당 지역의 관광지로서의 인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함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시티투어 운행횟수

정의 지자체가 보유 및 운영하는 시티투어 운행 빈도 수

산식 1개월 평균 시티투어 운행횟수(4월~10월까지 시티투어 운행횟수의 합 ÷ 7개월)

지자체별 시티투어 대표 홈페이지


출처
시티투어 운행버스 회사 직접조사

의미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및 접근성 제고를 통한 관광수요 창출

- 119 -
라. 시내교통망

 시내교통망은 각 지역 내 운영 중인 택시, 관광택시, 버스 대수를 합산한 수임. 이


지표는 해당 지역 내에서 방문객의 이동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시내교통망

정의 각 지역 내 운영 중인 택시, 관광택시, 버스 합산 수

광역단위 등록된 택시, 관광택시, 버스 차량 총합


산식
기초단위의 데이터가 부재한 경우, 광역단위 데이터를 기초단위 별로 배분

전국택시운송조합 연합회(taxi.or.kr) → 택시통계 → 택시대수 및 운전자 현황


출처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bus.or.kr) → 통계현황
지자체 조사표 작성 ( 지자체별 관광택시 현황 데이터 요청)

의미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향상을 통한 접근성 제고

- 120 -
마. 공유모빌리티 운영

 공유모빌리티 운영은 해당 지자체 내에서 이용가능한 공유모빌리티 대수를 말함. 이


지표는 해당 지역 내에서 방문객의 이동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공유모빌리티 운영

정의 해당지자체 내에서 이용 가능한 공유모빌리티 대수

우버, 쏘카, 그린카, 피플카, 딜카 이용 가능 대수 합계 단, 공유 모빌리티 특성상 이


산식
용 가능 차량의 변동성이 높음으로 동일한 시점을 기준으로 함

카셰어링, 라이드셰어링 업체에서 내부 데이터 요청


(서울특별시의 경우 나눔카 서비스로 서울시 내부 이용가능한 그린카, 소카, 딜카,
피플카 현황 제공)
우버 (https://www.uber.com/kr/ko/)
출처
쏘카 (https://www.socar.kr/) 1661-3315
그린카 (https://www.greencar.co.kr/index.do) 080-2000-3000
딜카 (https://www.deliverycar.co.kr/) 1522-0020
피플카 (https://www.peoplecar.co.kr/) 1600-6038

의미 방문객의 이동편의성 향상을 통한 접근성 제고

- 121 -
바. 지자체별 주차장 확보

 지자체별 주차장 확보는 각 지자체 공영 및 민영, 무료 및 유료 주차장 확보율을


말함. 이 지표는 관광객들이 관광지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지자체별 주차장 확보

정의 각 지자체 공영 및 민영, 무료 및 유료 주차장 확보율

지역관광객수와 지역인구규모 고려
산식
전체 주차면수 / 지역관광객수 (내국인, 외국인 방문객수)

전국주차장표준데이터 (data.go.kr/dataset/15012896/standard.do) → 엑셀 데이터


출처 다운로드 → 주차구획수
KT 통신빅데이터

의미 방문객의 접근성

- 122 -
(2) 사업체 역량

가. 관광숙박업 역량

 관광숙박업 역량 지표는 각 지자체가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숙박업 사업체 총


매출액을 의미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가 관광객 숙박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며, 매출액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그것이
수요로 이어지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관광숙박업 역량

각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숙박업 사업체 총 매출액


관관진흥법에 명시된 관광숙박업은 호텔업과 휴양 콘도미니엄업으로 구성됨
 호텔업 : 관광객의 숙박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 이를 관광객에게 제공하거
나 숙박에 딸리는 음식·운동·오락·휴양·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 이를 이용하게 하는 업 (관광호텔업, 수상관광호텔업, 한국전통
정의
호텔업, 가족호텔업, 호스텔업, 소형호텔업, 의료관광호텔업 모두 포함)
 휴양 콘도미니엄업 : 관광객의 숙박과 취사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어 이를 그
시설의 회원이나 공유자, 그 밖의 관광객에게 제공하거나 숙박에 딸리는 음
식·운동·오락·휴양·공연 또는 연수에 적합한 시설 등을 함께 갖추어 이를 이
용하게 하는 업

산식 지자체 별 관광숙박업 사업체 매출액 합

출처 빅데이터 가이드라인별로 수립한 업종별 카드사 총 매출액

의미 관광객의 수요 충족 및 편의 제고

- 123 -
나. 일반숙박업 역량

 일반숙박업 역량은 각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일반숙박업 사업체 총


매출액을 의미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가 관광객 숙박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며, 매출액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그것이
수요로 이어지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일반숙박업 역량

각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일반숙박업 사업체 총 매출액


보건복지부에서 관할하는 「공중위생관리법」 상 손님이 잠을 자고 머물 수 있도록
정의
시설(취사시설은 제외한다) 및 설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관, 여인숙, 모텔
을 포함한 일반 숙박업

산식 지자체별 일반숙박업 사업체 매출액 합

출처 빅데이터 가이드라인별로 수립한 업종별 카드사 총 매출액

의미 관광객의 수요 충족 및 편의 제고

- 124 -
다. 공유숙박업 역량

 공유숙박업 역량은 공유숙박 플랫폼에 등록된 숙박 서비스업 사업체의 총 매출액을


의미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가 관광객 숙박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며, 매출액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그것이 수요로
이어지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공유숙박업 역량

정의 공유숙박 플랫폼에 등록된 숙박 서비스업 사업체의 총 매출액

외국인 관광객 도시민박업으로 정식 등록되어 있는 숙소 및 비 등록 숙박 사업체의


산식
총 매출액 합

출처 에어비엔비 (airbnb.co.kr) 등록 숙박 서비스업 카드 매출 데이터

의미 관광객의 수요 충족 및 편의 제고

- 125 -
라.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 관광편의시설업 역량은 각 지자체가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편의시설 사업체 총


매출액을 의미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가 관광객의 편의시설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각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편의시설 사업체 총 매출액


6가지 업종에 포함되지 않으나 관광 진흥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사업이
정의 나 시설 등을 운영하는 업 (관광유흥음식점업, 관광극장유흥업, 외국인전용 유흥
음식점업, 관광식당업, 관광순환버스업, 관광사진업, 여객자동차터미널시설업, 관
광펜션업, 관광궤도업, 한옥체험업, 관광면세업 등)

산식 지자체별 관광편의시설업 사업체 매출액 합

출처 빅데이터 가이드라인별로 수립한 업종별 카드사 총 매출액

의미 관광객의 수요 충족 및 편의 제고

- 126 -
마. 쇼핑시설업수

 쇼핑시설업수는 지자체별 재래시장 및 대형마트수를 뜻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가


관광객 쇼핑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쇼핑시설업 수

정의 지자체별 재래시장 및 대형마트 수

산식 지자체별 재래시장 수와 대형마트 수 총합

서비스업동향조사 -광역별
출처
전통시장·상점가 및 점포경영 실태조사 보고서(2018) -지자체별

의미 관광객의 수요 충족 및 편의 제고

- 127 -
(3) 관광 안내/홍보 능력

가. 무선네트워크 범위

 무선네트워크 범위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관광객에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맞춤형 관광정보서비스를 전달하는 범위를 말함. 이는 관광산업적 측면에서 기반이
잘 마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지역 체류를
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므로, 관광객이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함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무선네트워크 범위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을 활용하여 관광


정의
객에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맞춤형 관광 정보 서비스를 전달하는 범위

산식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존(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지점 수)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와이파이(https://www.wififree.kr/pu/si/N022.do) → 오픈
출처
API

의미 방문객 편의성 제고

- 128 -
나. 스마트안내체계지수

 스마트안내체계지수는 지자체의 관광수요창출에 기여하는 관광안내체계 구축 수준을


말함. 이 지표는 관광객이 여행을 다니면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쉽게 얻을 수 있는지를 측정하며, 방문객의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스마트안내체계지수

지자체의 관광수요창출에 기여하는 관광 안내체계 구축 수준(① 관광전용 홈페이


지 구축 유무 ② 관광안내소 수 ③ Virtual 관광서비스 제공 유무 ④ 관광서비
정의
스 App 구축 유무 ⑤ 관광서비스 Social Media (ex.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
그, 유튜브, 트위터 등) ⑥ 관광지도 게시 유무를 포함)

자료측정: [관광전용 홈페이지 구축유무×5 + 관광안내소 수×4 + Virtual 관광


서비스 제공유무×3 + 관광서비스 App 구축유무×2 + 관광서비스 Social Media
산식
구축유무×1 + 관광지도 게시유무×1] ÷ 16
안내체계 중요도에 따른 상대적 가중치를 조정하여 데이터 산출

출처 지자체 대표 홈페이지

의미 방문객 편의성 제고

- 129 -
다. 안내서비스 인력수

 안내서비스 인력수는 지자체 관광안내 서비스 인력의 총 합계를 말함. 이 지표는


관광객이 여행을 다니면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쉽게
얻을 수 있는지를 측정하며, 방문객의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안내서비스 인력수

관광객에게 관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관광객의 편의를 증진하고 편안하고 풍부


정의
한 관광체험을 하도록 돕는 종합 인적서비스의 수

지자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관광통역 안내사(광역), 문화관광해설사, 도시해설사 (마을·지


산식 역 해설사) 수의 총 합계
단, 관광통역 안내사의 경우 광역단위 데이터를 기초단위별로 배분함

관광통역 안내사 (관광지식정보시스템 (know.tour.go.kr)→통계→ 관광통역안내사)


