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14 views257 pages

3 +배출량+산정계획서+작성+가이드라인 (2024 2)

Uploaded by

wonjun nam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514 views257 pages

3 +배출량+산정계획서+작성+가이드라인 (2024 2)

Uploaded by

wonjun nam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257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024. 2.
content
01
PART
총칙

1.1 일반 사항 ··········································································································· 2
1.1.1. 정의 ······························································································································· 2
1.1.2. 목적 ······························································································································· 2
1.1.3. 적용 법률 및 지침 ··········································································································· 2

1.2 운영 체계 ··········································································································· 10
1.2.1. 역할 및 책임 ··················································································································· 10
1.2.2. 배출량 산정계획의 활용 ·································································································· 11

1.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 12


1.3.1. 배출량 산정계획서 구성 ·································································································· 12
1.3.2.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절차 ··············································································· 14
1.3.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시 유의사항 ···································································· 22
1.3.4. 배출량 산정계획서 헬프데스크 운영 ················································································· 24

02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2.1 조직경계 결정 ···································································································· 27


2.2 배출활동 결정 ···································································································· 36
2.3 활동자료 수집방법론 결정 ·················································································· 38
2.4 불확도 결정 ······································································································ 66
2.5 최소 산정등급 결정 ···························································································· 79
2.6 산정방법론 결정 ································································································· 82
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외부판매 ······························································· 84
2.8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자가소비 ······························································· 87
2.9 품질관리(QC) 및 품질보증(QA) 활동 ·································································· 88
03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1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연계 일반사항 ······························································· 91


3.1.1.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지침 연계 항목 ··············································································· 91
3.1.2.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명세서 연계 항목 ··········································································· 93
3.1.3. NGMS 시스템 및 배출량 산정계획서 연계 항목 ······························································· 94

3.2 배출량 산정계획서 세부 작성방법 ······································································· 96


3.2.1. 할당대상업체 총괄 정보 ·································································································· 96
3.2.2. 사업장 일반정보 ············································································································· 98
3.2.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 방법 ······················································································ 104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 118
3.2.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 134
3.2.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 142
3.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개발 계획 ·········································································· 143
3.2.8.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 ············································································ 150
3.2.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 153

3.3 배출량 산정계획 관련 문서 작성방법 ··································································· 156


3.3.1.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신청서’ ······················································ 156
3.3.2.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결과 통지서’ ··············································· 157
3.3.3.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 ······················································ 158
3.3.4.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결과 통지서’ ··············································· 160
3.3.5.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일시적 적용불가 통지서’ ··········································· 161

04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1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개요 ·················································· 165


4.2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 166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PART

총 칙 01
1.1 일반 사항

1.2 운영 체계

1.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01 총 칙

1.1 일반 사항

1.1.1. 정의
본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1)」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3)」의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및 추가검토 요청, 일시적 적용 불가 통지 시 할당대상업체에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한 활용서임

1.1.2. 목적
법 제24조4) 및 시행령 제39조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환경부장관에 보고하는 명세서에 포함된 활동자료
수집 및 매개변수 결정을 위한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작성에 필요한 정보 제공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및 제출 절차를 구체화하여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지원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시 숙지해야 하는 핵심사항 및 유의사항, 작성관련 지침 설명 등을


구체화하여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 지원

1.1.3. 적용 법률 및 지침

l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 할당대상업체는 환경부장관에 매 이행연도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 명세서 보고

1) 이하 ‘법’이라 함
2) 이하 ‘시행령’이라 함
3) 이하 ‘지침’이라 함
4) 법 제24조(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

- 2 -
제 1장 총칙

▪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법 제24조제1항 관련)


① 할당대상업체는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이행연도에 자신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명세서를 작성하여
주무관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② (생략)
③ (생략)

l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명세서에는 배출량 산정계획이 포함되어야 하며, 명세서 검증 시 배출량 산정계획을 따르지
않는 사항에 대한 통보 및 시정조치 시행

▪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시행령 제39조제1항 관련)


① 할당대상업체는 법 제24조제1항에 따라 다음 각 호의 내용의 포함된 명세서를 측정 보고 검증이 가능한 방식으로 작성하고,
검증기관의 검증보고서를 첨부하여 전자적 방식으로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1~8. (생략)

▪검증기관의 지정 등(시행령 제40조제5호 관련)


①~④ (생략)
⑤ 검증기관은 할당 대상 업체의 명세서를 검증할 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할당 대상 업체에
통보하고, 할당 대상 업체는 통보받은 사항에 대하여 명세서를 수정•보완한다.
1. 명세서의 내용이 제39조제1항에 따라 작성되지 않은 경우
2~3 (생략)
(이하 생략)

l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조정 및 취소에 관한 지침


- (제출 대상) 해당 계획기간에 대해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 계획기간 중 배출량 산정계획
보고 등에 대한 이행 필수

▪할당대상업체 및 할당대상사업장의 지정(법 제8조 관련)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이하 "주무관청"이라 한다)은 매 계획기간 시작 5개월 전까지 제5조제1항제3호에
따라 할당계획에서 정하는 배출권의 할당 대상이 되는 부문 및 업종에 속하는 온실가스 배출업체 중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체를 배출권 할당 대상업체(이하 "할당대상업체"라 한다)로 지정ㆍ고시한다. <개정 2020. 3. 24.>
1.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₂-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₂-eq) 이상인 사업장을 하나 이상 보유한 업체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체
가. 직전 계획기간 당시 할당대상업체
나. 기본법 제42조제6항에 따른 관리업체(이하 "관리업체"라 한다)
2. 제1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관리업체 중에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기 위하여 신청한 업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업체
② 주무관청은 제1항에 따라 할당대상업체로 지정ㆍ고시한 업체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해당 업체에

- 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대한 할당대상업체의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개정 2020. 3. 24.>


1. 할당대상업체가 폐업ㆍ해산 등의 사유로 더 이상 존립하지 아니하는 경우
2. 할당대상업체가 분할하거나 사업장 또는 일부 시설을 양도하는 등의 사유로 사업장을 보유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3. 그 밖 에 할당대상업체가 더 이상 이 법의 적용을 받을 수 없게 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③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업체의 지정이 취소되거나 다음 계획기간의 할당대상업체로 다시 지정되지 아니하는 경우 해당 업체
또는 해당 업체의 사업장은 관리업체로 지정된 것으로 본다. 이 경우 해당 업체 또는 업체의 사업장이 제24조제1항에 따라
주무관청에 보고한 명세서는 기본법 제44조제1항에 따라 정부에 보고된 명세서로 본다. <신설 2020. 3. 24.>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할당대상업체의 지정ㆍ고시, 신청 및 지정취소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20. 3. 24.>
[제목개정 2020. 3. 24.]

알아두기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대상 예시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24조(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에 따라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 모든
사업장에 대해 계획기간 중 배출량 산정 계획 보고
- (관련법령)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24조(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 ① 할당대상업체는 매 이행연도
종료일부터 3개월 이내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이행연도에 자신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제 배출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기준으로 명세서를 작성하여 주무관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20. 3. 24.>
Case1. 제2차 계획기간 할당대상업체가 제3차 계획기간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
case 조 건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사업장

∙ 업체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모든 사업장의 제3차 계획기간


1-1
- 125,000 tCO2-eq 이상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업체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125,000 tCO2-eq 미만 ☞ 모든 사업장의 제3차 계획기간
1-2
∙ 사업장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25,000 tCO2-eq 이상

- 4 -
제 1장 총칙

Case2.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가 배출권거래제의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


case 조 건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사업장

∙ 업체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모든 사업장의 제3차 계획기간


2-1
- 125,000 tCO2-eq 이상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업체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125,000 tCO2-eq 미만
∙ 사업장 기준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25,000 tCO2-eq 이상 ☞ 모든 사업장의 제3차 계획기간
2-2
∙ 과거 목표관리제 지정 기준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업체 지정
∙ 할당대상 사업장
- 단일 사업장

Case3. 자발적으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기 위하여 신청한 업체(자발적 참여업체)의 경우


case 조 건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사업장

∙ 업체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125,000 tCO2-eq 미만
∙ 사업장 기준 기준기간 연평균 배출량
☞ 모든 사업장의 제3차 계획기간
3 - 25,000 tCO2-eq 미만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온실가스 배출량이 25,000 tCO2-eq
이상인 사업장 없음
∙ 자발적 참여 할당대상업체 신청

- 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의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 (배출량 산정계획의 작성 기준)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배출량 산정계획을 [별표 20]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방법 및 [별지 제10호 서식]
활동데이터 수집 및 매개변수 결정을 위한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따라 작성

▪배출량 산정계획의 작성 등(지침 제24조 관련)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배출량 산정계획을
별표 20, 별지 제10호 서식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 업체 일반정보(법인명, 대표자, 계획기간, 담당자 정보 등)


2. 사업장의 일반정보 및 조직경계(사업장명, 사업장 대표자, 업종, BM 적용시설 포함 여부, 사업장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
온실가스 및 에너지 흐름도 등)
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 방법(배출시설 정보, 산정등급 분류기준, 예상 신·증설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 및 활동자료 측정지점 등)
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배출시설 및 배출활동별 측정기기 정보, 측정기기 개선 및 설치 계획 등)
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 등)
6. 에너지 외부유입 및 구매계획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등 개발계획(개발 예정인 계수의 종류, 시험·분석 관련 정보, 계수 산정식, 예상 불확도 등)
8. 사업장별 품질관리(QC)/품질보증(QA) 활동계획(배출량 산정·보고 등의 품질관리 문서 및 담당자 정보)
9. 기타 배출량 산정계획의 작성과 관련된 특이사항

- (배출량 산정계획의 작성 원칙)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작성은 지침 [별표 20]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원칙 적용

▪[별표 20]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방법 (제24조 관련)


1.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원칙
1) 준수성 : 배출량 산정계획은 배출량 산정 및 배출량 산정계획작성에 대한 기준을 준수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2) 완전성 :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 내 모든 배출시설의 배출활동에 대해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립・작성하여야 한다. 모든
배출원이란, 신・증설, 중단 및 폐쇄, 긴급 상황 등 특수상황에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3) 일관성 : 배출량 산정계획에 보고된 동일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관한 데이터는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배출시설의 구분은
가능한 한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4) 투명성 : 배출량 산정계획은 동 지침에서 제시된 배출량 산정 원칙을 준수하고, 배출량 산정에 적용되는 데이터 및 정보관리 과정을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5) 정확성 : 할당대상업체는 배출량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6) 일치성 및 관련성 : 배출량 산정계획은 할당대상업체의 현장과 일치되고, 각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 그리고 배출량
산정방법과 관련되어야 한다.
7) 지속적 개선 : 할당대상업체는 지속적으로 배출량 산정계획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 6 -
제 1장 총칙

- (배출량 산정계획의 사전검토) 할당대상업체는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해


사전검토를 매 계획기간 4개월 전까지 환경부장관에게 요청

▪배출량 산정계획의 사전검토 기준(지침 제25조 관련)


① 할당대상업체는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 계획에 대해 사전검토를 매 계획기간 4개월 전까지(할당대상업체가
신규진입자인 경우에는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연도의 종료 4개월 전까지) 환경부장관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요청하여야
한다. 다만,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조정 및 취소에 관한 지침」 제6조에 따라 권리와 의무의 승계로 인해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은 경우에는 권리와 의무의 승계 통보가 일어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요청할 수 있다.
② 환경부장관은 할당대상업체가 제1항에 따라 사전검토 요청한 배출량 산정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
③ 환경부장관은 제2항의 검토결과를 전자적 방식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④ 환경부장관은 할당대상업체의 요청에 따라 사전검토를 마친 배출량 산정계획을 전자적 방식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이력관리를 하여 명세서 제출 시 할당대상업체의 편의를 도모하여야 한다.
⑤ 제1항에 따른 사전검토에 필요한 경우 환경부장관은 법 제37조제5호에 따라 할당대상업체에 추가자료 제출을 요청하거나
현장조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 할당대상업체는 계획기간 중 배출량 산정계획에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 검토 요청하고, 환경부장관이 통지한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매 이행연도
종료일 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전자적 방식으로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지침 제26조 관련)


① 제25조의 사전검토를 완료한 할당대상 업체는 계획기간 중에 다음 각 호의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또는 제31조에 따른
명세서 확인 과정에서 배출량 산정 계획의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 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를 요청하여야 한다. 할당대상업체는 환경부장관이 통지한 배출량 산정 계획
추가검토 결과를 매 이행연도 종료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정하고 환경부장관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매 이행연도별 중대한 변경사항 외의 변경사항은 10월 31일까지 배출량 산정 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통지하여야 하며,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 배출량 산정 계획을 사용할 수 있다.
1. 업종의 변경
2. 조직경계의 변경
3.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4.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 (배출계수, 매개변수, 시료 채취·샘플링·분석 절차 포함)
5. 활동자료 수집, 측정 방법의 변경 사항(측정기기 포함)
6. 영 제39조제3항5)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및 환경부장관이 검토한 의견에 따른 변경
7. 기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 사항
8. 삭제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할당대상업체는 배출시설의 신·증설 등의 변경 사항이 할당량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실제 온실가스
배출이 발생하기 이전에 배출량 산정계획을 작성·변경하여 추가검토를 요청해야 한다.
③ 할당대상업체는 제1항의 요청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추가검토 결과를 통지받는 시점까지 기존 배출량 산정계획과 변경
배출량 산정계획을 병행하여 이행하여야 한다.
④ 삭제
⑤ 환경부장관은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에 대한 추가검토 처리 절차에 관하여 제25조를 준용한다.
⑥ 할당대상업체는 권리와 의무 등의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유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이내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친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5)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9조제3항 : 주무관청은 제2항에 따라 제출받은 자료에 흠이 있거나 빠진 부분이 있으면
해당 할당대상업체에 그 시정이나 보완을 명할 수 있다. (제2항의 제출받은 자료란 할당대상업체가 제출한 명세서 및 검증기관의 검증보고서를