출처
지자체 조사표 작성 ( 지자체별 문화관광해설사, 도시해설사 데이터 요청)

의미 방문객 편의성 제고

- 130 -
라. OTA 적용 숙박업소수

 OTA 적용 숙박업소수는 OTA(On-line Travel Agency)에 등록된 숙박업소수를


의미하며, 온라인 검색시에 나오는 호텔, 리조트, 모텔, 펜션/ 풀빌라, 게스트하우스
숙박업수 합계임. 이 지표는 방문객의 관광 접근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OTA 적용 숙박업소수

정의 On-line Travel Agency에 등록된 숙박업소 수

산식 호텔, 리조트,모텔,펜션/풀빌라, 게스트하우스를 포함한 숙박업체 수의 총 합계

출처 야놀자(yanolja.com) 내부 데이터

의미 방문객 접근 편의성 제고

- 131 -
(4) 지역특화관광 제공 역량

가.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는 지자체 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여행사 중 해당 지자체


관광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일반, 국내외 여행사수를 말함. 지자체 여행사 수가
많으면 관광수요를 촉진하고, 지역관광경쟁력이 향상됨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지자체 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여행사 중 해당 지자체 관광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일반,
정의
국내·외 여행사 수
산식 일반, 국내·외 여행사 수 합계

출처 한국여행업협회 자료(kata.or.kr) 및 여행사 개별연락을 통한 데이터 구득

의미 관광수요촉진을 통한 지역관광경쟁력 향상

- 132 -
나. 관광품질인증수

 관광품질인증수는 한국관광품질인증제도에 등록된 사업체 수를 말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 관광 상품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관광품질인증수

한국관광 품질인증제도에 등록된 사업체 수


정의 현재 일반·생활숙박업, 한옥체험업,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 관광면세업 포함.향
후 사업범위 확대 예정

산식 인증을 받은 등록사업체 수 합계

출처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visitkorea.or.kr)

의미 질적 관광 성장을 통한 지역관광경쟁력 향상

- 133 -
다. 우수여행상품수

 우수여행상품수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여행업협회에서 선정한 내외국인 대상


국내 우수여행 상품수를 말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 관광 상품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우수여행상품수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여행업협회에서 선정한 내외국인 대상 국내 우수여행 상품
정의

산식 내·외국인 대상 국내 우수여행 상품 수

출처 한국여행업협회 홈페이지(kata.or.kr)

의미 관광수요촉진을 통한 지역관광경쟁력 향상

- 134 -
라. 한국관광100선 여부

 한국관광100선 여부는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관광공사에서 2년 주기로 후년과


후후년의 한국대표 관광지 100곳을 선정하게 되는데 해당 지자체 내에
한국관광100선에 선정된 관광지가 있는지 여부를 의미함. 이 지표는 해당 지자체
관광 상품의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산업역량

교통 사업체 관광안내/ 지역특화관광


중분류 편의성 역량 홍보능력 제공역량

지표명 한국관광100선 여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에서 2년 주기로 후년과 후후년의 한국 대표 관광


지 100곳을 선정하는 평가. 평가 기준으로 직전 선정된 관광지 평가, 지자체 추
정의
천, 빅데이터 분석, 서면평가, 현장평가 등을 분석한 후 최종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쳐 선정.

산식 지자체별 한국관광100선에 선정된 여부 (선정지역 無=0 , 선정지역 有=1)

출처 한국관광공사 (kto.visitkorea.or.kr)

의미 방문객의 지역체류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

- 135 -
4) 관광성과

관광성과 파트는 관광으로 인해 관광주체 및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결과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측정함. 구체적으로 관광효과성, 관광객 만족, 지역주민 만족을 측정

지역주민이 관광의 주요 고려대상임을 인식하고, 관광은 곧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함을 평가

기존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빅데이터(통신)를 통해 관광효과성의 적용 다양화

우선 관광효과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관광효과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


효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관광GRDP 기여율, 관광고용의 기여도, 평균관광체류시간, 관광체류일수,
권역(혹은 생활권 내) 지역주민 관광객수로 구성됨. 특히 ‘상생’이라는 측면에서
지역주민이 해당 지역의 관광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권역(혹은 생활권 내) 지역주민 관광객수를 신규 지표로 반영하고 있음

관광객 만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관광효과 부문과 지역관광경쟁력지수의 관광


가치창출 부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관광객 만족도, 관광객
재방문의사, 타인추천의사, 지역주민 환대 등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장애인, 성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등 소위 사회적 약자라고 일컬어지는 집단들이 사회적 편견없이 관광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해당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지역주민
환대라는 지표를 새롭게 추가함

지역주민의 만족은 지역관광발전지수의 지역민 관광활력과 일부분 관련이 있지만,


그동안 기존의 관광에서 소외되었던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
지역주민의 자긍심, 지역주민의 정체성, 지역주민의 행복에 대한 지표들을 새롭게
추가함

- 136 -
[그림 20]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성과 부문 구성

<표 24>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성과 부문 지표 목록

중분류 세부지표 의미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기초지자체 단위의 내국인 방문객수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기초지자체 단위의 외국인 방문객수
관광GRDP 기여율 관광 GRDP의 수준
관광고용의 기여도 전체 산업 고용 중 관광사업체 고용 비율
관광
평균관광체류시간 (내국인/ 내국인 숙박객의 평균 체류일수
효과성 외국인) 외국인 숙박객의 평균 체류일수

관광 체류일수 내국인 당일여행객의 평균 체류시간


(내국인/외국인) 외국인 당일여행객의 평균 체류시간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지역 내 관광(생활관광, 여행의 일상화)
지역주민 관광객수
관광객 만족도 관광객 관광 후 만족

관광객 관광객 재방문의사 관광객이 관광 후 재방문의사


만족 타인추천의사 관광객이 관광 후 타인추천의사
지역주민 환대 관광객이 느끼는 지역주민의 환대 정도
지역관광 지역관광으로 인하여
경제효과성에 대한 평가 지역주민이 느끼는 경제적 효과 정도
지역관광
지역관광으로 인한 지역주민 문화효과성
문화효과성에 대한 평가
지역
지역관광
지역관광으로 인한 지역주민 주거환경 인식
주민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
만족 지역주민의 자긍심 지역관광으로 인한 지역주민 지역 자긍심
지역주민의 정체성 지역관광으로 인한 지역주민 지역 정체성
지역주민의 행복 지역관광으로 인한 지역주민 행복 및 주관적 안녕

※ 신규 지표는 통신 빅데이터 적용, GRDP는 향후 관광 TSA가 개발이 되었을 때 현실화 가능


※ 관광객 및 지역주민 만족은 각 대상별설문조사 실시, 단 일부지자체는 지역주민 정체성 및 행복 관련 사회조사 지표 적용 가능

- 137 -
(1) 관광효과성

가.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는 해당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를 말함. 지역 내 관광객


총량은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관광성과 및 효과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정의 해당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 수

산식 통신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간 기초지자체 내국인 관광객 수 측정

출처 KT 통신빅데이터

의미 지역 내 관광객 총량 조사를 통한 전체적인 관광성과 및 효과성 제고

- 138 -
나.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는 해당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를 말함. 지역 내 관광객


총량은 해당 지역의 전체적인 관광성과 및 효과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정의 해당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 수

산식 통신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간 기초지자체 외국인 관광객 수 측정

출처 KT 통신빅데이터

의미 지역 내 관광객 총량 조사를 통한 전체적인 관광성과 및 효과성 제고

- 139 -
다. 관광GRDP 기여율

 관광GRDP 기여율은 관광부문이 지역 GRDP 대비 관광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이 지표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관광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관광GRDP 기여율

지역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지역총생산) 대비 관광부문 비중.


정의
단, 세종시의 경우 광역단위 데이터 또한 부재하여 충청남도 데이터로 대체 기입함

(도매 및 소매업의 총생산 + 숙박 및 음식점업의 총생산 + 운수업, 문화 및 기


산식
타 서비스업 총생산) ÷ 지역 내 총생산

출처 국가통계포털(kosis.kr)

의미 거시적 관점의 관광효과성 측정

- 140 -
라. 관광고용 기여도

 관광고용 기여도는 관광이 해당 지역 고용에 기여한 정도를 의미함. 산출은 해당


지자체 종사자수 대비 7대 산업 관광사업체 종사자수임. 즉, 지역 내에 관광산업에
종사자가 얼마나 많은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며, 이를 통해 관광이 해당
지역 고용에 기여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관광고용의 기여도

정의 관광이 해당 지역의 고용에 기여한 정도

산식 7대 산업 관광사업체 종사자수 총합/해당 지자체 종사자 수

출처 전체사업체 수 (통계연보), 관광사업체 종사자만 지자체별 관광산업체 현황 요청

의미 관광이 해당 지역의 고용에 기여한 정도 파악

- 141 -
마. 평균관광체류시간(내국인/외국인)

 내국인 평균 관광체류시간은 해당 지역에 내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시간의


평균을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최근 여행 트렌드인 ‘장기체류형 관광’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 외국인 평균 관광체류시간은 해당 지역에 외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시간의


평균을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최근 여행 트렌드인 ‘장기체류형 관광’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① 내국인 평균 관광 체류 시간

정의 해당 지역에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 시간

산식 관광체류시간 평균

출처 KT 통신 빅데이터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여행을 한지를 파악하여 최근 여행 트렌드에 부