- 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할당대상업체는 기술적인 이유 또는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사전검토된 배출량 산정계획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즉시 환경부장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통지하며 당해연도 명세서 제출 시 소명자료 첨부

l 단,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및 소명자료가 충분하게 제시되지 못할 경우 배출량 산정에 대한 보수성의


원칙이 적용됨에 따라 일시적 적용 불가를 통지한 할당대상업체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지침 제27조 관련)


① 할당대상업체는 기술적인 이유 또는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인하여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전검토된 배출량 산정계획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즉시 환경부장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통지가 있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소명자료를 당해연도 명세서 제출 시 첨부하여야 한다.
1.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2. 기존 계획을 대체하는 임시 모니터링 방법
3. 원상복귀 된 시점 (일자) 및 관련 조치 사항

알아두기
▪목표관리제 이행계획서 vs. 배출권거래제 배출량 산정계획서 비교

구분 목표관리제 이행계획서 배출권거래제 배출량 산정계획서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적용법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 제30조
시행령 제21조
제출대상 관리업체 할당대상업체(자발적 참여업체 포함)
(사전검토) 매 이행연도 8월 31일
제출시기 이행연도 직전연도 12월 31일
(변경검토) 매 이형연도 10월31일
법인일반정보 및
업체 일반정보 법인일반정보 및 계획기간 제시
이행계획 제출 대상연도 제시
- 각 제도에서 요구하는 사업장별 일반정보 및 조직경계 설명 제시
사업장 일반정보 - 조직경계를 확인・증빙할 수 있는 사업장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 흐름도 포함)
관련 증빙자료 제시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배출시설별 - 배출시설별 공정도, 세부장치별 연료 및 원료 등의 - 배출시설 정보 및 배출시설별 배출량 정보,
모니터링(측정) 활동자료 흐름, 해당 활동자료의 측정위치, 모니터링 신설・증설・폐쇄 정보, 할당대상여부, 특이사항 및
방법 유형 등 제시 배출활동명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정보
등을 추가 제시

활동자료의 - 활동자료별 측정기기 현황, 측정기기 검사, 불확도,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모니터링(측정) 측정값의 표준상태 보정 여부 - 측정기기의 측정범위, 사업장 자체 관리번호,

말한다.)

- 8 -
제 1장 총칙

구분 목표관리제 이행계획서 배출권거래제 배출량 산정계획서


측정값의 표준상태 보정 여부 제시, 검사방법에
따른 적용 불확도, 근거자료 첨부 추가 제시
방법 - 정도검사 미 실시 측정기기의 실시계획 등 제시
-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 전과 후의 계획, 측정기기의
신설계획에 따른 근거자료 증빙 추가 제시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 배출시설별 배출활동 분류에 따른 활동자료 정보,
배출시설별 - 배출활동별 적용 예정인 산정등급, 예상배출량,
시설규모, 배출량 및 배출비율, 산정방법론, 선정에
배출시설 총 배출량 중 차지비중(%), 최상위 Tier
배출활동의 대한 타당성 설명 및 관련 근거자료 첨부 추가 제시
적용여부 제시
산정등급 -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기존 산정등급
- 배출활동의 매개변수 별 적용예정 Tier, 최소
적용계획 적용 여부 제시
산정등급 및 미 충족 사유 등 제시
- 배출시설 정보, 자체개발 산정등급(Tier 3) 적용 시
사유 및 관련 근거자료 첨부 추가 제시

- 구매한 에너지의 종류, 공급업체명, 공급 사업장명,


에너지 외부 유입
- 서식 없음 업체분류(할당대상업체, 관리업체, 비관리업체 중
및 구매 계획
택일), 공급사업장 소재지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대상 분석 항목에 대한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사업장 고유
채취지점, 시료채취 규격, 시험・분석 규격,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대상분석 항목에 대한
배출계수
시험・분석장비, 시험분석 주기 및 횟수, 계수 산정식, 배출계수 개발관련 출처 및 증빙, 관련
(Tier 3)등
시험・분석기관 등에 관한 설명 및 관련 증빙자료 사항에 대한 특이사항 및 관련 근거자료 첨부 추가
개발 계획
제시 제시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사업장별
- 해당 조직의 경영시스템 인증 현황 및 배출량 - 주요 품질 관리 절차, 내부 절차서명, 해당문서 첨부
품질관리/
산정・보고 등 담당자 현황, 품질관리(QC) 추가 제시
품질보증 활동 /품질보증(QA) 업무 실시 계획 제시 -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점유율(%) 추가 제시
계획
- 조직의 경영시스템 인증 현황 제외

서식 작성 관련 - 이행계획 작성 서식과 관련하여 해당 항목에 대한 이행계획서 보고 항목 외


기타사항 세부 내용 기재 - 추가설명이 필요한 경우 설명자료 첨부 추가 제시

- 사업장별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이행연도 - 배출시설의 신설・증설・폐쇄 정보 및 기존시설의


감축목표, 사업장별 연차별 목표 및 기타 목표, 3개년 평균 배출량, 최근연도 배출량, 신・증설시설의
일부시설의 연차별 기타 목표, 배출시설별 계획기간 예상 배출량 정보를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의 이행계획 제시 모니터링(측정)방법’ 서식에 포함
관련 정보
- 기존 배출시설의 가동률 등의 운영계획, -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에 따른 배출량 정보를
배출시설의 신설・증설・폐쇄 계획 제시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의 이행계획 제시 서식에 포함

- 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1.2 운영 체계

1.2.1. 역할 및 책임

l 할당대상업체
- 매 계획기간 시작 4개월 전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사전검토 요청(지침 제25조 제1항)
- 환경부장관에게 사전검토를 거친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제출(지침 제25 제1항)
- 계획기간 중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
계획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 요청, 매 이행연도 종료일까지 검토결과를 반영한 배출량산
정계획서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해야하며,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 배출량 산정 계획을
사용할 수 있다.(지침 제26 제1항)
※ 중대한 변경 사항 : 업종의 변경, 조직경계의 변경,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배출계수, 매개변수,
시료채취ㆍ샘플링ㆍ분석 절차 포함), 활동자료 수집(측정기기 포함), 측정 방법의 변경사항, 시행령 제39조제3항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기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 사항

- 매 이행연도별 중대한 변경사항 외의 변경사항은 10월 31일까지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통지(지침 제26 제1항)
- 배출시설의 신・증설 등의 변경 사항이 할당량과 관련되는 경우 실제 온실가스 배출이 발생되기
이전에 작성・변경하여 환경부장관에 추가 검토 요청(지침 제26조 제2항)
- 할당대상업체는 제26조제1항의 요청에 따라 환경부장관의 추가검토 결과를 통지받는
시점까지 기존 배출량 산정계획과 변경 배출량 산정계획을 병행하여 이행(지침 제26조
제3항)
- 기술적인 이유 또는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인하여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전 검토된 배출량
산정계획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즉시 환경부장관에 통지 및 당해 연도 명세서 제출 시 소명
자료 첨부(지침 제27조)
-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 조직경계에서 제외되는 시설의 배출량 모니터링이 필요할 경우 이
시설에 대해서 배출량 산정계획 포함(지침 제10조 제3항)
- 산정등급 2(Tier 2)에 따라 배출량 등을 산정하는 경우,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확인・검증하여 공표한 국가 고유 배출계수 활용. 다만, 연료별 국가 고유 발열량 및 배출계수
값은 별표 12를 우선적으로 활용한다.(지침 제15조 제2항)

l 환경부장관(주무관청)
- 할당대상업체의 사전검토 요청에 따른 배출량 산정계획의 타당성 검토 및 검토결과 통보(지침 제25조
제2항, 제3항)
- 할당대상업체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대한 확인 및 시정이나 보완

- 10 -
제 1장 총칙

- 사전검토를 마친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한 관리(지침 제25조 제4항)


- 사전검토 시 필요한 경우 할당대상업체에 추가 자료 제출을 요청하거나 현장조사 등 실시(지침
제25조 제5항)
-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에 대한 추가 검토(지침 제26조)

l 한국환경공단
- 할당대상업체가 산정・보고한 배출량 인증을 위한 적합성 평가 기관(지침 제34조 제1항)

l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국가 고유 배출계수 등의 확인, 검증, 공표(지침 제15조 제2항)

1.2.2. 배출량 산정계획의 활용

l 할당대상업체
- 온실가스 배출량을 결정하는 보고대상 배출시설 및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론, 활동자료 등
매개변수에 대한 측정 및 수집 방법 결정
- 배출량 산정계획의 사전검토 및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타당성을 추가검토
받음으로써 정확한 배출량 예측
- 배출량 산정의 주요 기준이 되는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해 환경부장관으로부터 사전검토를
받음으로써 정확한 배출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의 감축 활동 및 투자 기초
정보로 활용

l 검증기관
-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시 주무관청이 검토한 배출량 산정계획과 온실가스 산정기준과의 부합성,
활동자료 등 매개변수 선택 및 수집에 대한 타당성 평가 등을 위한 기준

l 주무관청
- 배출량 인증을 위한 적합성 평가 시 타당한 배출량 산정계획에 따른 배출량 측정 및 보고 여부
판단 기준

- 1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1.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1.3.1. 배출량 산정계획서 구성

l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다음의 9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의 배출량 산정과의
상관관계는 다음 표와 같음

구분 배출량 산정계획서 구성항목 배출량 산정 시 관련 항목


1. 할당대상업체 총괄정보

업체 및 사업장 조직경계
일반정보 작성 2. 사업장 일반정보 - 사업장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
흐름도 포함)

활동자료
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방법 - 보고대상 배출시설의 완전성
- 측정기기 관리계획의 적절성

활동자료
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방법
- 활동자료 모니터링 측정방법의 적절성

매개변수
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배출량 산정을 위한 - 산정등급 적용 계획의 정확성
적용계획
활동자료 및 매개변수 - 산정등급 적용을 위한 매개변수 적용의 적절성
모니터링 정보 작성 매개변수(간접 고유배출계수) 및 활동자료
- 간접배출과 관련된 에너지 유입 정보
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 공급 업체 및 사업장 정보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에 관련된 온실가스 이동 정보

매개변수(직접/간접 고유배출계수)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등 개발 - 고유배출계수 개발 방법의 타당성
계획 - 시험 분석 방법의 적절성
- 개발된 고유배출계수 산정식의 정확성

-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모니터링의 일관성


8.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계획
데이터 관리 및 기타 - 모니터링 관련 데이터 관리의 적절성
사항 작성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 배출량 산정계획 :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자료와 기타 온실가스・에너지 관련 자료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감시・측정 및
평가에 관한 세부적인 방법, 절차, 일정 등을 규정한 계획
- 산정등급(Tier) : 활동자료, 배출계수, 산화율, 전환율 및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수준
- 활동자료(Activity data) : 사용된 에너지 및 원료의 양, 생산・제공된 제품 및 서비스의 양, 폐기물 처리량 등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정량적인 측정결과
- 매개변수 :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배출계수, 발열량, 산화율,
탄소함량 등

- 12 -
제 1장 총칙

알아두기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모든 구성항목은 배출량 결정과 관련된 항목들로서 추후 배출량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관련 자료를
빠짐없이 작성하여야 함

① 할당대상업체 총괄 정보 : 최근 연도에 제출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명세서6)’에 기입된


업체 및 사업장 정보
- 업체(법인)에 대한 일반정보, 담당자 정보, 사업장 목록, 소량배출사업장 여부 및
할당대상여부를 확인

② 사업장 일반정보 : 사업장 일반정보(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는 부서 등) 및


사업장의 조직경계 정보 입력
- 할당대상업체는 배출원에 누락이 없도록 지침 제10조 및 [별표 4] 조직경계 결정 방법에 따라
조직경계를 결정
- 사업장 일반정보 입력 시 조직경계 및 배출시설을 쉽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장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 흐름도 포함) 등을 구분하여 작성

③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 방법 : 배출시설별 정보, 배출량 정보, 신・증설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 및 활동자료 측정지점 등의 정보 입력
- 「3-1. 배출시설 정보 등」 기존시설 및 신・증설 시설 등의 배출량 정보를 확인하여 시설규모를 결정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기존시설 및 신설 배출시설에 대한 활동자료 파악

④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 활동자료 모니터링 방법(Tier 1~Tier 4 모두 포함), 측정기기


개선계획 등 정보 입력
-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별 측정기기의 현황 및 시설정보 확인
-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4-3. 측정기기의 신설계획」 측정기기의 개선・관리 계획의
상세 정보를 기입

⑤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 배출시설별 배출활동 산정등급(매개변수 등) 등 입력


-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배출활동별 시설규모, 최소 산정등급 및 적용예정
산정등급 입력
-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매개변수별 기존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 적용예정
산정등급 및 최소 산정등급 적용 여부 확인 등 입력
- 「5-3.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 등」 적용예정 산정등급이 최소 산정 등급 미 충족 시 사유 작성

⑥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 외부 유입 예정인 에너지 및 온실가스의 종류, 공급업체 및 공급


사업장 이름, 업체 분류, 공급사업장 소재지 등 파악

6) 이하 ‘명세서’라 함

- 1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⑦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등 개발 계획 : 개발 예정인 배출계수의 종류, 시험・분석 관련 정보,


계수 산정식 등 산정에 대한 정확성 및 특이사항 파악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개발 계획이 있을 경우 작성하고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
⑧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 :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의 품질관리 문서
관리방법 및 배출량 산정・보고 등 담당자 현황 정보 입력