의미
합하는지 파악

지표명 ②외국인 평균 관광 체류 시간

정의 해당 지역에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 시간

산식 관광체류시간 평균

출처 KT 통신 빅데이터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여행을 한지를 파악하여 최근 여행 트렌드에 부


의미
합하는지 파악

- 142 -
바. 관광체류일수(내국인/외국인)

 내국인 관광체류일수는 해당 지역에 내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일수를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최근 여행 트렌드인 ‘장기체류형 관광’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 외국인 관광체류일수는 해당 지역에 외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일수를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최근 여행 트렌드인 ‘장기체류형 관광’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① 내국인 관광 체류일수

정의 해당 지역에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 일수

산식 관광 체류일수 평균

출처 KT 통신 빅데이터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여행을 한지를 파악하여 최근 여행 트렌드에 부


의미
합하는지 파악

지표명 ② 외국인 관광 체류일수

정의 해당 지역에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 일수

산식 관광 체류일수 평균

출처 KT 통신 빅데이터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여행을 한지를 파악하여 최근 여행 트렌드에 부


의미
합하는지 파악

- 143 -
사.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지역주민 관광객수

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지역주민 관광객수는 지역주민의 해당 지역(본인의 생활권


내)관광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표임. 지역주민이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얼마나 관광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역 내 관광인기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지역주민 관광객수

정의 지역 주민의 해당 지역(본인의 생활권 내) 관광 정도

산식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간 기초지자체 현지 관광객 수 측정

출처 KT 통신 빅데이터

지역주민이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얼마나 관광을 하는지를 파악하여 지역내


의미
관광인기도 파악

- 144 -
(2) 관광객 만족

가. 관광객 만족도

 관광객 만족도는 지자체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만족도를 의미하며, 관광객의 경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관광객 만족도

정의 지자체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만족도

7점척도(리커트 7점 척도: 1점-매우 그렇지 않다, 7점-매우 그렇다) 평가 점수


산식
평균

출처 방문객 대상 설문조사

의미 관광활동의 경험가치 파악을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선순환 구조정착에 기여

* 예시: xx지역 여행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매우 불만 ----- ----- ----- ----- ----- 매우 만족


숙박시설 ◯
7 ◯
6 ◯
5 ◯
4 ◯
3 ◯
2 ◯
1

식당 및 음식 ◯
7 ◯
6 ◯
5 ◯
4 ◯
3 ◯
2 ◯
1

관광정보 및 안내시설 ◯
7 ◯
6 ◯
5 ◯
4 ◯
3 ◯
2 ◯
1

쇼핑서비스 ◯
7 ◯
6 ◯
5 ◯
4 ◯
3 ◯
2 ◯
1

편의시설 ◯
7 ◯
6 ◯
5 ◯
4 ◯
3 ◯
2 ◯
1

주민 및 관광종사자 친절도 ◯
7 ◯
6 ◯
5 ◯
4 ◯
3 ◯
2 ◯
1

관광지 물가 ◯
7 ◯
6 ◯
5 ◯
4 ◯
3 ◯
2 ◯
1

- 145 -
나. 관광객 재방문의사

 관광객 재방문의사는 지자체를 방문했던 관광객의 재방문의도를 의미하며, 관광객의


경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관광객 재방문의사

정의 지자체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재방문의도

산식 5점척도(리커트 5점 척도: 1점-전혀 아니다, 5점- 매우 그렇다) 평가 점수 평균

출처 방문객 대상 설문조사

의미 관광활동의 경험가치 파악을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선순환 구조정착에 기여

* 예시: 귀하는 xx지역을 다시 방문할 의향이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 ◯
4 ◯
3 ◯
2 ◯
1

- 146 -
다. 타인추천의사

 타인추천의사는 지자체를 방문했던 관광객의 타인추천의사를 의미하며, 관광객의


경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타인추천의사

정의 지자체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타인추천의사

산식 5점척도(리커트 5점 척도: 1점-전혀 아니다, 5점- 매우 그렇다) 평가 점수 평균

출처 방문객 대상 설문조사

의미 관광활동의 경험가치 파악을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선순환 구조정착에 기여

* 예시: 귀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xx 지역 여행을 추천하실 의향이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 ◯
4 ◯
3 ◯
2 ◯
1

- 147 -
라. 지역주민 환대

 관광객이 느끼는 지역주민의 환대성은 해당 지자체를 방문했을 때 지역주민들로부터


받은 인상을 의미하며, 관광객의 경험 가치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관광객이 느끼는 지역주민 환대

정의 지역주민 환대

5점척도(1점: 나를 오랜 친구 대하듯이 친근한 태도를 보임, 3점: 나를 낯선 사람 대하듯이


산식
사무적인 태도를 보임, 5점: 나를 불청객 대하듯이 적대적인 태도를 보임) 평가 점수 평균

출처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

의미 관광활동의 경험가치 파악을 통한 지속가능한 관광의 선순환 구조정착에 기여

* 예시: 귀하가 해당 지자체를 방문했을 때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인상을 받았습니까?

나를 불청객 나를 낯선 사람 나를 오랜 친구
대하듯이 적대적인 ----------- 대하듯이 사무적인 ----------- 대하듯이 친근한
태도를 보임 대토를 보임 태도를 보임


5 ◯
4 ◯
3 ◯
2 ◯
1

- 148 -
(3) 지역주민 만족

가.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

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는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경제효과성에 대한


평가임. 지역관광이 지역주민에게 경제적으로 얼마나 효과를 주고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관광 경제효과성 평가

정의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경제효과성에 대한 평가

5점척도(리커트 5점 척도: 1점-굉장히 많이 기여한다, 5점- 전혀 기여하지 않는다)


산식
평가 점수 평균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경제효과성 파악

* 예시: 귀하는 xx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xx의 경제에 어느 정도 기여한다고 생각하십니


까? 아니면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십니까?
* 예시: 귀하는 xx의 관광 산업이 xx의 경제에 어느 정도 기여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
면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기여하지 거의 기여하지 상당히 굉장히 많이


조금 기여한다
않는다 않는다 기여한다 기여한다


5 ◯
4 ◯
3 ◯
2 ◯
1

- 149 -
나.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

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는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문화효과성에 대한


평가임. 지역관광이 지역주민에게 문화적으로 얼마나 효과를 주고있는지를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관광 문화효과성 평가

정의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문화효과성에 대한 평가

7점척도(리커트 1점 척도: 1점-매우 긍정적, 5점- 매우 부정적)


산식
평가 점수 평균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문화효과성 파악

* 예시: 귀하는 xx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xx의 문화 다양성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
니까?
* 예시: 귀하는 xx을 방문하는 관광 산업이 xx의 문화 다양성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
십니까?

매우 부정적 약간 부정적 보통 약간 긍정적 매우 긍정적


5 ◯
4 ◯
3 ◯
2 ◯
1

- 150 -
다.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

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는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를


의미함.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 주거환경 정도를 파악하여, 지역관광으로 인해
발생한 주거환경 불만족 요인이 없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관광 주거환경 평가

정의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

4점척도(리커트 4점 척도: 4점-매우 불만족, 1점- 매우 만족)


산식
평가 점수 평균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의 주거환경 만족도 파악

* 예시: 귀하는 다음 각각의 측면에서 귀 댁이 현재 살고 계신 주거환경에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매우 만족 대체로 만족 약간 불만족 매우 불만족


1) 시장, 마트 등 상업시설 접근성 ① ② ③ ④
2) 병원 등 의료시설 접근용이성 ① ② ③ ④
3) 문화시설 접근용이성 ① ② ③ ④
4) 공원, 녹지/수변 접근 용이성 ① ② ③ ④
5) 대중교통 접근용이성 ① ② ③ ④
6) 교육환경 (학교, 학원, 미취학 아동 위한 시설 등) ① ② ③ ④
7) 치안 및 위험관련 여건 ① ② ③ ④
8) 자동차 소리 및 집주변의 소음 정도 ① ② ③ ④
9) 이웃과의 관계, 이웃의 수준 ① ② ③ ④
10) 주변 환경 정리 및 쾌적함의 정도 ① ② ③ ④

- 151 -
라. 지역주민의 자긍심

 지역주민의 자긍심은 지역주민의 지역관광으로 인한 자부심을 의미함. 지역주민이


느끼는 지역관광에 대한 자긍심을 측정하여, 지역관광을 통해 해당 지역 내 주민들이
긍정적인 자긍심을 느끼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주민의 자긍심

정의 지역관광으로 인한 자부심

5점척도(리커트 5점 척도: 5점-전혀 아니다, 1점- 매우 그렇다)


산식
평가 점수 평균 (e.g. 우리 지역의 관광활동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지역주민이 느끼는 자긍심

* 예시: 귀하는 귀하의 지역의 관광활동에 대한 자부심이 있습니까?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 ◯
4 ◯
3 ◯
2 ◯
1

- 152 -
바. 지역주민의 정체성

 지역주민의 정체성은 지역주민 정체성을 측정하는 지표임. 지역주민이 해당


사회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소속감을 느끼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지역의 공동체성을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주민의 정체성

정의 지역주민으로서의 정체성

5점척도(리커트 5점 척도: 5점-전혀 아니다, 1점- 매우 그렇다)


산식
평가 점수 평균

지자체 사회조사가 동일 문항 활용 시 자료 이용, 그렇지 않은 경우 지역주민 대상 설


출처
문조사 실시

의미 지역주민이 해당 사회 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소속감을 느끼는지 파악

* 예시: 귀하는 귀하의 지역에 소속감을 느끼십니까?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 ◯
4 ◯
3 ◯
2 ◯
1

- 153 -
사. 지역주민의 행복

 지역주민의 행복은 지역주민이 삶에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함

분류

대분류 관광성과

관광 관광객 지역주민
중분류 효과성 만족 만족

지표명 지역주민의 행복

정의 지역주민이 삶에 만족하는 정도

산식 평가 점수 평균

지자체 사회조사가 동일 문항 활용 시 자료 이용, 그렇지 않은 경우 지역주민 대상 설


출처
문조사 실시

의미 지역주민의 삶에 대한 만족도

- 154 -
5)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파트는 기존 지역관광발전지수와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지표


체계 안에 존재하지 않았던 개념으로서, 관광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아젠다에 적절히 대비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측정함. 구체적으로
지속가능성, 형평성, 주민의 시민의식과 안전을 측정

기존 지표들은 소극적 의미에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 및 측정하였으나, 관광이


나아가야 할 지점인 모두를 위한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뿐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대두될 안전문제 등의 적용

우선 지속가능성은 지속가능한 관광이라는 최근의 정책적 담론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개념으로서 젠트리피케이션지수,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를 포함

형평성은 무장애관광지수, 청년실업률, 여성취업률, 불평등계수, 지가불균형을 포함하고


있으며, 관광산업을 통해 창출된 경제적인 성과가 불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들을 추가하였으며, 무장애관광지수를 통해 사회적 약자가
지역관광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는지를 측정하고 있음

주민의 시민의식은 지역관광의 주체로서 지역주민이 얼마나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지역관광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개념으로서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신뢰반경범위, 지역주민 시민의식을 통해 측정하고 있음

안전은 강력범죄 발생건수,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야간보행 만족도, 교통사고


발생건수 등을 통해 측정하고 있으며, 기존의 지역관광경쟁력 지표들이 반영하지
못하고 있던 여행지에서의 안정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구축함

- 155 -
[그림 21]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부문 구성

<표 25> 지역관광상생지표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부문 지표 목록

중분류 세부지표 의미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지역 내 젠트리피케이션이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개발로 인하여 지역주민이 피해를 입고 있는지
지속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가능성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 입장에서 관광지 개발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는지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관광객 입장에서 지자체 관광 환경문제가
자원보존도 평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열린관광지, 시니어 관광 프로그램이
무장애관광지수
얼마나 지정 및 운영되는지
청년실업률 청년의 실업률이 얼마나 되는지
형평성 여성고용률 여성의 취업률이 얼마나 되는지

불평등계수 지역 내 불평등계수가 얼마나 되는지

지가 불균형 지가 불균형 문제가 얼마나 되는지


방문객에 대한
지역 방문객의 장애인, 외국인,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태도
사회적 거리감
주민의
신뢰반경범위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 정도의 측정
시민
의식 지역주민 시민의식 지역주민이 갖는 시민의식 측정

관광객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범죄 발생건수가 얼마나


강력범죄 발생건수
되는지
관광객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안전사고 발생건수가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얼마나 되는지
안전
야간보행 만족도 야간에도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치안의 환경이 조성되었는지

관광객 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얼마나


교통사고 발생건수
되는지

※ 지역주민 피해 정도, 자원보존도 평가는 대상별설문조사, 이외 신규지표들은 기존 사회조사 및 관련된 통계지표를 적용하여 측정
※ 주민의 시민의식 및 안전 중 야간보행 만족도는 설문조사 측정, 기타 자료는 통계 활용

- 156 -
(1) 지속가능성

가. 젠트피리케이션

 젠트리피케이션 지표는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하였음.
젠트리피케이션이 시작되면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져 지역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됨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젠트리피케이션(3개)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정의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
창업 횟수 = 창업 신고 사업자 수
폐업 횟수 = 휴·폐업 신고 사업자 수
산식
프랜차이즈 업체 수 = 사업체 통계 DB 중 프랜차이즈 업체 수
유동인구 증가율 이동통신 통화량 기반 유동인구 정보
출처 국토연구원(2018) 도시경제기반형 젠트리피케이션 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젠트리피케이션이 시작되면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져 지역사회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
의미

- 157 -
나.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 관광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 정도는 관광개발 이후 지역주민이 느끼는 소음,


쓰레기, 주차, 사생활침해 등에 대한 피해 인식 정도를 의미함. 관광개발 이후
지역주민의 피해 정도를 평가하여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할 필요가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관광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 정도

정의 소음, 쓰레기, 주차, 사생활침해 등에 대한 피해 인식 정도

산식 7점척도(리커트 7점 척도: 1점-매우 불만, 7점- 매우 만족)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 조사

의미 관광개발 이후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평가를 통한 관광지속가능성 진단

* 예시: 귀하가 사시는 동네 관광 개발로 인하여 소음, 쓰레기, 주차, 사생활침해 피해를 어느 정도
받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전혀 매우 큰
피해를 받지 --------- --------- --------- --------- --------- 피해를 받고
않는다 있다


7 ◯
6 ◯
5 ◯
4 ◯
3 ◯
2 ◯
1

- 158 -
다.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는 환경자원 및 문화재 자원 보존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을 의미함. 관광개발 이후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를 평가하여,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할 필요가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관광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


환경자원 (자연환경 및 생태계, 대기, 물, 토양) 및 문화재 자원 (유형문화재, 무형문화
정의
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보존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내가 사는 지역의 문화유산은 보존이 잘 되어있다”
산식 “내가 사는 지역의 환경자원은 보존이 잘 되어있다.”
7점척도(1점-매우 그렇지 않다, 7점- 매우 그렇다) 평가 점수 평균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관광개발 이후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평가를 통한 관광지속가능성 진단

- 159 -
라.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

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는 환경자원 및 문화재 자원 보존에


대한 관광객의 의식을 의미함. 관광개발 이후 관광객의 자원보존도를 평가하여,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할 필요가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관광지 개발로 인한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


환경자원 (자연환경 및 생태계, 대기, 물, 토양) 및 문화재 자원 (유형문화재, 무형문화
정의
재, 기념물, 민속문화재) 보존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
“내가 방문한 지역의 문화유산은 보존이 잘 되어있다”
산식 “내가 방문한 지역의 환경자원은 보존이 잘 되어있다.”
7점척도(1점-매우 그렇지 않다, 7점- 매우 그렇다) 평가 점수 평균
출처 지자체 방문 관광객 대상 설문 조사

의미 관광개발 이후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를 통한 관광지속가능성 진단

- 160 -
(2) 형평성

가. 무장애관광지수

 무장애관광지수는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무장애 관광지의 개수를


의미함. 이 지표를 통해 관광에서 소외되고 있는 계층을 위하여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미래 관광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무장애관광지수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무장애 관광지 수 (장애인, 임산부 등 관광 취약계
정의
층이 장애물 없이(Barrier-free) 관광활동을 즐길 수 있는 관광지)
산식 열린관광지 수 + 시니어관광프로그램 수

출처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visitkorea.or.kr)

의미 관광소외계층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을 통해 미래 관광수요에 적극적 대처

- 161 -
나. 청년실업률

 청년실업률은 개별 지자체의 청년실업률을 의미하며, 관광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사회·문화적 혜택이 지역 내 인구집단별로 균일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청년실업률

정의 지자체별 청년실업률
(청년(15-29세) 실업자 수/ 청년 경제활동 인구)*100
산식 경제활동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기 위해 노동을 제공할 의사
와 능력이 있는 사람 (취업자+실업자)
출처 지자체별 청년 경제활동 인구와 청년 실업자 수 데이터 요청

의미 관광개발로 인한 경제, 사회적 혜택이 지역 내 인구집단별로 균일하게 배분되어 있는지 확인

- 162 -
다. 여성고용률

 여성고용률은 해당 지자체의 여성고용률을 의미하며, 청년고용률처럼 이 지표를 통해


관광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사회·문화적 혜택이 지역 내 인구집단별로
균일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여성 고용률

정의 지자체별 여성 고용률
(여성 취업자 수/ 여성 생산가능인구(15-64세)*100
산식
생산가능인구: 경제활동+비경제활동인구
출처 지자체별 여성 생산가능인구와 여성 취업자 수 데이터 요청
관광개발로 인한 경제, 사회적 혜택이 지역 내 인구집단별로 균일하게 배분되어 있는지 확
의미

- 163 -
라. 불평등계수

 불평등계수는 해당 지역의 소득불평등 정도를 의미하며, 이 지표는 해당 지역의 소득


분배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불평등계수

정의 지니계수

로렌츠곡선은 특정 소득계층 이하 수준의 지자체 지역민들이 전체 지자체 지역민의 소


득에서 차지하는 누적 비중을 연결한 곡선임.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과 (전체소득비중
=사람의 전체비율)의 곡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사람의 전체 비율(100%)*전체소득비중
산식
/2)으로 나눈 값. 만약 한 사람이 전체의 부를 다 가지고 있다면 로렌츠곡선 아래의 면
적은 거의 0이 되어, 지니계수는 1이 될 것임. 반면 소득이 완전히 균등하다면 로렌츠
곡선=(전체소득비중=사람의 전체비율)의 곡선이 되어 지니계수는 0이 될 것임