⑨ 기타 모니터링 작성 관련 기타사항 : 기타 사항과 관련된 배출량 산정계획 목차, 기타 사항을


작성하고 추가설명이 필요할 경우 관련 서류 첨부

1.3.2.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절차

<베츨량 산정계획서 작성절차>

- 14 -
제 1장 총칙

l 업체 및 사업장 일반정보 입력
- 업체 일반정보는 「1-1. 업체(법인)에 대한 일반정보 → 1-2. 사업장 목록」의 순서로 필수 입력
- 사업장 일반 정보는 「2-1.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 → 2-2. 사업장 조직경계」의 순서로 필수 입력

l 배출량 산정 관련 활동자료 및 매개변수 배출량 산정계획 입력


- 「3-1. 배출시설 정보 등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의 순서로 필수 입력
-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개요」 항목을 필수적으로 작성한 후 측정기기의
개선・신설 계획이 있을 경우 「4-2., 4-3.」 서식 작성
Ÿ (선택)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이 존재하는 경우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 계획」 작성
Ÿ (선택) 측정기기의 신설계획이 존재하는 경우 「4-3. 측정기기의 신설 계획」 작성
-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정보 → 5-2. 배출시설별 매개변수 산정 등급」의 순서로
필수 입력
Ÿ (선택)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5-3. 최소산정등급 미 충족사유」 작성
- 「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이 존재하는 경우 작성
- 「7. 사업장 고유(Tier 3) 배출계수 등 개발계획」이 존재하는 경우 작성하고 관련 증빙자료를 첨부
Ÿ (선택) 「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이 있는 경우 작성
Ÿ (선택) 「7-2.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외부판매)」이 있는 경우 작성
Ÿ (선택) 「7-3. 사업장 고유(Tier 3) 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외부판매)」이 있는 경우 작성

l 데이터 관리 및 기타 사항 입력
-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계획은 「8-1.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의 품질관리 문서
→ 8-2.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담당자 현황」순으로 작성
-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관련 기타사항」에 기타 사항과 관련된 배출량 산정계획 목차와
세부설명 및 첨부자료를 작성

- 1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절차

< 제3차 계획기간(2021∼2025년)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및 검토 절차 >

할당 대상 업체 주무관청
일정
배출량 산정계획 제출 절차 배출량 산정계획 검토 절차

①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요청


T-1년도 ▶ ② 배출량 산정계획 타당성 검토
(검증보고서 첨부)

③ 배출량 산정계획의 타당성


④ 배출량 산정계획 이행 ◀
검토 결과 통지


⑤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에 따른 추가 ⑥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에 대한
T년도 ▶
검토 요청 (검증보고서 첨부) 타당성 검토


⑦ 배출량 산정 계획 추가 검토 결과
⑧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 검토 결과 확인 ◀
통지

⑨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 완료

T+1년도 ▼

⑩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 신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은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해 사전검토를 할당


대상업체로 지정된 연도의 종료 4개월 전까지 환경부장관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요청
Ÿ 다만, 할당지침 제6조에 따라 권리와 의무의 승계로 인해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은 경우
에는 권리와 의무의 승계 통보가 일어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요청 가능
- 계획기간 내에 지침 제26조제1항에 따른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 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를
요청
- 배출량 산정계획은 지침 제24조 및 [별표 20]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방법에 따라 작성하고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관련 근거자료는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이하 ‘NGMS’라 함)을
통해서 전자적 방식으로 제출

- 16 -
제 1장 총칙

- 1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NGMS)을 활용하여 전자적 방식으로 제출
- NGMS 주소: http://master.gir.go.kr/
- 개인 인증서 로그인 :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을 제외한 모든 기능 이용 가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은 할당대상업체 내 총괄담당자
및 사업장담당자를 위한 다수의 아이디를 발급받아 동시에 진행 가능
- 법인 인증서 로그인 :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을 포함한 모든 기능 이용 가능
※ 아이디와 패스워드 로그인은 NGMS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없으며,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수정 등을 위해서는 법인 인증서로
로그인하여야 함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시기
- 배출량 산정계획의 사전검토
Ÿ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에 필요한 자료와 세부적인 방법, 절차, 일정 등을
규정한 배출량 산정계획을 매 계획기간 시작 직전년도 4개월 전까지 환경부장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사전검토 요청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요청 : 할당대상업체 지정연도 08월 31일까지)
알아두기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시기
○ 기존 할당 대상 업체(할당 대상 업체 내 사업장 중 명세서를 1회 이상 제출한 사업장)의 경우
- 2019년 명세서에 대한 배출량 산정계획서 검증보고서를 제출한 경우 2019년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검증기관의 검증보고서로 갈음
○ 2021년도 신규진입 할당업체
- 2021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 2022년도 신규진입 할당업체
- 2022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 2023년도 신규진입 할당업체
- 2023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 2024년도 신규진입 할당업체
- 2024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 2025년도 신규진입 할당업체
- 2025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
Ÿ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 검토를 요청
Ÿ 환경부장관이 통지한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결과를 매 이행연도 종료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정하고 전자적 방식으로 제출(지침 26조
제1항)

- 18 -
제 1장 총칙

알아두기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
○ 지침 제26조(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계획기간 중 다음과 같은 중대한 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를 요청하여야 함. 매 이행연도
별 중대한 변경사항 외의 변경사항은 10월 31일까지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통지하여야 함

구분 변경 내용 예시
- 사업변경 및 업체 인수 합병 등으로 인하여
할당대상업체 표준산업분류상의 업종이 변경된
경우 등
1. 업종의 변경
※ 할당대상업체 소속 부문・업종은 제도 일관성, 법적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2단계 할당계획에 따른 지정 후 제3차
계획기간 적용 중에는 변경할 수 없음
- 인수 합병 등으로 인해 법인 내 사업장 현황이 변동된
경우
- 사업장 내 협력업체 등의 타법인 업체 사용시설이
2. 조직경계의 변경
발생한 경우
- 에너지 수급과 관련된 사항으로 조직경계의 변동이
발생된 경우 등
- 할당 신청 시 보고한 신·증설 시설 외에 별도의
신·증설 시설이 발생한 경우
- 폐쇄시설이 발생한 경우
3.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 배출시설 내 추가 배출활동이 발생되거나 배출활동이
중대한 변경된 경우
사항 - 신・증설 시설의 발생시점의 변경이 발생된 경우 등

- 배출량 산정방법(산정등급, 매개변수 등)의 변동이


발생된 경우
- 사업장 고유배출계수 등 매개변수에 대한 시료채취,
4.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 (배출계수, 매개변수, 분석 방식 등이 변경된 경우
시료채취ㆍ샘플링ㆍ분석 절차 포함) - 에너지 수급과 관련하여 배출시설 내 활동자료
5. 활동자료 수집, 측정 방법의 변경 사항(측정기기 수집방법의 변경이 발생된 경우
포함) - 활동자료 수집방법의 변경
- 측정기기 현황(측정기기 신설, 교체 등)이 변경된 경우
- 측정기기 관리 현황(측정기기 교체, 정도검사 실시
등)의 변경된 경우 등

6. 영 제31조제3항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 주무관청으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아 변경된 경우


및 환경부장관이 검토한 의견에 따른 변경 - 활동자료 수집 및 배출량 산정 관련 담당자 정보
7. 기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 사항 변경된 경우 등

- 1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과태료 부과기준
○ 명세서(배출량 산정계획서 포함)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 할당대상업체가 명세서(배출량 산정계획서 포함)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법 제43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라 아래의 과태료가
부과됨
- 또한, 실태조사를 거쳐 해당 할당대상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직권으로 산정할 수 있음
※ 법 제37조제5호(실태조사) : 주무관청은 다음 각 호의 신청이나 처분 등에 관하여 그 사실 여부 및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
하면 할당대상업체에 보고 또는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현장조사 등의 방법으로 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별표 23] 과태료의 부과기준(법 제43조, 시행령 제39조 관련)


위반 행위 근거 조문 과태료 금액

1. 할당대상업체가 법 제24조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거 법 제43조제2호


짓으로 보고한 경우
가.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의 기간 경과 가. 300만원
나.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의 기간 경과 나. 500만원
다. 6개월 초과의 기간 경과 다. 700만원
라. 거짓으로 보고한 경우 라. 1,000만원

2. 할당대상업체가 법 제24조제2항에 따른 시정이나 보완 명령을 이행 법 제43조제3호


하지 아니한 경우
가. 2차 위반 가. 300만원
나. 3차 위반 나. 600만원
다. 4차 이상 위반 다. 1,000만원

※ 비고: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과태료의 부과기준은 최근 1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부과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 20 -
제 1장 총칙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불가


Ÿ 할당대상업체는 기술적인 이유 또는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인하여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전
검토된 배출량 산정계획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즉시 환경부장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통지
Ÿ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 측정기기의 고장/점검/교체
▷ 활동자료 수집 시스템 고장/점검/교체
▷ 샘플링 최소주기 불이행 등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불가 시 행정절차

절 차 내 용

(할당대상업체)
① 적용 불가 사유 발생
배출량 산정계획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발생

(할당대상업체)
② 대체 계획 수립
임시 배출량 산정계획 방법 및 조치 일정 등 대체 계획 즉시 수립

(할당대상업체→주무관청)
③ 일시적 적용 불가 발생 통보서 제출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발생 즉시 ‘일시적 적용 불가 통지서’ 작성 및 제출

(할당대상업체→주무관청)
④ 소명자료 제출
당해연도 명세서 제출 시 일시적 적용 불가에 대한 소명자료 첨부

(주무관청)
⑤ 적합성 평가
일시적 적용불가 및 소명자료 검토를 통한 평가

Ÿ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는 소명자료를 당해연도 명세서 제출 시 첨부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 기존 계획을 대체하는 임시 배출량 산정계획 방법
▷ 원상복귀 된 시점(일자) 및 관련 조치 사항

- 2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1.3.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및 제출 시 유의사항

l 「1-1. 업체(법인)에 대한 일반정보」 작성에서 배출량 산정계획은 계획기간 내에 예상되는 모니터링


방법 등을 제출하므로 이행연도가 아닌 3차 계획기간으로 작성

▷ 법 부칙 제 2조에 따라 제 3차 계획기간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함

l 「2. 사업장 일반정보」 작성에서 사업장 조직경계를 확인・증빙할 수 있도록 사업장의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온실가스 흐름도 및 에너지 흐름도 포함)의 3가지로 분류하여 모두 제시
- 공정도는 온실가스 흐름 및 에너지 흐름이 표시된 보고대상 사업장의 전체 공정이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하여야 하며, 공정배출에 해당하는 경우 추가적인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
흐름도 포함)를 제시하고 설명을 기입하여야 함
- 사업장 내 다수의 공정이 있을 경우, 해당 사업장 내 모든 공정의 공정도를 제시하고 설명을
기입하여야 함
- (비고) 소량배출사업장들의 배출활동 구성이 동일한 경우(소형건물 형태 대리점, 통신기지국,
주유소 등) 공정도에 한해서 대표사업장 1개에 대해 기입 가능하며 사진 및 시설배치도는 모두
기입

l 사업장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에서 첨부된 사업장 사진에 조직경계 외 부분이 포함될 경우


별도표시 및 설명추가 (조직경계 내의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보충설명 작성)

l 배출시설의 배출량 산정계획 도식도 작성에서 온실가스 흐름의 파악을 위해 해당 배출시설에


대한 공정도를 활용하여 배출시설(공정)의 경계(boundary), 원료 및 연료, 제품의 흐름,
온실가스의 흐름, 세부시설의 명칭, 활동자료에 대한 측정지점(모니터링 포인트)의 위치와 기호
등을 표시한 모니터링 도식도를 기입

l 소규모배출시설에 대하여는 서식 「4-1, 4-2, 4-3」 작성 생략 가능

l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Tier 3)등 개발 계획」작성에서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시료채취 규격, 시험・분석 규격, 시험・분석기관 등에 관한 관련 증빙자료를 모두 첨부하여야 함

l 증빙자료 파일 첨부 시 파일명 입력 방법 (증빙자료에는 증빙과 관련된 항목 번호를 표시하고,


증빙의 내용이 식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증빙자료 파일명 : 할당대상업체명_사업장명_배출시설명_배출시설일련번호_서식번호_증빙
항목번호_증빙자료명

- 22 -
제 1장 총칙

파일명 목록 시스템 자동구성 업체 기입항목


할당대상업체명 O X
사업장명 O X
배출시설명 O X
배출시설일련번호 O X
서식번호 X O
증빙항목번호 X O
증빙자료명 X O

- 파일명 예시 : ㈜○○업체_○○사업장_소각보일러_001_4-1_(6),(7),(8)_측정기기 사양서


- 조직경계 관련 항목의 첨부 파일 형식은 jpg, jpeg, gif, bmp, png 파일만 가능. 조직경계 이외
항목의 첨부파일은 모든 파일 형식 가능

l 모니터링 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증빙자료가 필요함

서식항목 파일 첨부가 필요한 항목(증빙자료 포함)


사업장 사진
시설배치도
전체 공정도
공정배출 공정도
조직경계 내 상주하는 외부업체(협력업체) 정보
- 운영통제 범위 포함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증빙자료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예 : 에너지수급 계약서, 세금계산서 등 에너지 수급관계를 증빙할 수 있는 자료)
- 외부업체 활동자료 측정기기 설치 증빙 자료
(예 : 측정기기 매뉴얼, 측정기기 사양서, 측정기기 설치 사진 등)
- 시설배치도 상의 배출시설 특이사항 증빙자료
(예 :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되는 폐수처리시설의 처리공법이 확인 가능한 시설등록증 및
공정도 등)

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 방법 모니터링 도식도

- 측정기기의 명칭, 고유번호, 측정범위 증빙자료


(예 : 측정기기 명판(nameplate), 측정기기 사양서, 측정기기 매뉴얼, 측정기기 제조
업체에서 발행한 공식 자료, 측정기기 구매 계약서 등)
- 형식승인 유무, 정도검사 유무, 최근 정도검사 실시일, 정도검사 주기, 최근 일반시험
실시일, 적용 불확도, 측정값의 보정여부 관련 증빙자료
(예 : 내/외부 검・교정 성적서, 측정기기 매뉴얼, 측정기기 제조업체에서 발행한 공식 자료 등)
※ 내부 검・교정 성적서의 경우 다음의 내용 포함되어야 함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 표준 측정기기의 유효성
개요 - 검・교정방법 및 절차
- 교정 적용된 표준 분동 또는 측정기기 사양
- 측정불확도
- 내부 승인권자의 승인 서명 등
- 4-1 서식과 관련하여 계산이 필요한 경우, 계산에 사용된 공식 및 관련자료(엑셀로 계산된
경우 엑셀파일)
(예 : 측정값 보정 시 보정 방법 및 매개변수 확인 가능한 자료, 모니터링 C 유형 적용 시 분
배 및 보정 방법 등)