출처 가계금융복지조사

의미 해당 지역 소득불평등 정도

- 164 -
마. 지가불균형

 지가불균형 지표는 지가변동률을 의미하며, 이 지표는 일반적인 지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지가불균형

정의 지가변동률

산식

출처 전국지가변동률조사

의미 일반적인 지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

- 165 -
(3) 주민의 시민의식

가.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방문객 중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외국인,


성소수자에 대한 주민의 태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표임. 외부 방문객에 대한
지역주민의 개방성 정도를 통해 주민의 시민의식을 측정하고자 함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방문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정의 방문객 (장애인, 외국인, 성소수자) 에 대한 주민의 태도 측정


1) 지자체를 방문하는 것
2) 내 가까운 이웃이 되는 것
3) 나와 절친한 친구로 지내는 것
7점 척도 (1점-매우 불가능하다, 7점- 매우 가능하다) 평가 점수 평균
※ 보가더스는 ‘사회적 거리감을 ’ 특정한 지위 특성을 가진 어떤 사람들에 대한 개인의 태도
로 특정집단에 대한 멀고 가까움으로 정의함. 1-7점으로 구성된 문항간의 위계적이고 단계적
인 관계와 각 문항의 누적성을 전제(전대성&이주실,2015)

산식

*예시: 보가더스 척도를 활용한 한국 종합 사회조사 (2010)

출처 보가더스 척도(Bogardus social distance scale)를 활용한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외부 방문객에 대한 지역주민의 개방성 정도

- 166 -
나. 신뢰반경범위

 신뢰반경범위는 사회조사에서 신뢰를 측정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로서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임. 가족, 낯선사람, 이웃,
친구에 대한 신뢰를 조사하여 해당 지역 사람 간 신뢰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함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신뢰반경범위

정의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
(가족에 대한 신뢰 +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 + 이웃에 대한 신뢰 + 친구에 대한 신
산식
뢰)/4
출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의미 해당 지역 사람 간 신뢰 정도 파악

- 167 -
다. 지역주민 시민의식

 지역주민 시민의식은 지역주민의 시민의식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임. KGSS


종합사회조사에서 사용하는 시민의식 문항 전체를 활용하여 지역주민 시민의식을
파악하여 지역주민의 시민의식 수준이 사회적 책무성을 다할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함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지역주민 시민의식

정의 지역주민의 시민의식 파악

산식 시민의식 문항 전체 평균

출처 통계청 사회조사, KGSS 한국종합사회조사

의미 지역주민의 시민의식 파악

- 168 -
(4) 안전

가. 강력범죄 발생건수

 강력범죄 발생건수는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5대 범죄 발생건수를 말하며, 이는


관광객이 지역에서 범죄에 노출되지 않고 편안하게 관광할 수 있는지를 대표하는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강력범죄 발생건수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5대 범죄 발생건수


정의
(살인, 강도, 강간 강제추행, 절도, 폭력 사건 )
산식 5대 범죄발생 건수 ÷ 인구 1,000명
경찰청, 경찰청범죄통계: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출처 경찰청 홈페이지 메인→정보공개→공공데이터→경찰범죄통계
지자체 인구: 국가통계포털
의미 관광객이 지역에서 편안하고 불편함 없이 관광할 수 있는지 파악

- 169 -
나.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는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관광객이 해당 지역에서 사고 없이 편안하게 관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정의
(붕괴, 수난, 등산, 추락, 자전거, 레저, 놀이시설 사고)
산식 생활안전사고 발생 건수 ÷ 인구 1,000명
출처 행정안전부, 재난연감
의미 관광객이 지역에서 편안하고 불편함 없이 관광할 수 있는지 파악

- 170 -
다. 야간보행 만족도

 야간보행 만족도는 야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관광객이


지역 내에서 밤에 걸어다닐 때 얼마나 안전하고, 불편함없이 다닐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야간보행 만족도

정의 야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산식 7점척도(리커트 7점 척도: 1점-매우 불만, 7점- 매우 만족) 평가 점수 평균
출처 관광객 대상 설문 조사

의미 관광객이 지역에서 편안하고 불편함 없이 관광할 수 있는지 파악

* 예시: 야간 활동 및 보행 안전성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매우 불만 --------- --------- --------- --------- --------- 매우 만족


7 ◯
6 ◯
5 ◯
4 ◯
3 ◯
2 ◯
1

- 171 -
라. 교통사고 발생건수

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지자체별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의미하며,


관광객이 해당 지역에서 교통사고에 노출되지 않고 편안하게 관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지표임

분류

대분류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주민의
중분류 지속가능성 형평성 안전
시민의식

지표명 교통사고 발생건수


지자체별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
정의
(자동차 등록대수에 승용, 승합, 화물, 특수, 이륜차 포함. 시도는 건설기계, 농기계까지 포함)
산식 자동차 1만대당 사고건수=(교통사고건수/자동차수)*10,000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통계
출처 (http://taas.koroad.or.kr/sta/acs/gus/selectCarTfcacdSido.do?menuId=WEB_KMP_OV
T_MVT_TAC_CTA)
의미 관광객이 지역에서 편안하고 불편함 없이 관광할 수 있는지 파악

- 172 -
3. 기존 관광경쟁력지표와의 비교

관광공사의 기존 관광경쟁력지표체계와 이번에 개발한 지역관광상생지표체계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의 개선점을 상세히 설명하겠음

기존 관광공사의 관광경쟁력지수는 5대 분류 체계 ‘관광정책’, ‘관광 자원집적’,


‘관광 수요촉진’, ‘포용적 성장’, ‘관광성과’로 분류하였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관광자원매력도’, ‘관광산업역량’, ‘관광성과’,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5개 분류 체계로 개편함

<표 26> 대분류 체계 개편

관광경쟁력지수 지역관광상생지표 수정 이유
 기존 관광정책이라는 명칭은 관광의 행정
적인 측면을 고려하였다면, 본 연구에서
관광정책 ― 수정 → 거버넌스 개발한 지역관광상생지표는 민간투자부문
과 주민참여까지 포괄하는 개념의 거버넌
스로 수정

 기존 대분류 ‘관광자원집적’과 ‘관광수요


촉진’은 모두 관광의 공급자적 측면만을
관광 자원집적 관광자원매력도 강조하였으며, 수요자를 수동적인 객체로
보았음.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
관광상생지표 ‘관광자원매력도’에서는 관
광객이 보는 관광자원의 매력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요자의 입장을 반영함
― 지표 재분류 및 수정 →  또한, ‘관광산업역량’의 경우 기존 ‘관광
자원집적’에서 숙박, 관광, 특화관광자원
에만 집중했다면, 최근 급변하고 있는 교
관광 수요촉진 관광산업역량 통산업과 숙박산업의 구조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공유모빌리티, OTA 적용 숙박업,
무선네트워크 범위 등을 고려할 수 있도
록 범위를 넓힘

관광성과 (변동 없음) 관광성과

 기존 ‘포용적 성장’에서 다루었던 지속가


능관광, 소외계층수용성은 ‘지속가능성’과
‘형평성’으로 수용하면서, ‘주민의 시민의
포용적 성장 ― 수정 →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식’과 ‘안전’ 문제를 추가할 수 있는 포괄
적 의미의 ‘사회적 책무성’이라는 용어로
변경

- 173 -
대분류 체계를 개편하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세부지표 63개 중 기존 관광경쟁력지수
또는 관광발전지수에서 활용했던 지표를 그대로 사용한 경우는 ‘기존’, 기존
관광경쟁력 지수 또는 관광발전지수에서 활용했던 지표를 보완하여 사용한 경우는
‘보완’, 새롭게 진입한 지표의 경우 ‘신규’로 구분한 결과는 아래와 같음

<표 27> 지역관광상생 세부지표와 기존 지표 비교

대분류 기존 신규 보완
거버넌스 3개 2개 1개
관광자원매력도 4개 2개 3개
관광산업역량 5개 8개 6개
관광성과 5개 10개 2개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2개 13개 1개

- 174 -
다음으로 기존 관광경쟁력 지수 또는 관광발전지수에서 활용했던 지표를 보완하여
사용한 경우와 새롭게 지표를 개발한 경우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음

<표 28> ‘거버넌스’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 기존 지역관광경쟁력지수는 관광공급에 대한 정부
역량을 중점적으로 파악했다면 본 지표체계는 관
지자체 관광(시설)
신규 광투자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민간분야 투자실
민간투자실적
적 측정을 통해 관광공급의 민간활력을 반영하고
관광 자 함
투자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는 해당지자체가 얼만큼의 재
정 및 인력을 관광산업에 투자하고 있는지만을 측
민간투자잠재력 신규 정했다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관광상생지표에
서는 지자체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의 투자 의지를
반영하고자 함

관광공무원수 기존
관광
거버
행정 지자체
넌스 기존
관광예산 비중
 이 지표는 기존 지역관광경쟁력지수에서 측정하지
못한 주민참여의 질적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 주
민관관광협의체
신규 민참여로 만든 민관관광협의체의 재무·운영 건전성
활성화 정도
측정하여, 민간기관의 조직 특성 및 역량을 파악하
주민 고자 함
참여  기존 지역관광경쟁력지수는 지역기반 관광 측정을
관광 위해 관광두레 및 농어촌체험마을의 프로그램 수
주민주도 를 지표로 활용했지만 본 지역관광상생지표에서는
보완
관광사업체수 보다 포괄적으로 ‘주민주도 관광사업체수’를 측정하
기 위해 마을기업 및 지자체가 관리하는 주민주도
사업체 등을 포함하여 측정함