- 2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서식항목 파일 첨부가 필요한 항목(증빙자료 포함)


- 개선 및 신설될 측정기기의 개선일 및 비용, 정도검사 계획 증빙자료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예 : 교체나 신규 설치 입증이 가능한 내부품의서, 측정기기 설치 관련 공사계약서,
4-3. 측정기기의 신설 계획 측정기기 구매 계약서, 정도검사 실시계획서, 제3자 검・교정기관의 견적서 또는
계약서 등)
자체개발 산정식 사용 시
- 자체개발 산정식을 사용하는 사유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예 : 내부품의서, 자체개발 산정식을 적용하여 산정한 배출량 산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자료(가능할 경우), 지침 산정식을 적용할 수 없는 사유를 설명한 자료 및 관련 자료,
산정등급
지침 산정식과 비교 자료(지침 산정식이 존재하는 경우)
- 자체개발 산정식을 개발할 때 참고한 자료
(예 : 국제 기준, 출처 자료, 내부검토결과 기록, 계산에 활용될 엑셀시트 등)
산정등급 수준이 낮게 적용됨에 따라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자료
5-3. 최소 산정등급 미충족 사유 등 최소 산정등급 미충족 사유에 대한 경제적, 기술적 평가 자료
최소 산정등급보다 높은 Tier 3 적용 시 사유 관련 증빙자료
시료채취규격, 분석규격 등을 증빙할 수 있는 내부 절차서
시료채취지점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분석기관 입증이 가능한 인증서 및 자체체크리스트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등
분석장비 사양서
개발계획
분석장비의 검・교정을 입증할 수 있는 성적서 등 증빙자료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엑셀시트(기존에 배출계수를 개발해 명세서에 보고한 경우, 최근연도
엑셀 파일) 등
8. 사업장별 품질관리/
조직경계결정, 활동자료 수집 및 관리, 온실가스배출량 산정방법, 내부검증 등에 대한 절차서
품질보증 활동 계획

알아두기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NGMS)’에서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작성 화면(서식) 구현 시 ‘자동기입’ 되는 항목은 업체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입력된 사항으로 반드시 세부내용을 확인하여야 함

1.3.4. 배출량 산정계획서 헬프데스크 운영

l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NGMS) 전화상담실
- 상담번호 : 1577-8065(내선 1-1-1)
- 배출권거래제도 일반 사항 및 NGMS 사용 관련 문의

- 24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02
2.1 조직경계 결정

2.2 배출활동 결정

2.3 활동자료 수집방법론 결정

2.4 불확도 결정

2.5 최소 산정등급 결정

2.6 산정방법론 결정

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외부판매

2.8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자가소비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02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2.1 조직경계 결정

(목적) 할당대상업체의 배출원 누락 및 온실가스 감축시설 설치, 감축 이행 등을 파악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의 과대, 과소산정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

l 조직경계 결정 관련 지침 : 지침 제10조(조직경계 결정 방법) 및 [별표 2] 배출량 등의 산정 절차,


[별표 4] 조직경계 결정 방법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조직경계 관련 지침 및 별표와 상세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에


적절한 조직경계를 설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0조(조직경계 결정 방법)
①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원의 누락이 없도록 [별표 4]에 따라 조직경계를 결정하여야 한다.
② 조직경계 결정 시 [별표 4]에서 제시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당해 사업장 배출량의 과다산정 및 과소산정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조직경계의 타당성을 명확히 제시하여야 한다.
③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에서 제외되는 시설이 조직경계 내의 배출량과 연계되어 있고 조직경계 내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
하기 위해 조직경계에서 제외되는 시설의 배출량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면 이 시설에 대해서도 배출량 산정계획에 포함하여야 한다.

[별표 4] 조직경계 결정 방법 (제10조제1항 관련)


1. 조직경계 결정 원칙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조직의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 경계
등을 고려한 운영통제 범위를 설정하여야 한다.
운영통제 범위에 의한 조직경계를 결정하기 위해서 할당대상업체는 사업장의 지리적 경계, 지리적 경계 내 온실가스 배출시설 및
에너지 사용 시설, 온실가스 감축시설, 조직의 변경, 경계 내 상주하는 타 법인, 모니터링 관련 시설의 유무 등을 확인하고, 해당
시설 및 시설관리의 주체와 해당 활동에 의한 경제적 이익 등의 귀속 주체를 파악한다.

- 2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 조직경계 결정 방법
조직경계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업장의 특징에 따라 조직경계를 결정하고 조직경계 결정과 관련된 설명을 배출량 산
정계획에 구체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1) 다수 할당대상업체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 시 조직경계 결정방법
다수의 할당대상업체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하더라도 법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관리업체는 별도로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도록 경계를 설정하여야 한다.
2) 타 법인이 조직경계 내에 상주하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방법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할당대상업체가 가지고 있는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상주하고 있는 타 법인의 온실가스 배출시설 및 에너지
사용 시설을 조직경계에 포함하여야 한다. 반면에 할당대상업체가 상주하고 있는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으
며, 해당 상주업체의 온실가스 배출 시설 및 에너지 사용시설에 대한 정보 및 활동자료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는 할당대상업체
의 조직경계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조직경계 제외에 대한 타당한 사유를 배출량 산정계획에 포함하여야 한다.
3) 건물의 조직경계 결정방법
건물의 경우 [별표 21]에 따라 할당대상업체에 해당하는 법인 등의 조직경계를 결정한다.
4) 교통부문의 조직경계 결정방법
교통부문의 경우 [별표 22]에 따라 할당대상업체에 해당하는 법인 등의 조직경계를 결정한다.
5) 소량배출사업장의 조직경계 결정 방법
할당대상업체의 소량배출사업장이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유사한 배출활동을 하는 경우(주유소, 기지국, 영업점, 마을하수도 등)
에는 다수의 소량배출사업장을 하나의 사업장으로 통합하여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부장관으로부터 사용가능 여부를 통보
받은 후 보고하여야 한다. 단, 해당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누락 및 중복되지 않도록 해당 사업장의 보고 대상 시설
목록을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명세서에 포함하여야 한다.

알아두기
○ 조직경계 결정 원칙
-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명시하고,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관리 주체 및 경제적 이익의 귀속 주
체를 통해 경계 내 포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원칙을 제시함

○ 조직경계 결정 방법
- 다수 할당대상업체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 방법을 명시
- 할당대상업체에 법인이 다른 업체 상주 시 조직경계 결정 방법을 명시
- 건물 및 교통부문의 조직경계 결정 시 할당대상업체 지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계를 설정하도록 명시

○ 조직경계 설정의 부지경계 식별에 이용 가능한 관련 법률


- 기존 부지경계 식별이 가능한 관련 법률에 「건축법」, 「수도법」, 「하수도법」,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정부에 허가
받거나 신고한 문서를 이용하여 식별

[상세내용]
l 조직경계 관련 용어
- 법인 : 민법상의 법인과 상법상의 회사를 말함
- 사업장 : 동일한 법인, 공공기관 또는 개인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재화의 생산, 서비스의 제공
등 일련의 활동을 행하는 일정한 경계를 가진 장소, 건물 및 부대시설 등을 말함
- 조직경계 : 업체의 지배적인 영향력 아래에서 발생되는 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및 보고의 기준이 되는 조직의 범위를 말함

- 2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지배적인 영향력 : 동일 법인 등이 당해 사업장의 조직변경, 신규 사업의 투자, 인사, 회계, 녹색경영 등


사회통념상 강제적 일체로서의 주요 의사결정이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등의 업무 집행에
필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함
-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連繫性) : 연료, 열 또는 전기의 공급점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 즉, 건물
등에 타인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변환하지 않고 다른 건물 등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함 (예: 건물 등에서 타인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변환하지 않고 다른 건물 등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 등)
- 수송부문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통제 : 차량의 운행일정, 운행노선, 운행횟수, 운행경비 등 차량
운행의 전반에 관한 사항을 사실상 관리・감독하는 것을 의미함
- 운영통제 범위 :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 경계 등을 의미함

l 조직경계 결정 방법
① 다수 할당대상업체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방법
- 다수의 할당대상업체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하더라도 법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할당대상업체는 별도로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 하도록 경계를 설정하여야 함

① 할당대상업체 ‘가’, ‘나’ 법인의 사업장(A, B)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음


② A 사업장과 B 사업장은 물리적으로는 상호 지리적 경계로 구분되어 있고 지번도 달리 적용되어 있음
③ A 사업장과 B 사업장 간 에너지는 상호 연계되어 있음

○ 조직경계결정
- 하나의 에너지 연계성을 가지고 있지만 법인이 서로 다르므로 A 사업장과 B 사업장은 각각 개별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 2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② 타 법인이 조직경계 내에 상주하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방법


-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할당대상업체가 가지고 있는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상주하고 있는
타 법인의 온실가스 배출시설 및 에너지 사용시설을 조직경계에 포함하여야 함
- 반면에 할당대상업체가 상주하고 있는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해당
상주 업체의 온실가스 배출시설 및 에너지 사용시설에 대한 정보 및 활동자료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는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에서 제외할 수 있으나, 조직경계 제외에 대한 타당한 사유를
배출량 산정계획에 포함하여야 함
㉠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할당대상업체가 가지고 있는 경우

① A 할당대상업체 내 타 법인 “B : 식당운영업체, C : 물류업체 D : 설비 보수업체”가 상주하고 있음


② B 식당운영업체의 도시가스(LNG) 사용에 대한 재무적인 부담은 B 식당운영업체가 부담하고, 전력 및 기타 에너지비용은 A
할당대상업체가 무상 공급하고 있음
③ C 물류업체와 D 설비보수업체에서는 전력을 사용하고 기타 온실가스 배출원이 없음. 전력은 A 할당대상업체에서 무상으로 공급해
주고 있음

○ 조직경계 결정
- A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는 A 할당대상업체 소유의 모든 배출시설과 B 업체, C 업체 및 D 업체의 전력 사용 배출시설을 모두 포함함.
- B 업체의 LNG 사용량에 대해 재무적 부담을 A 할당대상업체가 지고 있지 않으므로 조직경계 범위에서 제외 가능하나, 이에
대한 타당한 증빙자료를 제출하여 주무관청의 승인을 받아야 적용할 수 있음

- 3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타 법인의 운영통제권을 할당대상업체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① A 할당대상업체 내 “타 법인으로 B 식당운영업체, C 물류업체, D 설비보수업체”가 상주 하고 있음


② B 식당운영업체는 A 할당대상업체로부터 사용한 전력 및 연료 등을 100% 공급받고, A 할당대상업체로부터 운영통제를
받고 있음
③ C 물류업체는 사용한 전력 및 연료 등 에너지비용을 A 할당대상업체에게 100% 지불하고 있고 모든 교정된 계측기에 의한
계량값을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A 할당대상 업체로부터 운영통제를 받고 있지 않음
④ D 설비보수업체는 사용한 전력 및 연료 등 에너지비용을 A 할당대상업체에게 100% 지불하고 있으나, 에너지 사용량이 계측이
되지 않고 계약서에 의해 정산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A 할당대상업체로부터 운영통제를 받고 있지 않음

○ A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결정
- A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는 A 할당대상업체 소유 모든 배출시설과 B 업체의 모든 배출시설을 A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에
포함함.
- C, D 업체가 구매한 에너지 사용량이 구분되어 운영통제 범위가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A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에서 제외함
- 그러나, 운영통제 범위 밖에 있는 타 법인으로서 C, D 업체를 A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에 포함시킬 경우, 사업장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고, C, D 업체와 상호 합의하여 그 타당성에 대해 A, C, D 업체 배출량 산정계획에
타당성을 기술하여야 함.
- 만약, C, D 업체를 A 할당대상업체에 포함시키는 것을 주무관청이 승인하지 않을 경우에는 A 할당대상업체와 C, D
업체에서 이를 받아들이고 개별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조직경계에 포함하고 배출량 산정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함

③ 건물의 조직경계 결정방법


- 건물의 경우 지침 [별표 21] 건축물의 조직경계 설정방법에 따라 다음의 기준을 적용해야 함

㉠ 법인 단위 할당대상업체 건물의 경우
Ÿ 법인 단위로 할당대상이 지정되었을 경우 해당되는 모든 건축물은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에 포함

㉡ 한 건축물에 임대자가 다수 입점해 있을 경우


Ÿ 해당 건축물의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의 주체는 건축물의 소유자이며,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건축물의 조직경계를 결정

- 3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① 건축물의 소유관계는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에 따른 건축물 대장과,


「부동산등기법」에 따른 등기부를 통하여 확인 가능함
② 다만 「건축법 시행령」별표 1의 제2호(공동주택) 가, 나, 다 항목에 해당하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은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에서 제외함. 여기에서 별표 1의 제1호(단독주택)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할당대상업체 지정범위에 해당되는 사례가
없어 따로 지침에 규정하지 않음

③ 할당대상업체 A의 건물에 타 할당대상업체(B, C 등)가 임차할 경우에는 할당대상업체 B, C가 입점한 부문의 관리주체는 각
할당대상업체(B, C)이며, 할당대상업체 A의 관리범위는 할당대상업체 B, C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이 됨
(예시) 건축물(가)을 할당대상업체 A가 소유하나 일부 부문은 할당대상업체 B와 C가 임차한 경우 각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는
아래와 같이 정함

건축물(가) : 할당대상업체 A 소유 할당대상업체 A(소유자)


조직경계 : 할당대상업체 B, C 경계를
지상 6∼8층 : 소규모 사업자(임차) 제외한 건축물 전체

지상 2∼5층 : 할당대상업체C (임차) 할당대상업체 C 조직경계

지상 1층 : 소규모 사업자(임차)

지하 1, 2층 : 할당대상업체B(임차) 할당대상업체 B 조직경계

㉢ 건축물이 인접하여 있는 경우
Ÿ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법인 A가 소유하는 건축물, 시설물이 서로 다른 대지에
인접・연접하여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법인 A가 소유하고 있는 건축물을 한 건축물로
간주하며, 건축물의 조직경계를 결정할 때는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야 함

① 인접하는 건물 등 - ‘인접 또는 연접’이란 다음 2가지 조건 중 어느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함.