- 175 -
<표 29> ‘관광자원매력도’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 기존 지역관광경쟁력지수는 관광자원을 측정
함에 있어 생태자원에 대한 측정이 부족하며,
문화자원은 시설과 자원으로 분리하여 측정하
고 있어 관광자원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존재
하며, 지역관광발전지수는 자연생태자원을 중
분류로 하여 세부 지표를 측정함에 따라 자
연생태자원에 대한 중요도가 과도하게 측정될
우려가 있음
문화생태관광자원 보완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생태관광자원을
‘지역특화관광자원’이라는 중분류 하위 세부
지표로 분류하고, 문화자원과 자연 및 생태환
경자원수의 총합으로 나타냄. 기존 지표에서
관광자원을 여러 개의 지표로 분류하여 별도
지역 로 관리하여 개별 관광자원의 개수와 절대량
특화 이 과도하게 평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관광
자원의 절대량과 관련된 지표를 1개로 압축
관광
하여 제시하고자 함
자원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는 지정 문화관광 축
제의 유무만을 확인하여 지표화했으나, 본 연
구에서는 지자체문화관광축제의 개수를 지표
지자체문화관광축제수 보완
화하여 지자체의 문화관광축제가 여러 개일수
관광 록 해당 지역의 관광자원 매력도를 크게 평
자원 가하고자 함
매력도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는 관광자원매력도에
수요자의 평가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을 보
지역특화 관광시설 매력도 신규
완하고자 함. SNS의 발달과 함께 개별관광
객들이 해당 지역의 관광시설 및 음식점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매체가 늘어나고, 실제
로 여행지에 대해 직접 평가하고 온라인 상
지역특화 음식점 매력도 신규
에 공유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
것이 가능해짐
관광객이용시설수 기존
유원시설수 기존
관광(단)지수 기존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 ‘컨벤션 및 전시시
일반적 설수’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던 지표와 동일한
관광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회의 시설수
자원 ‘로 지표명을 변경함. 또한 기존의 컨벤션 및
국제회의시설수 보완
전시가능한 전문회의시설에서 지자체에서 보
유하고 있는 국제회의 시설(코리아 유니크 베
뉴 포함)로 범위를 확장하여 국제회의 시설수
를 파악하고자 함
문화기반시설수 기존

- 176 -
<표 30> ‘관광산업역량’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이동수단운행횟수(시외버스) 기존

철도운행횟수 기존

시티투어운행횟수 기존
 기존 지표에서는 지역 내 이동의 교통편의성
을 시티투어운행횟수만으로 측정했지만 시티
투어운행이 지역 내 이동을 나타내기에는 한
시내교통망(택시수, 버스노선수,
신규 계를 가지고 있어, 신규 지표 체계에서는 시
관광택시 수)
내 이동과 관련된 택시, 버스노선, 관광택시
를 고려하여 실제 관광을 다니는 중에 필요
교통 한 교통편의성을 고려하고자 함
편의성  최근 공유 모빌리티 산업이 발달하면서 우
공유 모빌리티 운영 버, 그랩, 쏘카, 그린카 등 공유 모빌리티를
신규
(우버, 그랩, 쏘카, 그린카) 활용하는 관광객들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이
를 반영한 지표가 필요함

 관광객들이 관광을 할 때 주차문제를 심하게


느끼는 경우 해당 지역의 관광산업의 역량이
관광지별 주차장 확보 신규
높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이를 반영한 지표
관광 필요
산업
역량
 기존 경쟁력지수에서는 숙박시설의 객실수,
관광숙박이용률, 호텔등급지수를 활용하여
숙박시설을 평가했지만, 신규 지표체계에서
관광숙박업 역량 보완
는 지자체별 관광숙박업 사업체 매출액으로
숙박시설의 객실수와 이용률을 한 번에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로 대체함

 기존 지역관광발전지수에서 포함하였던 일반
숙박업 객실수를 보완하여, 이용률까지 고려
사업체 일반숙박업 역량 보완
한 지표인 지자체별 일반숙박업 사업체 매출
역량 액으로 보완
 최근 에어비앤비 등 공유숙박업 매체가 다양
공유숙박업 역량 화되고, 실제로 이를 이용하여 숙박을 예매
신규
(에어비앤비 검색 객실수) 하는 관광객들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반
영한 지표 필요
 각 지자체에서 보유 및 운영하고 있는 관광
관광편의시설업 역량 보완
편의시설 사업체 총 매출액
 실제로 관광객들은 여행을 가기 전에 해당
쇼핑시설업수
신규 지역에 장날이 언제인지 미리 알아보고 여행
(재래시장수, 대형마트수)
을 가기도 함. 또한, 재래시장을 선호하지

- 177 -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않는 여행객의 경우 여행지 내에서 주로 대
형마트를 찾아 가는 경우가 많음. 재래시장
과 대형마트수를 고려한 지표 필요
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고, 해외 여행객들
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여행 중에 인터넷
을 활용한 검색이 계속해서 요구되므로 해당
무선 네트워크 범위 신규
지역 내 무선네트워크 환경이 얼마나 잘 구
축되어있는지는 해당 지역의 관광능력과 직
결된다고 볼 수 있음
관광 스마트안내체계지수 기존
안내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 문화관광해설사수
홍보 와 관광통역안내원수만을 고려하였지만, 안
능력 내서비스 인력의 다양화를 고려하여 관광통
안내서비스인력수 보완
역 안내사(광역), 문화관광해설사, 도시해설
사 (마을·지역 해설사) 수의 총합계로 지표
수정
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숙박예약이 가능한 숙
OTA 적용 숙박업소수 신규 박업소가 많은 경우 해당지역 관광객 수용
능력이 높으므로 이를 반영한 지표 필요
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는 지자체 내에서
영업하고 있는 여행사 중 해당 지자체 (광역)
지자체(지역기반) 여행사 수 보완 관광상품을 취급하고 있는 일반, 국내외 여행
사수를 말함. 지자체 여행사 수가 많으면 관광
지역 수요를 촉진하고, 지역관광경쟁력이 향상됨
 기존 경쟁력지수에서는 관광품질인증 종류수
특화
관광품질인증수 보완 를 활용하였으나, 해당 지자체의 관광품질인
관광 증수 전체를 활용하는 것으로 수정
제공 우수여행상품수 기존
역량  기존 경쟁력지수에서는 한국관광100선 여부
가 다른 지표를 산출하기 위해 활용되는 수
한국관광100선 여부 신규 준이었으나, 한국관광100선 여부는 지역특화
관광제공 역량의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되므
로 별도의 지표로 다루기로 함

- 178 -
<표 31> ‘관광성과’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지자체 내국인 방문객수 보완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는 데이터산출 문제로


광역단위에서 집계하던 내국인 방문객 수와 외
지자체 외국인 방문객수 보완 국인 방문객 수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자체
단위에서 산출 가능
관광GRDP 기여율 기존
관광 관광고용의 기여도 기존
효과성 평균관광체류시간 (내국인/
신규
외국인) 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서 다루지 않았던 관광
관광 체류일수 의 수요자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한 지표
신규
(내국인/외국인)
 관광연구에서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현재 그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신규 규모가 커지고 있는 권역내(혹은 생활권내) 지
지역주민 관광객수
역주민의 관광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 필요
관광객 만족도 기존
관광객 재방문의사 기존
관광 관광객 타인추천의사 기존
성과 만족  특정 지역에 관광하러 온 관광객과 지역주민사
이의 교류활동은 관광객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지역주민 환대 신규
영향을 주기도 하므로 지역주민 환대성을 측정
하기 위한 지표 필요
지역관광  지역관광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지역주민 만족
신규
경제효과성에 대한 평가 도는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측면임. 지역관광의
지역관광 경제적 효과, 문화적 효과, 그리고 주거환경에
문화효과성에 대한 평가 신규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긍정적인 부분은 촉진
지역관광 신규 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부분은 개선할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
지역 필요가 있음
주민  지역주민이 본인의 지역내 관광활동 혹은 다른
지역주민의 자긍심 신규
만족 사람들이 해당 지역에 와서 하는 관광활동으로
인해 느끼는 자긍심과 정체성은 지역주민 관광
지역주민의 정체성 신규 만족도와 직결됨. 또한, 이를 확인하는 데 있어
서 지역주민의 전반적 행복도를 확인하여 해당
지역주민의 행복 신규 지역의 행복 수준을 파악하여 기준점으로 놓고
비교할 필요가 있음

- 179 -
<표 32>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 - 기존 지표 보완 및 신규 지표 개발 이유
기존
대분류 중분류 세부지표 /신규 신규 및 보완 이유
/보완
 관광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
이 다른 사람들로 대체되는 현상이 심해지면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신규 해당 지역의 관광은 지역주민 거주의 지속가능
성을 현저히 해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지표 필요
 관광산업이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기 위해서는
지속 관광지 개발로 인한
신규 관광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를 최소화해
지역주민의 피해정도
가능성 야 하므로 이를 반영한 지표 필요
관광지 개발로 인한  지역주민 스스로 관광지개발로 인해 자원이 파
지역주민의 자원보존도 신규 괴되고 있지는 않은지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평가 필요
 관광객이 관광을 다니면서 관광지개발로 인해
관광지 개발로 인한
신규 자원이 파괴되고 있지는 않은지를 평가할 수
관광객의 자원보존도 평가
있는 지표 필요

무장애관광지수 기존

청년실업률 신규
 기존 체계에서 다루지 않았던 지표로서 해당
형평성 여성고용률 신규
관광의 지역 내의 거시적 경제적 불평등성을 측정하여
불평등계수 신규 관광산업의 지역 내 경제적 불평등을 개선하고
사회적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
책무성 지가 불균형 신규
 외부 방문객 그 중에서도 특히 소수자 대한
방문객에 대한
신규 지역주민의 개방성 정도를 통해 주민의 시민의
사회적 거리감
식을 측정하고자 함
 해당 지역 내 사람 간 신뢰도를 측정하고자
지역 신뢰반경범위 신규

주민의  지역주민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으면 해당 지자
시민 지역주민 시민의식 신규 체가 사회적 책무성을 다하고자 노력할 가능성
의식 이 높으므로 이를 반영한 지표 필요
 기존 경쟁력지수에서 5대 범죄자 발생건수 합
계를 사용하였으나,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강력범죄 발생건수 보완
5대 범죄 발생건수로 보완하여 지자체 인구
규모를 고려한 지표 산출
 관광의 개념이 일상관광으로 확장되면서 다양
생활안전 사고 발생건수 신규
한 생활안전 사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관광객의 야간 관광 안전을 측정하기 위한 지
안전 야간보행 만족도 신규
표 필요

교통사고 발생건수 기존

- 180 -
제4절 지표 산출 결과 예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관광상생지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 데이터 미비


등의 이유로 산출이 불가능하다고 할지라도 향후 데이터 구축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관광상생지표에 반드시 필요한 지표로 구성하였음

이에 현재 상황에서는 모든 지역에 대해 산출할 수 있는 지표에 집중하기 보다는


현재 여러 지표에 대해 산출이 가능한 특정 지역(전주시)을 중심으로 개략적
시산을 통해 종단비교를 실시하여 향후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

본 지표체계의 활용방안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전주시를 중심으로 현재


시산 가능한 지표를 제시하였음. 전주시는 2020년 지역관광거점도시 선정지역 4개
지자체(전주, 목포, 강릉, 안동) 등 한 곳으로, 현재 다양한 관광정책의 중심이 되고
있음

또한, 자체적으로 전주사회지표, 빅데이터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있어 향후 자료


구득에 관점에서 사례가 될 수 있음

관광객 1천 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한옥마을은 한(韓)문화를 중심으로 외래관광객의


확장, 관광의 양적 증대에 대한 가능성을 갖추고 있으나, 최근 한옥마을의
변질이나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지표 적용에 대해 다양한
실험적 결과 해석이 가능

- 181 -
<표 33> 전주시 –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지표별 변화추이 분석

구분 기존연도 최근연도 증감율(%) 비고


(2017) (2019)
전주시
외국인관광객수(명) 269,421 172,770 -35.9 완산구 대상

외국인관광객
평균체류시간(시) 4.5 4.6 2.2

외국인관광객 2.1 2.0 -4.8


평균방문일수(일)

전주시
내국인관광객수(명) 64,536,913 100,207,628 55.3 완산구 대상
내국인관광객
3.0 3.1 3.3
평균체류시간(시)

내국인관광객
1.7 1.7 -2.9
평균방문일수(일)

OTA 적용숙박업수(개소) 138 168 21.7


기존 지표
환경체감도(10점) 6.57 6.43 -2.1
10점기준환산
관광고용의 기여도(%) 1.04 1.33 27.9

삶의질(10점) 6.29 6.64 5.6

강력범죄건수(건) 14,924 15,292 2.5

* 출처: 전라북도사회조사(2017, 2019)

- 182 -
1. 관광체류일수(내국인/외국인)

 내국인 관광체류일수는 해당 지역에 내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일수를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장기거주형 여행의 증가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 외국인 관광체류일수는 해당 지역에 외국인이 여행을 와서 보낸 여행일수를


의미함. 이것은 해당 지역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시간을 보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므로, 장기거주형 여행의 증가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 전주시 완산구의 외국인 관광객수는 2017년에 비해 2019년에 약 36% 감소하였음.


같은 시기 전주시의 외국인 관광객 체류시간은 2.7% 증가하였고, 방문일수는 2.2%
감소하였음

 전주시 완산구의 내국인(외지인) 관광객은 약 55% 증가하였음. 같은 시기 전주시의


내국인 관광객 체류시간도 4.6% 증가하였으며, 방문일수는 2.9% 감소하였음

 외국인 관광객수가 2019년에 기준년도에 비해 약 35.9% 감소한 원인을 파악하고,


외국인과 내국인 방문일수는 모두 줄어들었지만 내국인 관광객수는 늘어난 이유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

[그림 22]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1)

- 183 -
2. 관광고용 기여도 및 OTA 적용 숙박업소

 관광고용 기여도는 관광이 해당 지역 고용에 기여한 정도를 의미함. 산출은 해당


지자체 종사자수 대비 7대 산업 관광사업체 종사자수임. 즉, 지역 내에 관광산업에
종사자가 얼마나 많은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며, 이를 통해 관광이 해당
지역 고용에 기여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음

 전주시 완산구의 관광 고용 기여도는 기존 연도 대비 27.9% 증가

 향후 관광의 높은 공유기여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OTA 적용 숙박업소수는 OTA(On-line Travel Agency)에 등록된 숙박업소수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네이버 호텔 검색 시에 나오는 호텔, 게트스하우스, 모텔,
호스텔 등 숙박업수 합계임. 이 지표는 방문객의 관광 접근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임

 전주시 완산구의 OTA 적용 숙박업소는 2019년168개소가 등록되어 기존 연도 대비


21.7% 증가 → 전주시 완산구 관광의 고용 기여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OTA 적용 숙박업소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향후 OTA 적용 숙박업소의 증가에 따른 체계적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이 요구됨

[그림 23]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2)

- 184 -
3. 환경체감도, 강력범죄 발생건수, 지역주민 삶의 질

 강력범죄 발생건수는 지자체별 인구 1,000명당 5대 범죄 발생건수를 말하며, 이는


관광객이 지역에서 범죄에 노출되지 않고 편안하게 관광할 수 있는지를 대표하는
지표

 전주시 완산구 지역들이 느끼는 환경체감도는 10점 만점 기준 6.43점으로 2017년도


대비 2019년에 2.1% 감소

 전주시 완산구의 5대 강력범죄발생 건수는 2017년 대비 2019년에 5.6% 증가

 전주시 완산구 지역주민의 삶의질은 10점 만점 기준 6.64점으로, 2017년 대비


2019년에 5.6% 증가하였음. 전주시 관광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의 환경체감도 평가는
다소 감소하고, 강력범죄 발생건수도 다소 증가하였으나, 지역주민의 삶의 질은
기존 연도 대비 상승 추세를 보임

 강력범죄발생건수가 늘어나면서 환경체감도가 감소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안을 강화하는 정책적 대응마련 필요

[그림 24] 전주시 지표별 변화 추이 (3)

- 185 -
Ⅳ 연구 활용 및 제언

제1절 지표의 활용방안

1. 지방자치단체의 활용방안

1) 지역관광의 역량 강화

지역사회 관광개발의 의미 고려

 기존에 지역 관광자원과 관광매체 등 공급자의 입장에서만 관광개발을


정의해왔던 것에 더하여, 주민의 의식과 생활영역까지 고려할 수 있는 지역사회
관광개발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됨

 해당 지표의 활용을 통해서, 관광객이 차별 없고 안전하게 관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의미를 형성할 수 있음

­특히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하여, 지역의 안전과 관련된 이슈의 중요성이


증가함

2) 지역관광의 체질 개선

관광의 수요자(지역주민, 관광객) 측면 고려

 기존에 관광객과 주민의 갈등이 불거진 사례들을 참고할 때 지역 주민의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새로운 체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지역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관광두레 등 주민참여 관광의 사례는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할 수 있는 관광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음

 관광개발에 지역사회와 주민의 참여를 전제하는 지표의 활용을 통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활성화 및 주민복지, 지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음

- 186 -
2. 중앙 정부의 활용방안

1) 국가 관광정책 수립 근거 활용

국가 수준의 효과적인 관광 경쟁력 측정

 관광경쟁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고려할 때, 단순히 생산능력의 측면에서만


관광 경쟁력을 평가하던 기존의 시도는 지속가능성, 인력 자원, 인프라 구조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국가 수준의 관광정책을 수립하는 데
불충분한 자료임

 관광 경쟁력이 다양한 수준에서의 경쟁력을 총체적으로 고려할 때 온전히


평가될 수 있는 요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민의 관점이나 지속가능 발전
등의 측면을 포함시킨 지표체계를 이용함으로써 국가 수준의 관광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

2) 국가 사업 추진 근거 활용

사업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

 국가 주도 사업을 진행할 장소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근거로써 지표가 활용될 수


있음

­예컨대, 관광의 사회적 책무성을 위해 시행하는 사업의 경우에는


지속가능성, 형평성, 주민의 시민의식, 안전 등의 요소와 그와 관련된 세부
지표들을 모두 활용하여 지역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음

정책 의사결정에 활용

 특정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입안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경쟁력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황인지를 먼저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을 입안하는 것이
중요함

­지표를 통해서 해당 지역의 상황을 보다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 187 -
3. 한국 관광공사의 활용방안