∙ 동일 부지 내에 존재할 것
∙ 인접한 부지 내에 존재할 것
- 이 때 ‘부지’의 지리적 경계는 다음 각 호의 관련법령에 따른 신고 및 허가 등 과정에서 제출된 문서(배치도)에 따라 파악함.
∙ 「건축법」 제11조(건축허가) 제1∼3항 및 「건축법 시행규칙」 제6조(건축허가 신청) 제1항에 따라 제출하는 건축 등의
허가신청서(건축대지의 범위에 관한 서류)에서 제출된 부지의 범위
∙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제13조제1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6조에 따른 공장설립등의 승인신청서에서
제출된 부지의 범위
∙ 「수도법」제17조제1항, 같은법 시행령 제27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8조에 따른 수도사업 인가신청서(수도시설의 평면도 등
첨부)에서 제출된 부지의 범위
∙ 「하수도법」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따른 공공하수도 공사 등 허가 신청서에서 제출된 부지의 범위
∙ 「폐기물관리법」제25조제3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28조제3항에 따른 폐기물 처리업 허가신청서에서 제출된 부지의 범위

② 도로, 수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건물 등


- 도로・수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는 부지 내에 공통하는 소유자가 존재하고 주된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 인접한 복수의
건물을 묶어 하나의 건물로 간주함. 다만, 수로를 사이에 둔 경우 커다란 하천을 사이에 두고 있는 등 건물・사업장 간에
오고가는 길이 쉽지 않고 하나의 건물・사업장으로 취급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동일 건물・사업장으로
취급하지 않을 수 있음. 이 경우에도 앞에서 언급한 관련 법령에 따른 신고 및 허가증에 기재된 부지의 범위를 우선적으로
적용함.

- 3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예시 1) 동일 부지 또는 인접하는 부지 내 공통 소유자가 존재 (예시 2) 도로・수로를 끼고 인접해 있는 부지 내 공통소유자


하는 건물일 경우 동일 건물로 간주하여 조직경계를 가 존재하는 건물일 경우 동일 건물로 간주하여 조직
설정함 (주택동은 제외) 경계를 설정함
건물 조직경계 건물 조직경계

부지B 부지A
부지A A사 소유, A사 이용빌딩
상업시설 주 주택
택동 동
공공도로
부지B
사무실동 a 사무실동b 부지C A사소유,
B사 이용빌딩 A사소유,
A사이용빌딩

㉣ 에너지 연계성이 있는 복수 건축물의 경우


Ÿ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하나의 건물 등으로 간주하며,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건축물의 조직경계를 결정해야 함

① 에너지 연계의 예는 ㉠어느 건물의 수전점(고압 수전시설 등)에서 전기를 받고, 나아가 다른 건물 등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 ㉡지역 열 공급 수입(受入) 시설에서 복수의 건물 등에 증기 등을 반송하고 있는 경우, ㉢어느 건물 등에 부속하는
연료탱크에서 배관 등으로 접속하여 다른 건물 등에 연료공급을 행하고 있는 경우 등이 해당됨

② 에너지관리의 연계성 유무는 다음 각 호의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외부에 대한 전기공급점을 파악 : 건물 등의 배전도를 활용 가능
- 외부에 대한 가스공급점을 파악 : 도시가스 사업자가 작성한 배관도를 활용
- 지역 열공급 수입시설의 유무를 파악하고, 존재할 경우 그 수입시설에서 외부에 대한 열 공급의 유무를 파악 : 공기조화설비
계통도를 활용
- 연료저장소 등에 대해 배관 등의 접속에 의하여 건물 외부로 연료공급이 있는지를 파악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제4조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소의 신고 정보를 활용

(예시) A업체가소유하는부속병원, 식당, 연구소, 사무동이에너지관리의 (예시) A업체가 소유하는 (가), (나) 빌딩이 인접하여 있고,
연계성이 있는 경우 5개 건물을 하나의 건물로 간주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을 경우 하나의 건물
함. 로 간주함.
C건물 조직경계 D건물 조직경계

수전 A소유 증기・온수・
연구소 식 (가)빌딩 냉수의 수입
당 부속병원
하천(수로)
A소유
사무동2 사무동1 (나)빌딩

- 3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④ 교통부문의 조직경계 결정방법

㉠ 임차 차량의 경우
Ÿ 할당대상업체 A는 당해 법인의 전용차량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여객자동차운수사업자
B로부터 승용차 1대를 임차하여 그 차량의 운행일정, 운행노선, 운행경비 등 차량 운행의
전반에 관하여 관리한 경우에 그 차량은 할당대상업체 A의 소유로 간주하여야 함. 따라서
임차차량은 할당대상업체 A의 조직경계에 포함하여야 함

㉡ 개인차량을 지입하는 경우
Ÿ 할당대상업체 A가 개인 B의 소유인 화물자동차를 지입차량의 형식으로 운송사업 허가를 받은
경우 해당 화물자동차는 할당대상업체 A의 조직경계 내에 포함하여야 함(지입차량은 운수
회사의 명의로 등록된 개인 소유의 차량을 말함)

㉢ 타법인에 운송을 위탁한 경우


Ÿ 물류업체가 아닌 할당대상업체 A가 타 법인인 물류업체 B에 운송을 위탁한 경우에 A의 지배적
영향력이 없는 운송 위탁 부분은 할당대상업체 A의 조직경계에서 제외시켜야 함

㉣ 항공 및 선박의 경우
Ÿ 항공 및 선박은 국내 운항인 경우에만 조직경계에 포함하여야 함(국내 운항이란 항공의 이착륙
지점 또는 선박의 입출항 지점이 모두 국내일 경우를 말함)
Ÿ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항공 및 선박의 조직경계를 결정

(예시1) A항공사의 (가)항공기가 김포공항을 출발하여 제주공항에 (예시2) B항공사의 (나)항공기가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도착한 경우 이착륙 지점을 기준으로 국내운항으로 홍콩국제공항에 도착한 경우 이착륙 지점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조직경계에 포함 국제운항으로 분류되며 조직경계에 제외

조직경계 포함 조직경계 제외

l 사업장내 건설 및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방법


㉠ 에너지비용을 공사 업체가 부담하는 경우
Ÿ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의 주체는 공사업체이며, 발주업체의 조직경계에서 공사로 인한
에너지사용을 제외하여야 함
㉡ 에너지비용을 발주업체에서 부담하는 경우
Ÿ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의 주체는 발주업체이며, 발주업체의 조직경계에 포함하여야 함

- 3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l 1개 법인에 여러 개 사업장이 인근에 다수 위치하고 있는 경우 조직경계 결정방법


- 에너지 연계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의 통합 또는 개별 수립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배출량 산정계획 수립 주체를 정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의 누락
및 중복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함
㉠ 할당대상업체 인근 다수사업장에서 에너지를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

① 할당대상업체 ‘가’ 법인의 다수사업장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음


② A 사업장과 B 사업장은 상호 일정한 지리적 경계로 구분되어 있고 지번도 달리 적용되어 있음
③ A 사업장과 B 사업장 간에 에너지는 상호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음
④ A 사업장에서 B 사업장을 포함하여 생산, 서비스 제공,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 등이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사업장의 조직경계결정
- 에너지 연계성을 가지고 있고 운영관리가 통합하여 수행되고 있다면 A 사업장 및 B 사업장을 별도의 조직경계로
구분하여야 함(단, 온실가스 배출량의 누락 및 중복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함)

㉡ 할당대상업체 인근 다수사업장에서 에너지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① 할당대상업체 ‘가’ 법인의 다수 사업장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음


② A 사업장과 B 사업장은 물리적으로는 상호 일정한 지리적 경계로 구분되어 있고 지번도 달리 적용되어 있음
③ A 사업장과 B 사업장간에 에너지는 상호 연계되어 있지 않음
④ A 사업장에서 B 사업장을 포함하여 생산, 서비스 제공,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 등이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사업장의 조직경계결정
- 에너지 연계성이 구분되어 있으나 운영관리가 통합되어 수행되고 있다면, 지리적 여건에 따라 A 사업장과 B 사업장을
각각 개별 사업장으로 분류하거나 또는 A 사업장과 B 사업장을 하나의 사업장으로 결정하여 선택할 수 있음(단, 온실가
스 배출량의 누락 및 중복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함)

- 3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2 배출활동 결정

(목적)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 내 모든 배출원에 대해 배출활동을 결정하고, 배출활동별 배출량 산정방법론에 따라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함

l 산정 대상 온실가스 배출활동 관련 지침 : 지침 제9조(배출량 등의 산정 범위) 및 [별표 3] 산정 대상


온실가스 배출활동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산정 대상 온실가스 배출활동 관련 지침 및 별표와 상세 내용을 토대로


배출시설에 적절한 산정등급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별표 3] 산정 대상 온실가스 배출활동(제9조 제4항 관련)

할당대상업체는 조직경계 내의 모든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하여 아래의 배출활동 구분에 따라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 지침
에서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해서는 기타 배출활동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1. 고정 연소시설에서의 에너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1) 고체연료연소
(2) 기체연료연소
(3) 액체연료연소

2. 이동연소시설에서의 에너지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1) 항공
(2) 도로수송
(3) 철도수송
(4) 선박

3. 제품 생산 공정 및 제품사용 등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1) 시멘트 생산
(2) 석회 생산
(3)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
(4) 유리 생산
(5) 마그네슘 생산
(6) 인산 생산
(7) 석유정제활동
(8) 암모니아 생산
(9) 질산 생산
(10) 아디프산 생산
(11) 카바이드 생산

- 3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12) 소다회 생산
(13) 석유화학제품 생산
(14) 불소화합물 생산
(15) 카프로락탐 생산
(16) 철강 생산
(17) 합금철 생산
(18) 아연 생산
(19) 납 생산
(20) 전자산업
(21) 연료전지
(22) 오존층파괴물질(ODS)의 대체물질 사용
(23) 기타 온실가스 배출
(24) 기타 온실가스 사용

4. 폐기물 처리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1) 고형폐기물의 매립
(2)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3) 하·폐수 처리 및 배출
(4) 폐기물의 소각

5. 탈루성 온실가스 배출 (2013년 1월 1일부터 산정, 2014년 1월 1일 이후부터 보고한다.)


(1) 석탄의 채굴, 처리 및 저장
(2) 원유(석유) 산업
(3) 천연가스 산업

6.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 열, 증기 등에 따른 간접 온실가스 배출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 사용
(2)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 및 증기 사용

7.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에 따른 이산화탄소 이동량


(1)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

알아두기
ㅇ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제2조제5호에 정의된 온실가스에 대해 빠짐없이 배출량을
산정하도록 규정
- 관리업체는 조직경계 내의 모든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함
- 해당 별표에서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해서는 기타 배출활동으로 보고하여야 함

ㅇ 신설 온실가스 산정방법론에 해당하는 배출활동 추가


- 마그네슘 생산, 인산 생산, 카프로락탐 생산, 연료전지, 폐기물 소각의 기상폐기물, 유리 생산에 신규로 추가하고
산정방법론을 개발하여 해당 별표에 명시
- 석탄의 채굴, 원유(석유) 및 천연가스 시스템에서의 탈루배출 산정방법론을 개발하여 해당 별표에 명시

ㅇ 개정된 온실가스 산정방법론에 해당하는 배출활동 추가


- ODS의 대체물질 사용에서 적용 범위가 개정되어 해당 별표에 명시

- 3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3 활동자료 수집방법론 결정

(목적) 활동자료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적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유형 중에서 정확성이 높은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하여 활동자료를
측정・수집하기 위함

l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관련 지침 : 지침 제12조(활동자료의 수집방법) 및 [별표 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관련 지침 및 별표와 상세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 활동자료의 수집방법을 결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2조(활동자료의 수집방법)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은 [별표 8] 따른다.

[별표 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 (제12조 관련)


1.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 결정 원칙
할당대상업체는 배출시설별로 모니터링 유형을 타당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모니터링 유형 결정을 위한 활동자료 측정지점 및
활동자료 수집방법은 사업장과 일치되어야 한다. 또한 판매・구매되는 부생가스, 부생연료, 스팀 등의 활동자료 수집방법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할당대상업체가 활동자료 수집방법을 결정할 때에는 활동자료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적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유형
중에서 가장 정확성이 높은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하여야 한다.
할당대상업체가 두 가지 이상의 모니터링 유형을 적용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자 할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에
이에 대한 활동자료 수집 방법을 도식화해야 하며,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배출량 산정계획에 기술하여야 한다.
할당대상업체는 결정된 모니터링 유형을 토대로 배출시설별 활동자료 수집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2. 모니터링 유형 개요
할당대상업체는 다음 4항 내지 7항에서 제시하는 모니터링 유형에 따라 배출시설별로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할 수 있다.
측정기기의 기호, 종류 등은 <표-1>과 같다.

<표-1> 측정기기의 기호 및 종류

기호 세부 내용 측정기기 예시
상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량을 결정하는 가스미터, 오일미터, 주유기, LPG 미터, 눈새김탱크,
법정계량에 사용하는 측정기기로서 계량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눈새김탱크로리, 적산열량계, 전력량계 등 법정
따른 법정계량기 계량기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로서, 국가표준기본
법 제14조에 따른 시험기관, 교정기관, 검사기관에 의하여 주기 가스미터, 오일미터, 주유기, LPG 미터, 눈새김탱크,
적인 정도검사를 받는 측정기기 눈새김탱크로리, 적산열량계, 전력량계 등 법정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이나, 주기적인 정도 계량기 및 그 외 계량기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측정기기

비고)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측정기기 중 시험・교정기관 등으로부터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받지 않았을 경우 해당 측정기기에
대한 정도검사 일정 등을 제24조에 따른 배출량 산정계획에 포함하여야 한다.

- 3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3. 측정기기 정도검사 주기 등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측정기기 중 시험・교정기관 등으로부터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할 경우 그 주기는
측정기기의 종류에 따라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1조(검정・재검정의 유효기간)의 검정 유효기간 및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에 따른 주기 등을 준용하여 정도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정기보수 기간 등
환경・안전・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주기적 검사일정을 수립)

4. 연료 등 구매량 기반 모니터링 방법
이 방법은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의 양을 수집하는 방법이다.

<표-2> 활동자료 수집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


모니터링 유형 세부 내용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배출시설의


A유형 활동자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구매량 기반
연료나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를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모니터링 방법]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를 사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

B유형 구매량 기반 측정기기와 무관하게 배출시설 활동자료를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교정된 측정기로 하는 방법
직접계량에 따른 배출시설별로 주기적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모니터링 방법]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

C 유형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 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 활동자료에서 타당한

[근사법에 따른 배분방식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단가, 보증된 배출시설 설계 사양 등 정부가 인정하는 방법을
모니터링 유형]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

D유형
D유형은 A∼C 유형 이외 기타 유형을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기타 모니터링 유형]

[모니터링 유형]

○ 모니터링 유형별 측정기기 입력 유형


- A 유형 : WH(거래용 측정기기), FL(검・교정 실시한 자체측정기기)
- B 유형 : FL(검・교정 실시한 자체측정기기)
- C 유형 : WH(거래용 측정기기), (FL)(검・교정 미실시한 자체측정기기)

○ 모니터링 유형별 특징 및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3-2의 (12)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작성 예시

- 3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모니터링 유형 (A-1)

A-1 유형은 연료 및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 등을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를 이용하여 연료사용량 등 활동자

.
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이는 주로 전력 및 열(증기), 도시가스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 혹은 화석연료를 구매하여 단일 배출
시설에 공급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유형A-1)

<표-3> 모니터링 유형 A-1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전력 전력공급자(한국전력)가 발행한 전력요금청구서

열에너지 공급자가 발행하고 열에너지 사용량이 명시된 요금청구서, 열에너지 사용 증빙


구매 열 및 증기
문서

도시가스 도시가스 공급자(도시가스 회사)가 발행하고 도시가스 사용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화석연료 판매/공급자가 발행하고 구입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또는 Invoice

- 4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모니터링 유형 (A-2)

A-2 유형은 연료 및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 등을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

하는 내부 측정기기( )가 같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배출시설에 다수의 교정된 측정기기가


부착된 경우,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 값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다만, 전체 활동자료 합계와 거래용 측정 측정기기의

활동자료를 비교할 수 있으며 구매거래용 측정기기( ) 값과 교차 분석하여 관리하여야 함.

(유형A-2)

<표-4> 모니터링 유형 A-2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전력 전력공급자(한국전력)가 발행한 전력요금청구서

열에너지 공급자가 발행하고 열에너지 사용량이 명시된 요금청구서, 열에너지 사용 증빙


구매 열 및 증기
문서

도시가스 도시가스 공급자(도시가스 회사)가 발행하고 도시가스 사용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화석연료/원료 등 내부 모니터링 기기(계량기 등)의 데이터 기록일지

- 4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모니터링 유형 (A-3)

A-3 유형은 연료·원료 공급자가 상거래를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를 모두 사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임. 저장탱크에서 연료나 원료가 일부 저장되어 있거나, 일부를 판매
하거나 그 외 기타 목적으로 외부로 이송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음. 이 유형은 주로 화석연료의 사용, 불소계 온실가스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음. 아래 식에 따라서 연료 및 원료의 구매량, 재고량, 판매량 등의 물질수지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할 수 있음.

활동자료  신규구매량  회계년도 시작일 재고량  차기년도


시작일 재고량  기타용도판매·이송 등 사용량

(유형A-3)

<표-5> 모니터링 유형 A-3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연료공급자가 발행하고 구입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액체 화석연료
기타 연료공급자 및 사업자(구매자)가 합의하는 측정방식에 따른 계측값

저장탱크의 재고량 정도관리되는 모니터링 기기로 측정한 저장탱크의 수위 데이터

연료공급자가 발행한 구입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보관탱크 입고량
(용기수량, 용기용량 등)

보관탱크 재고량 보관된 물품량 (용기수량, 용기용량 등)

사업자가 연료의 판매목적으로 설치하여 정도관리하는 모니터링 기기의 측정값


판매량
기타, 사업자와 연료구매자가 합의하는 측정방식에 따른 계측값

- 4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모니터링 유형 (A-4)

A-4 유형은 연료나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를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를 사용하며 연료나 원료 일부를 파이프 등을 통해 연속적으로 외부 사업장이나 배출시설에 공급할 경우 활동


자료를 결정하는 방법임. 이 경우, 타 사업장 공급 측정기기는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여야 하며, 사업장에서 조직경계 외부로 판매하거나 공급한 양을 제외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결정함.

(유형A-4)

<표-6> 모니터링 유형 A-4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전력 전력공급자(한국전력)가 발행한 전력요금청구서

열에너지 공급자가 발행하고 열에너지 사용량이 명시된 요금청구서, 열에너지 사용 증빙


구매 열 및 증기
문서

도시가스 도시가스 공급자(도시가스 회사)가 발행하고 도시가스 사용량이 기입된 요금청구서

사업자가 연료의 판매목적으로 설치하여 정도관리하는 모니터링 기기의 측정값


판매량
기타, 사업자와 연료구매자가 합의하는 측정방식에 따른 계측값

- 4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모니터링 유형 (B)

B 유형은 배출시설별로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임. 이 유형은 구매기준 등 비교·확인할 수 있는 기준 활동량 없이 내부 교정된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하는 유형임.

(유형B)

<표-7> 모니터링 유형 B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내부 모니터링 기기의 데이터 기록일지


화석연료/원료 등 log sheet : 모니터링 기기 운용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기록해 놓은 것. 예)연료종류,
연료사용량 등

- 모니터링 유형 (C-1)

C-1 유형은 구매한 연료 및 원료, 전력 및 열에너지를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
결정하는 방법임. 이 경우 사업장 총 사용량은 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연료 및 원료량을 바탕으로 하되 각 배출시설별로는 정도검
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분배·결정하는 방법임. 가능하다면, 이때 아래 예시와 같은
유형으로 산출한 활동자료값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야 함.

(유형C-1)

<표8-1> 모니터링 유형 C-1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한 총 화석연료 청구서 및 측정값, 각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의 화


화석연료
석연료 측정값

구매한 총 전력요금 청구서 및 측정값, 각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의 전


구매전력
력 측정값

- 4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예시>
소성로와 사업장내 보일러를 운영중인 시멘트회사는 시멘트 생산을 위해 연간 중유를 1,000 톤 구매하였으며
구매량은 공급자가 제공한 요금 청구서에 기록된 측정량임(중유는 전량 소성로 및 사업장내 보일러에 공급됨).
사업장의 측정기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배출시설별로 검ㆍ교정 등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임. 이때 소성로
와 보일러의 연간 중유 사용량을 C-1유형으로 산출하면?

소성로

보일러

○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중유의 비중을 1이라 가정)


구분 소성로 보일러
측정기기 측정값 800 톤 400 톤
측정기기 측정값을 이용한 활동자료 결정 667 톤 333 톤

- 모니터링 유형 (C-2)

C-2 유형은 구매한 연료 및 원료, 전력 및 열에너지를 측정기기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일부 시설에만 설치되어 있는 배출시설
로 공급하는 경우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결정할 수 있는 근사법임.
할당대상업체는 배출시설별로 측정기기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검·교정 등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기가 일부 시설에만
설치되어 있을 경우 이때 총 사용량은 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연료 및 원료량을 바탕으로 하되 각 배출시설별로는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의 측정값, 배출시설 및 공정상의 운전기록일지, 물 사용량, 근무일지, 생산일지 등을 활용하여 활동
자료를 분배·결정하는 방법임.

(유형C-2)

<표8-2> 모니터링 유형 C-2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한 총 화석연료 청구서 및 측정값,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기의 화석
화석연료 연료 측정값, 운전기록일지, 물 사용량, 근무일지, 생산일지 등의 배출시설을 운전한 간접
자료 등
구매한 총 전력요금 청구서 및 측정값, 각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의 전
구매전력 력 측정값, 운전기록일지, 물 사용량, 근무일지, 생산일지 등의 배출시설을 운전한 간접
자료 등

- 4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모니터링 유형 (C-3)

C-3유형은 연료 및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 등을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내부 측정기기( )가 같이 설치되어 있거나 측정기기가 없을 경우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임.

(유형C-3)

또는,

<표8-3> 모니터링 유형 C-3에서 활동자료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

해당 항목 관련 자료

구매한 총 화석연료 청구서 및 측정값, 각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의 화


화석연료 등 석연료 측정값, 운전기록일지, 물 사용량, 근무일지, 생산일지 등의 배출시설을 운전한 간접
자료 등

구매한 총 전력요금 청구서 및 측정값, 각 배출시설별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측정기의 전


구매전력
력 측정값, 운전기록일지, 물 사용량, 근무일지, 생산일지 등의 배출시설을 운전한 간접자료
구매스팀 등

- 4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모니터링 유형 (C-4)

C-4 유형은 연료의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있어 생산 공정으로 투입된 원료 및 연료의 누락 값, 공정과정의 변환으로 투입된 원
료 및 연료의 누락 값, 시설의 변형 및 장애로 인한 원료 및 연료의 누락 값, 유량계의 정확도나 정밀도 시험에서 불합격할 경우
및 오작동 등이 발생할 경우 등 각각의 누락데이터에 대한 대체 데이터를 활용·추산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임. 데이터
의 누락이 발생할 경우 배출시설의 활동자료인 “연료(원료) 사용량”에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활동자료를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
로 추정의 타당성을 설명하여야 함. 예를 들어 고장난 측정기기의 유량측정값은 유용하지 않고, 측정기기의 질량 및 유량측정은
제품생산량으로 추정하여야 함. 즉 이전의 제품생산량 대비 연료 유량값과 질량값을 추정함.

정상기간 중 사용된 연료또는 원료사용량 


결측기간의 연료또는 원료 사용량   × 결측기간 총 생산량 
정상기간 중 생산량  

- 모니터링 유형 (C-5)

C-5 유형은 사업장에서 운행하고 있는 차량 등의 이동연소 부문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래 식과 같이 차량별
연료의 구매비용(주유 영수증 등)과 연료별 구매단가를 활용하여 차량별 연료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음.
연료별 이동연소 배출원별 연료구매비용
연료사용량  
연료별 이동연소 배출원별 구매단가

- 모니터링 유형 (C-6)

C-6 유형은 사업장에서 운행하고 있는 차량 등의 이동연소 부문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차량별 이동거리 자료와 연비
자료를 활용하여 계산에 따라 연료사용량을 결정하는 방식임.

연료별 이동연소 배출원별 주행거리 


연료사용량  
연료별 이동연소 배출원별 연비 

- 모니터링 기타 유형 (D)

D유형은 A∼C 유형 이외 기타 유형을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서, 제24조에 따른 배출량 산정계획에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야 함.

- 4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상세내용]
l 모니터링 유형별 활동자료 수집방법 결정

① 구매량 기반 모니터링 방법(A 유형)

㉠ A-1 모니터링 유형
Ÿ A-1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Ÿ A-1 모니터링 유형은 가장 단순한 모니터링 유형으로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가장 적음


Ÿ 할당대상업체가 A-1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활동자료 수집 방법을 기술하는 방식은 다음 사항이 포함되도록 기술하여야 함

- 거래용 측정기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활동자료가 수집되고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기술하여야 함
- 이행연도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수집기간은 회계연도 기준인 1월 1일∼12월 31일로 결정되어 있으며, 거래용 고지서의
월별 모니터링 기간이 다름. 이때, 거래용 고지서의 모니터링 기간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모니터링 기간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함
- 시작일이 요구 기준일인 1월 1일 00시:00분이 아닌 경우에는 시작일 및 종료일 차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지가 설명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여 활동자료가 확정되고 고지서발행 일자에 대해 설명하여야 함.
- 활동자료 확정과정에서 운전부서와 생산관리부서가 상호 합의를 통해 활동자료가 수정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명시되어야 함

Ÿ 건물 부문의 임차사업장의 경우, 자체 계측기기 관리 및 공급처로부터 제공받는 고지서 취합이


어려워 관리비 고지서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하는 경우 D 유형으로 적용하여야 함

- 4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A-2 모니터링 유형
Ÿ A-2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Ÿ 할당대상업체가 A-2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활동자료 수집 방법을 기술하는 방식은 다음 사항이 포함되도록 기술하여야 함

- 구매 거래용 측정기기와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 값 중에서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 값을 적용하도록
결정하고 교차분석 하여야 함
- 교차분석결과가 중요성 평가 기준7)을 초과할 경우에는 A-2유형이 아닌 C유형을 사용하여야 함
- 이행연도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수집기간은 회계연도 기준인 1월 1일∼12월 31일로 결정되어 있으며, 거래용
고지서의 월별 모니터링 기간이 다름. 이때, 거래용 고지서의 모니터링 기간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모니터링 기간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여 활동자료가 확정되고 고지서발행 일자에 대해 설명하여야 함
-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통해 현장 측정기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경우는 해당 측정관리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여야 함

7) 중요성 평가 기준 : 총 배출량이 500 만 tCO2eq 이상인 할당대상업체는 총 배출량의 2.0%, 50 만 tCO2eq 이상 500 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업체에서는 총 배출량의 2.5%, 50 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업체는 총 배출량의 5.0%으로 함