1) 지표를 활용한 지역 관광사업 발굴 및 컨설팅

정례적인 지역의 관광 진단을 통한 지자체 맞춤형 컨설팅

 지자체 간의 비교를 지양하고, 기존 통계, 빅테이터, 설문조사 등의 데이터를


통한 특정 지자체를 종단 측정하고, 특정 지자체 내에서의 상생관광을 위한
개선정책을 제시하고 활용함

 한국 관광공사의 빅데이터실 내 관광컨설팅팀에서 지자체 컨설팅 등의 수행


기초자료로 활용

지속적인 지표 고도화 및 데이터 산출, 활용, 공유를 통한 Data Hub 구축

 크로스커팅 이슈를 지표화하고 포함하여 지표를 고도화하고, 동일 주기가 아닌


3~5년 내외의 지자체별로 상이한 조사주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산출하며,
이러한 과정을 장기적으로 유지하여 data hub를 구축함

- 188 -
제2절 주제모듈 및 크로스커팅 이슈 개발

1. 주제모듈 개발의 필요성

 ‘지역관광상생지표’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사업체


등 다양한 관광의 이해관계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삶의 질, 사회의 질, 관광산업
지속가능발전 등 여러 차원의 개념을 나타내는 지표임

 기존의 관광 관련 지표들에서 포괄하지 못했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상생을


강조한 지표들을 담았다는 점에서는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작업이
이루어졌음

 다만 단일지표체계만으로는 지역적 특수성과 차별성에 기인한 복잡한


지역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존재하며, 시의성 있는 관광 이슈
진단에 어려움이 존재함

­따라서 ‘지역관광상생지표’와 관련된 다양한 차원의 내용들을 심화주제로


묶고, 기존의 지표체계로만 담지 못한 주제들을 선정하여 해당 주제 아래
심층적인 내용으로 지표체계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는 바임

 주제 모듈이란 다양한 사회현상 중 특정 현상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측정하기


위한 사회조사 방법을 가리킴

­주제 모듈 개발과 활용 과정은 1) 관광을 통한 지역 상생을 심층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기 위한 관광 이슈를 선정하여, 2) 주제 모듈 지표를
개발하고, 3) 지표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순환 조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짐

 주제 모듈 분석을 위해서는 1) 주제 특성에 맞춘 분석 지자체(기초자치단체 혹은


광역자치단체)를 선정할 필요가 있음. 2) 지역 선정에 있어서는 신뢰성있고
타당한 방법론이 필요함. 네트워크 분석이나 잠재계층분석 등을 활용한 지역
선별. 선정 후에는 3) 지역 간 유사성,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군집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지역군집화, Cluster)

­이를 통해 기존의 관광지표가 담지 못했던 지역들의 고유성을 잘 반영한


지표들 개발과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됨

- 189 -
[그림 25] 주제 모듈 개발 절차

 구체적인 주제 모듈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를 제안하여, 향후 연구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

­1) 관광이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역의


변화상을 보여주면서 지역주민의 관점을 담을 수 있는 ‘지역주민지향성
모듈’

­2) 글로벌 관광도시 육성을 위한 외래관광객 관점의 ‘외래관광객 친화모듈’

­3) 관광객의 질적 관광 및 체험의 질과 관련된 ‘관광콘텐츠자원모듈’

­4) 지역의 관광산업와 지역주민 삶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골목상권활성화모듈’

­5) 지역 번영을 위한 관광의 실체적 역할을 분석할 수 있는 ‘지역관광권


잠재력 모듈’

- 190 -
 주제 모듈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관광이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지역의 변화상을 보여줄 수 있도록 지역주민 관점의 ‘지역주민지향성 모듈’

­ 글로벌 관광도시 육성을 위한 외래관광객 관점의 ‘외래관광객 친화모듈’

­관광객의 질적관광및 체험의 질과 관련된 ‘관광콘텐츠자원모듈’

­지역의 관광산업과 지역주민 삶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골목상권활성화모듈’

­지역번영을위한 관광의 실체적 역할을 분석할 수 있는 ‘지역관광권잠재력모듈’

[그림 26] 연구진 제안 주제 모듈 체계도

- 191 -
2. 크로스커팅 이슈 개발의 필요성

 ‘지역관광 상생지표’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관광의 다양한 이슈 중 주요하게


생각되는 범분야 이슈 개발을 위한 크로스커팅 이슈 개발이 필요해 보임

­크로스커팅 이슈란, 관광 분야를 진단할 때 모든 분야나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이슈를 의미함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슈 발굴 및 진단·분석 필요

 관광 환경은 급변하기 때문에 시의적절한 이슈를 발굴하여 관광 환경을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는 tool 개발이 시급함

­가령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 관광업계의 침체가 매우 심각함. 코로나


사태가 언제까지 지속될 지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 지금까지의 관광 산업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과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지역의 관광 역량이 투자, 자원, 거버넌스 등 내재적 요인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코로나19 팬더믹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 발전과 퇴보가 갈림

­따라서 1) ‘지역관광상생지표체계’ 내에 외부 환경이 초래한 위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지표들을 포함해 지역 관광의 위기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2) 회복탄력성을 시계열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관광 위기 회복 역량,


Tourism crisis & Resilience)

 이러한 지표 개발을 통해, 관광위기상황에 대한 단편적 결과 모니터링을 넘어


현상에 대한 다면적 평가 가능

­1) 관광 범분야 이슈인 재난·위기 발생과 대응에 대한 상시모니터링

­2) 다양한 영역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다면적 평가 가능

­3) 상시모니터링을 통한 예측가능성 제고 및 회복탄력성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192 -
제3절 스마트 투어리즘 지표 개발 제안

 4차 산업혁명과 관광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가능한 지표 개발이


필요함. 주제 모듈, 크로스커팅 모듈과 더하여 ‘스마트 투어리즘 모듈’을
제안하는 바임

 스마트 투어리즘은 센서, 연결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시의 전반적인 삶을


향상시킨다는 목표 아래 추진되어 온 스마트시티 개념을 관광 영역에 적용하는
미래 지향적 관광 모듈을 가리킴

 스마트 투어리즘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그


자료들을 논리적·인과적 흐름에 따라 연결해 지역의 관광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이를 통해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거주민의 삶의 질 또한 높일 수 있다는


취지에서 지표개발 필요

 스마트 투어리즘은 서비스의 효율성, 지속가능성, 이동성(모빌리티), 안전 및


보안, 경제 성장, 도시 평판 등 스마트시티 기획의 핵심 요소들을 ‘지역관광
상생지표체계’에서 추출해 활용할 수 있음

 직접 활용 가능한 지표에는 무선네트워크 범위, 스마트 안내체계 지수, OTA


적용 숙박업소수, 공유숙박업 등이 있음

­간접적으로 활용가능한 지표에는 거버넌스 영역의 관광투자 및 관광행정,


관광성과 영역 중 관광객 만족 활용 등이 활용될 수 있음

- 193 -
[ 참고자료 ]

1. 보고서 및 논문

고길곤. 박세나(2012).“국가경쟁력지수에 대한 비판적 검토: IMD와 WEF의 국가경쟁력지


수를 중심으로”「행정논총」 50(3): 35-66.
경제협력개발기구(2018). 「관광산업의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메가트렌드 분석」.
김동수 외 (2011). 「지역발전 지표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김윤영(2014). 「지역관광발전지수 도입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은희(2019). 「지속가능한 지역관광경쟁력 형성을 위한 관광의 포용적 성장 현상연
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문화체육관광부(2018). 「세계경제포럼 관광경쟁력지수 심층분석 및 제고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8년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9 외래관광객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9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2001). 「국가경쟁력의 현실과 정책방안」.
삼정KPMG경제연구원(2018). 「Samjong Insight」. Vol.60
서울특별시(2018). 「서울관광 중기 발전계획」.
이원희 외(2019). 「관광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0~202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임도빈(2012). “정부경쟁력의 개념정립: 시간과 공간의 관점에서” 「행정논총」50(3):
1-34.
임도빈(2013). “정부경쟁력의 국제비교: 구성지표와 평가” 「한국비교정부학보」17(2):
95-124.
전라북도(2017). 「전라북도 사회조사」.
전라북도(2019). 「전라북도 사회조사」.
정광민(2016) 「2015년 세계경제포럼 관광경쟁력지수 분석」.
최영출(2009). “국가경쟁력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3): 41-63.
한국관광개발연구원(2015). 「융복합관광산업과 관광산업의 변화」.
한국관광공사(2018). 「전국 지자체 관광경쟁력 진단 및 분석 연차보고서」.
한국관광공사(2018). 「지역관광경쟁력 진단모형 구축 및 중장기 실행전략」.
한국관광학회(2017). 「관광학원론」. 백산출판사

- 195 -
황희정&이훈(2011). 「공정관광의 개념 분석-이론화를 위한 고찰」.
World Economy Forum(2019) The Travel & Tourism Competitiveness Report2019.

2. 홈페이지

관광지식정보시스템(https://know.tour.go.kr/stat)

- 196 -
❙ 참 여 연 구 진

한 국 관 광 공 사
업무총괄: 정석인 연구책임: 김은희
관광컨설팅팀 팀장 관광컨설팅팀 전문위원

연구실무: 임상용 연구실무: 기내흔


관광컨설팅팀 차장 관광컨설팅팀 주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김석호
연구총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회발전연구소장

양종민
공동연구원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윤혜진
배화여자대학교 글로벌관광과 교수

정란수
프로젝트수 대표

정병은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구서정
연구보조원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수료

진보미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조교

홍리안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조교

- 19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