- 4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A-3 모니터링 유형
Ÿ A-3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Ÿ A-3 모니터링 유형은 구매된 활동자료 중에서 일부를 일정기간 재고관리를 하면서 필요한
양만큼 사용하고 재고량이 고갈되는 경우 구매 시스템을 통해 발주하는 절차를 적용할 수
있음
Ÿ A-3 모니터링 유형의 활동자료 수집 방법은 각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조합하여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집 방법을 결정하여야 함
Ÿ A-3 모니터링 유형 적용 시 교차분석의 기준은 연간, 월간 구매 값을 토대로 수행하도록 하고
아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함

- 측정지점, 측정주기(일간, 월간, 연간)등 활동자료를 최종 결정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함


- 할당대상업체에서 구매한 활동자료와 자체 재고관리시스템의 재고량(시작일 재고-종료일 재고) 및 조직경계 외부로의 판매량
등을 토대로 보정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여야 함
- 내부 구매부서와 사용부서 간에 상호검증, 또는 ERP 값의 입력 정보 확정 절차 등을 제시함으로써 타당성을 입증하여야 함

- 할당대상업체가 이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한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활동자료 수집 방법을


기술하는 방식은 다음 사항이 포함되도록 세부적으로 기술하여야 함

- 5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구매 거래용 측정기기의 관리주체가 어떻게 되는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함. 할당대상업체와 공급업체 간에 측정기기가 있을 경우
상호 교차 분석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여야 함
-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저장탱크에 입고되는 거래용 측정기기(WH) 외 개별 배출시설(그림 FL1, FL2, FL3)의 측정기기에 의해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제시하여야 함. 개별 배출시설의 내부 측정기기 값을 적용할 경우, 요구되는 교정주기에
따라 관리되어야 함
- 보관탱크 입고량, 재고량으로 관리되는 활동자료의 경우(F가스 봄베 등) 용기 단위로 활동자료 수집이 가능하며, 규격화된 용기로
거래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증빙자료를 제시하여야 함.
- 주기적인 현장검침(예 : 게이지 값) 또는 데이터전송시스템(예 : DCS, PIS, ERP)을 활용하여 활동자료 수집하는 경우에는
수집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함.
- 현장 측정기기, 활동자료 측정지점과 활동자료 수집 장소의 단위가 서로 다를 경우, 단위 변동 과정을 투명하게 기술하여야 함
- 액체 및 기체와 같이 온도 및 압력에 민감한 활동자료의 경우에는 표준상태(0℃, 1 atm)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보정하여 수집하
고 있음을 기술하여야 함
- 이행연도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수집기간은 회계연도 기준인 1월 1일∼12월 31일로 결정되어 있으며, 거래용 고지서의
월별 모니터링 기간이 다름. 이때, 거래용 고지서의 모니터링 기간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모니터링 기간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여 활동자료가 확정되고 고지서발행 일자에 대해 설명하여야 함

㉣ A-4 모니터링 유형
Ÿ A-4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Ÿ A-4 모니터링 유형은 구매한 활동자료에서 조직경계 외부로 판매하거나 공급한 양을 제외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결정한다. 만약 외부 사업장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손실분은 판매 업체가 에너지를 사용한 것으로 간주함. A-4의 모니터링 유형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세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 세부 유형을 고려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불확도에 문제가 없도록 수집하여야 함

- 5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유형 1 타사업장 공급 측정기기(FL)를 교정하고 해당 측정기기를 활동자료수집에 사용하는 경우

타사업장 공급 측정기기(FL)를 교정하지 않고 해당 측정기기를 활동자료를 수집에 사용하는 경우


유형 2
※ 이 유형은 A-4가 아닌 C유형으로 분류하여야 함

타사업장 공급 측정기기를 교정 여부에 관계없이 교차분석 차이 값을 배분하여 활동자료 수집에 사용하는 경우


유형 3 [교차분석 차이 값=WH-(FL1 + FL2)]
※ 이 유형은 A-4가 아닌 C유형으로 분류하여야 함

- A-4 모니터링 유형 결정시 다음의 방법을 준수하여야 함

- A-4 모니터링 유형은 측정된 측정기기 값을 기반으로 활동자료가 결정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함


- 구매거래용 측정기기로부터 활동자료를 먼저 결정하고, 자체 사용한 활동자료와 외부로 판매한 활동자료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
하여야 함
- 할당대상업체 자체측정기기 및 조직경계 외부로 판매되는 활동자료 측정기기가 교정되지 않은 경우, C유형으로 분류 적용하여야 함
- 측정지점, 측정주기(일간, 월간, 연간)등 활동자료를 최종 결정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함

- 할당대상업체가 A-4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한 경우, 활동자료 수집 방법은 다음 사항이 포함되도록
기술하여야 함

- 구매 거래용 측정기기의 관리주체가 어떻게 되는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함. 할당대상업체와 공급업체 간에 측정기기가 있을 경우
상호 교차분석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여야 함
- 구매 거래용 측정값과 자체 사업장의 사용량 및 외부 법인에 판매 또는 공급한 양을 결정하는 방식은 모니터링 도식도 및 현장과
일관성 있게 제시하여야 함
- 현장 측정기기 및 활동자료 측정지점 또는 활동자료의 단위 등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변동 과정을 투명하게 기술하여야 함
- 전력을 외부에 판매하거나 개별 배출시설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가 있을 경우에는 전력량계의 MOF(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PT(계기용 변압기), CT(계기용 변류기)의 상관식을 제시하여야 함
- 이행연도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수집기간은 회계연도 기준인 1월 1일∼12월 31일로 결정되어 있는데, 거래용 고지서의
월별 모니터링 기간이 다를 경우 거래용 고지서의 모니터링 기간으로 결정함. 결정된 모니터링 기간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여 활동자료가 확정되고 고지서발행 일자에 대해 설명하여야 함

- 5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② 교정된 측정기로 직접측정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B 유형)


- B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 B 모니터링 유형은 배출시설별로 교정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임
- B 모니터링 유형은 구매기준 등 비교 확인할 수 있는 기준 활동량 없이 내부 교정된 측정기기를
토대로 모니터링하는 유형임
- B 모니터링 유형을 결정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음

- B 모니터링 유형의 측정기기는 주기적인 교정 및 전송 에러를 관리하기 위한 전류치 교정 활동 등이 수행되어야 함


- 최초 B 모니터링 유형으로 결정된 방법에 대해 관리수준의 변동(교정검사 미실시 등)이 발생한 경우 D 모니터링 유형으로
전환하여야 함

- 5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B 모니터링 유형을 선정한 경우,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기술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방법 및 측정기기 교정 주기에 따른 교정 결과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함


- 설치된 자체측정기기 활동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거래용 측정값과 교차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여야 함
- 주기적인 현장검침(예: 게이지 값) 또는 데이터전송시스템(예: DCS, PIS, ERP)을 활용하는 등 실제 적용하고 있는 활동자료
수집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여야 함
- 현장 측정기기 및 활동자료 측정지점 또는 활동자료의 단위 등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변동 과정을 투명하게 기술하고
주무관청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이행연도의 배출량 산정을 위한 활동자료 수집기간은 회계연도 기준인 1월 1일∼12월 31일로 결정되어 있으며, 거래용
고지서의 월별 모니터링 기간이 다름. 이때, 거래용 고지서의 모니터링 기간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모니터링 기간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함
- 활동자료 수집을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하여 활동자료가 확정되고 고지서발행 일자에 대해 설명하여야 함
-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통해 현장 측정기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경우는 해당 측정관리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여야 함

③ 근사법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C 유형)


- C 모니터링 유형 결정 의사결정도

- 5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C 모니터링 유형은 배출시설별 특성(예: 해당 측정기기, 용량, 최종 출력 성과물 등)을 고려한 배분


인자를 결정하고, 구매 측정기기 값을 기준으로 결정된 배분 인자에 따라 분배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함
- C 모니터링 유형을 적용할 경우 근사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타당한 이유를 제시하여야 함
- 사업장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5% 이상을 차지하는 배출시설이 C 모니터링 유형을 적용하는
경우, 해당 배출시설의 측정기기의 신규설치 및 교정검사/관리 일정 등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함
-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면 오류가 내재된 활동자료를 그대로 적용하여서는 안됨. 이 경우
할당대상업체는 C-4 모니터링 유형으로 배출시설의 활동자료인 “연료(원료) 사용량”에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활동자료를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추정하고 이의 타당성을 설명하여야 함
- 예를 들어 고장난 측정기기의 유량측정값은 유용하지 않고, 측정기기의 질량 및 유량측정은
제품생산량으로 추정하여야 한다. 즉, 이전의 제품생산량 대비 연료 유량값과 질량값을 추정함

결측기간의 연료(또는 원료) 사용량 =

정상기간 중 사용된 연료 또는 원료 사용량  


 × 결측기간 총 생산량  
정상기간 중 생산량  

- 할당대상업체가 결측 기간의 활동자료 수집방법을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기술할 때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함

- 결측 기간의 활동자료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수준(예: R2 > 0.7)의 교정된 측정기에서 측정된 활동자료(예: 생산량 등)를 먼저
찾고 결정된 활동자료가 왜 타당한지를 배출량 산정계획에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함
- 결측 기간 누락된 활동자료를 이 상관회귀에서 결정된 상관회귀 분석 식을 적용하여 결측 기간 동안 누락된 활동자료를 결정함
- 결측 기간 활동자료 수집 방법에 대해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기술하여야 함
- 그리고 이 결측 기간 활동자료 결정 방법과 이에 따라 결정된 활동자료에 대해서는 해당 관련 책임자의 승인된 문서, 기록을 관리
하고 있음을 기술하여야 함

㉠ C-5, C-6 모니터링 유형


Ÿ 할당대상업체가 추정에 의한 이동연소 연료 사용량 활동자료의 수집방법을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기술할 때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하여야 함.

- 이동연소 배출 활동자료를 수집할 때에 주유기 등의 측정값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배출량 산정계획에
기술하여야 함
- 추정에 의한 이동연소 배출활동 데이터가 사업장 전체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배출량 산정계획에 기술하여야 함
* 중요도(%) = [추정 방식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총 사업장 배출량] × 100
- 추정 방식을 위한 활동자료 또는 매개변수(예. 이동연소 배출원별 구매단가, 이동연소 배출원별 연비)의 근거(출처) 자료를
제시하고 내부 문서/기록관리 절차에 따라 관리되고 있음을 배출량 산정계획에 기술하여야 함

- 5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④ 기타 모니터링 유형 (D유형)
- 할당대상업체가 위에서 언급된 A, B, C 모니터링 유형이 아닌 다른 모니터링 유형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기술하고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후
적용하여야 함.

- 지침에 없는 모니터링 유형의 모니터링 도식도를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제시하여야 함
- 제시된 모니터링 유형의 모니터링 포인트별 데이터가 측정값인지 추정 값인지 여부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측정값을 적용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측정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지 아니면 내부 측정관리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값을
계산식에 의해 변환하여 사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배출량 산정계획에 기술하여야 함

- 할당대상 업체는 “측정기기 데이터를 토대로 수집한 DCS, PIS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와 “ERP
데이터”에 대한 교차분석 차이에 대한 분석 방법을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기술하여야 함
- 다음과 같은 배출시설 등에 대하여 모니터링 유형 D(기타 모니터링 유형)를 적용할 수 있으나,
모니터링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정도검사 실시 및 KS표준 등 공신력있는 계산방법의
적용 등을 통해 모니터링 상위 유형(A~C)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함

<개선이 필요한 모니터링 D유형 예시>

- 식당 LPG, 비상발전기, 소방펌프 및 소방설비 등 소규모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


- 이동연소배출원(사업장에서 개별 차량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경우를 의미함)
- 타 사업장 또는 법인과의 수급계약서에 명시된 근거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배출시설별로 구분하는 경우
- 기타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고 주무관청이 인정하는 경우

l 활동자료 수집방법의 사례

① 고정연소 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열병합 보일러 사례)


- 열병합 보일러 배출시설에 포함되는 배출활동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사용연료, 공정배출
(부원료-석회석), 구매전력”이 됨
- 할당대상업체의 배출활동 주요 모니터링 대상은 “연료 사용량”이 핵심이 되고 만약 배출시설 규모가
C등급(연간 온실가스 50만 톤 이상 배출시설)일 경우 “순발열량, 배출계수” 등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도 중요함. 그리고 할당대상업체는 공정배출활동에 의한 모니터링 대상에 “석회석 사용량”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야 함
- 구매전력의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시설 구분에서 열병합 보일러를 구매전력
배출시설별로 결정한 경우에는 구매전력 사용량이 모니터링 대상이 될 수 있음

- 5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고정연소 활동자료 사례>

①고정연소 배출시설(보일러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대상)

② 구매전력 사용 시설(사업장 전체 구매전력사용량)

- 위 그림에서 열병합 보일러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보일러 효율 결정을 위한 모니터링 대상은


다음과 같음
Ÿ 고정연소 : B-C유, 유연탄, 프로판
Ÿ 공정배출 : 석회석
Ÿ 간접배출 : 구매전력
Ÿ 보일러 효율 결정 인자 : 증기, 스팀
- 열병합 보일러의 모니터링 대상은 “① 고정연소 배출시설, ② 공정배출시설, ③ 구매전력
사용시설”로 구분되고 보일러 효율 결정을 위한 증기, 스팀은 고정연소 배출시설에 포함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음

- 5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고정연소 활동자료 도식도 개선 예시>


①고정연소 배출시설

②공정배출시설

③ 구매전력 사용 시설(사업장 전체 구매전력사용량)

② 고정연소 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구매값을 토대로 각 배출시설별로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모니터링 포인트>

- 5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위의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구매 값에서 소성공정의 예비건조로와 소성로의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음
Ÿ 위의 개별 배출시설에 부착된 유량계 값을 적용하여 결정할 수 있음. 이 경우에는 개별
배출시설에 부착되어 있는 유량계가 온・압보정이 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교정됨을 보장하여야 함. 그리고 유량계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난방시설과 공정수 예열
부문은 위의 전체 공정도에 LNG 사용량 중에서 자치하는 비중이 5% 미만일 경우에는
할당에 의한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
Ÿ 구매값을 토대로 배출시설별로 값들을 비교하여 할당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 먼저 전체 구매량
값을 A-3 모니터링 유형으로 결정함. 기체 연료의 A-3 모니터링 유형을 위해서는 구매값 자료와
저장탱크의 재고관리를 위한 압력계 보정 테이블(압력계의 교정 여부 설명)을 토대로 확인이 가능함
- 위의 소성공정의 활동자료를 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음

1단계 : 구매값 A와 사용일지 탱크 입고량8) A′확인


2단계 : 사용일지 소성공정 LNG사용량 B 확인, 성형공정 배관 사용 LNG 사용량 C 확인
3단계 : 전체 구매량에 대한 소성공정 LNG 사용량 D 확인 (A, A′중 작은 값 선택)

   or ′ × 
 
4단계 : 사용일지 기반의 소성공정에 대하여 LNG 손실 분배량 반영된 월말 결산 내부 자료 소성공정 LNG 사용량 확인

- A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 내에 식당 운영을 외부 위탁업체에서 운영하고 있음. 외부 위탁업체가


사용하는 식당의 LNG와 전기 사용량은 측정기를 통해 측정값을 기반으로 모든 비용을 외부
위탁업체에서 부담하고 있음
- 그리고 이 업체 A 사업장은 2년 전에 회사가 어려워져 사업장의 일부를 타 법인 B에 매각하고
매각된 기업 B에 한전에서 구매한 전력과 A 사업장에서 자체 생산한 스팀을 공급해 주고 공급된
양 만큼을 청구하고 있음
- 위의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도식도는 다음과 같음

8) 탱크 입고량은 제시된 중량 환산표를 기준으로 확인 [첨부 8] 중량 환산표 확인

- 5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가. 전력 A-4 유형 (단. 모든 전력량계가 교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A 법인의 전력 사용량 활동자료 수집 방법 사례>
- 한전으로부터 받는 전력사용량 수집, B법인, 식당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측정기기로부터 전력공급량 수집 후 청구.
- 법인 A의 최종전력 사용량 = 한전수전량 – B업체 공급량 - 식당 공급량
나. LNG A-4 유형 (단. LNG 유량계가 교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됨)
<A 법인의 LNG 사용량 활동자료 수집 방법 사례>
- 도시가스사로 부터 받는 LNG 사용량계로부터 LNG 사용량 수집, 식당에 공급하는 LNG 공급량을 측정하는 측정기기로부터
LNG 공급량 수집 후 청구.
- 법인 A의 LNG 사용량 = 도시가스사에서 공급받은 LNG 고지서 사용량 –식당 공급량
다. 스팀 B 유형 (단. 법인 B에 공급하는 스팀 유량계가 교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A 법인의 스팀사용량 활동자료 수집 방법 사례>
- 교정된 스팀 유량계/열량계로부터 지시된 값을 토대로 직접 공급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 교정된 스팀 유량계가 없는 경우 근사법 할당방식으로 공급량 산출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 환경부장관에 근사법 사용
이유 및 이에 따른 활동자료의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여야 함.

③ 배출시설별 전력사용량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 다음 상황은 A 배출시설의 이행연도 전력 사용량 및 전력량계 사양 현황임

상황) 1년 동안 MOF 전력량계 검친 값을 토대로 계산한 전력 사용량


- 상전압 13,200볼트를 220볼트로 강압하여 사용.
- 전류는 MOF의 CT를 확인할 결과 100대 5로 되어 있음.

- 이를 토대로 전력 사용량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음


-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내용 ;
배출시설의 전력 사용량 = MOF 값의 적산 값 ☓ PT(60) ☓ CT(20) 로 수집함.
PT = 13,200/220 = 60
CT = 100/5 = 20
- 이행기간에 변동시설은 아래와 같이 개별 배출시설로 구분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6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활동자료 수집방법
- 기존 시설 : 사업장 전체 전력사용량
- 신설 시설 : 전력량계 측정값 또는 신설 시 설계 기준 (용량, 운전시간, 부하율 등) 적용하여 추정
- 폐쇄 시설 : 전력량계 측정값 또는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폐쇄 전 1년 이상 운전시간, 부하율 적용하여 추정
- 증설 시설 : 증설 시 설계 기준 (용량, 운전시간, 부하율 등) 적용하여 추정
- CDM 시설 : 전력량계 측정값 또는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폐쇄 전 1년 이상 운전시간, 부하율 적용하여 추정

○ 활동자료 결정방법
- 기존 시설 전력 사용량=WH×{(M1-M3)/[M1+M2+M3+M4+M5]}
- 증설 시설 전력사용량=WH×{(M3)/[M1+M2+M3+M4+M5]}
- 신설 시설 전력사용량=WH×{(M2)/[M1+M2+M3+M4+M5]}
- CDM 시설 전력 사용량=WH×{(M4)/[M1+M2+M3+M4+M5]}
- 폐쇄 시설 전력 사용량= WH×{(M5)/[M1+M2+M3+M4+M5]}

④ 모니터링 유형(C-1)에 따른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 모니터링 유형 결정
Ÿ A 사업장은 소성로와 보일러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중유를 1,000ℓ 구매하였다 (증빙자료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요금청구서), 구매한 중유는 전량 소성로와 보일러에 공급됨
Ÿ A 사업장의 측정기기는 배출시설별로 검・교정 등 정도검사를 받지 않았으며 측정값 이외에
활용 가능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고 가정함.

<A사업장 경계>

<활동자료 결정(C-1유형)을 위한 관련자료>


구분 내용
배출시설 소성로, 보일러 (중유는 전량 소성로 및 보일러에 공급)
중유 구매량(WH) 1,000 ℓ(요금 청구서상의 측정값)
배출시설별 활동자료 측정값(FL) 소성로 : 710ℓ, 보일러 : 315ℓ (사업장 자체 측정값)
※ 중유의 밀도 : 1.0(kg/ℓ)으로 가정

- 6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활동자료 결정방법
Ÿ 활동자료 측정값 : 소성로의 중유사용량은 710ℓ, 보일러의 중유사용량은 315ℓ이며, 합계는
1,025ℓ임
Ÿ 사업장 중유 구매량(1,000ℓ)을 활동자료 측정값 비율로 근사적으로 배분할 경우 다음과 같음
▷ 소성로의 중유사용량 = 692.683ℓ=1,000ℓ×[710ℓ/(710ℓ+ 315ℓ)]
▷ 보일러의 중유사용량= 307.317ℓ= 1,000ℓ×[315ℓ/(710ℓ+ 315ℓ)]
Ÿ 중유구매량(1,000ℓ)을 배출시설별 활동자료 측정값(710ℓ, 315ℓ) 비율을 근거로 활동자료를
배분하였으므로, 이 근사법(C-1유형) 사용은 비교적 정확도가 높고 상당히 합리적이라
판단되며, 검증단계에서도 객관적 증빙서류를 제출 가능하므로 배출시설의 활동자료(중유
사용량)는 각각 692.683ℓ, 307.317ℓ로 결정함

- 6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적용 오류 사례

아래 그림과 같이 “가” 업체에서 한전으로부터 수전 받아 “나” 업체에게 검교정을 이행하지 않는 자체


계량기 또는 배분방식을 통해 판매하는 경우, 모니터링 유형에 대한 분류방법이 “가”업체와 “나”업체가
어떻게 모니터링 유형을 분류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된다. [1개
사업장 내에 조직경계 제외 사업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석유화학, 전기전자, 철강업종 등의 주요 오류
사례]

해설

“가”업체에서 한전으로부터 수전 받아 “나”업체에 전력을 판매할 때 검교정을 이행하지 않는 자체 계량기


또는 배분방식을 통해 판매하는 경우 모니터링 유형은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음. “가”와 “나”업체가
거래하는 전력량계를 정도검사 하여 사용할 때에는 원칙적으로 “가” 업체의 경우 A-4유형, “나”업체의
경우 A-1유형으로 분류한다.

문제는 “가”와 “나”업체가 거래하는 전력량계를 정도검사하지 않고 거래하는 경우에는 거래용


계측기에 대한 정도검사 개선계획을 입력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도검사 이전까지는 한전으로부터 받은
계량 값에서 배분된 값으로 적용하는 모니터링 유형 C유형을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총 합산 전력사용량은 한전 전력량계 값과 일치하여야 하며 C 유형 적용을 위한 모든 배분


계측기 또는 관련정보가 파악되어 전력량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모든 계측기가 계측기 정보에 반영되어야
하고, 이들 계측기 또는 관련정보와 한전 전력량계(WH) 값을 토대로 배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야 한다

- 6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3-2 및 3-3의 (12)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에 대한 사례

① 공통(고정연소의 유연탄 사용량 수집방법 설명 작성 사례)

○ 유연탄 사용량 결정 = 신규구매량 + (기초재고량 – 기말재고량)


○ 유연탄 재고량 데이터 수집: 기초 및 기말에 생산부서에서 재고량 측정 데이터관리
○ 유연탄 사용량 점검 : 구매부서의 재고량에 의한 사용량 데이터와 생산부서의 측정기기에 의한 유연탄 사용량의 비교 검토 실시

② 석유화학(수소제조공정의 연료/납사/LNG 사용량 수집방법 설명 작성 사례)

○ 수소제조에 투입된 납사 사용량 및 가열기에 투입된 납사 사용량 활동자료 수집방법


1) 연료 사용량 = 가열기에 부착된 납사 사용량 측정기값
2) 수소제조용 공정배출 계산을 위한 납사 사용량 = 전체 구매량 – 가열기에 부착된 납사 사용량 값
LNG 사용량 결정 = 거래용 측정기기 유량(m3)을 온도와 압력을 고려하여 Nm3 활동자료로 산정한 값을 활동자료를 결정 또
는 도시가스 공급업체가 부착한 보정계를 토대로 사용량을 결정

③ 전기전자(식각공정의 F-gas 사용량 수집방법 설명 작성 사례)

○ 식각공정에 투입된 F 가스 사용량 활동자료 수집방법


1) F가스 사용량 = 봄베별 무게 * 봄베 개수 * (1-0.1)
2) N2O 가스 사용량 = 전전년도 12.31 기초재고+구매한 N2O 가스 ERP 구매량 값 - 전년도 12.31 기말재고

④ 광물(시멘트 산업의 클링커 생산량 수집방법 설명 작성 사례)

○ 클링커 생산량은 KS L 0006에 따라 계산하여 결정함.


○ 클링커 생산량(P)= 원료투입량/f + 미분탄량 * (1-0.02)/(100-클링커 강열감량9))
f= ft * [1/(1-Er)]
* f: 클링커 팩터계수, ft: 이론적인 클링커 팩터계수,
* Er: 공정상의 손실률로서, 냉각기의 집진손실, 클링커의 손실, 운송손실 및 포장손실을 포함(일반적으로 2% 수준으로 하는 것이 적절함)
* ft=[(100-클링커강열감량)*원료투입량]/[원료투입량*(100-원료강열감량)-Top cyclone 배기Gas 중 원료량 *(100-Top
cycline 배기Gas중 원료의 강열감량)]
○ 원료 투입량 및 배기Gas 중 원료량 : 생산부서에서 CFW (constant feed weigher)로 측정관리

⑤ 철강/금속(철강 및 금속 산업의 탄소전극봉 사용량 수집방법 설명 작성 사례)

○ 탄소전극봉의 사용량 결정 = 전극봉 표준단위 무게 * 사용개수


○ 전극봉 표준 단위 무게는 공급사에서 제공하는 거래명세서의 표준단위 무게 데이터를 사용
○ 사용개수는 구매부서에서 구매한 전극봉의 개수를 적용
○ 분기 1회 전극봉 표준단위 무게는 자체 측정기 후 비교하여 0.1% 이내일 경우 그 타당성을 인정

9) 강열감량 : 분석화학에서 시료의 일정량을 1,000∼1,200℃로 가열하여 시료 속의 휘발성 성분과 열 분해될 수 있는 성분이 제거되고 불연분만 남아
질량이 일정한 값이 될 때까지의 감량을 시료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양

- 6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l 활동자료 수집 관련 용어
-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제어시스템) : 하나의 중앙처리장치를 여러 개의 작은
중앙처리 장치로 나누어 기능별로 분리하고 용량이 작은 중앙처리 장치를 갖는 각각의 컴퓨터를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해 구성한 시스템. 즉 공정제어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각 플랜트에 알맞은
단위 서브 시스템으로 분리하고 각 소단위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상호 간
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것
- PIS(Process Information System, 공정 정보 시스템) : 공정의 운전, 환경에 관한 공통적이고
통합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RTDB(Real Time Database, 실시간 데이터 관리 시스템) : 데이터의 발생과 동시에 처리가 이루
어지는 것을 말함
-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 인사・재무・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인사정보시스템・재무정보시스템・생산관리시스템 등을 하나로 통합,
기업 내의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하는 경영혁신기법
- CT(Current Transformer, 계기용 변류기)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PT(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MOF(Metering Out-Fit, 계기용 변압・변류기) : 전기 계량을 목적으로 공장 등 대형 시설물에
설치되는 전력량 측정기. CT와 PT가 조합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변압, 변류기

- 6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4 불확도 결정

(목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신뢰도 관리와 제도 운영과정에서 배출량 산정과 관련된 방법론 및 방법 변경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함

l 적용 불확도 관련 지침 : 지침 제13조(불확도 관리 기준 및 방법) 및 [별표 9] 불확도 산정 절차 및


방법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불확도 관리 기준 및 방법 관련 지침 및 별표와 상세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 활동자료의 적용 불확도를 결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3조 (불확도 관리 기준 및 방법)
① 할당대상업체는 [별표 5]의 최소 산정등급(Tier) 및 [별표 6]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에서 규정하고있는 불확도 관리기준을 준수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서 불확도 산정의 세부적인 방법은 [별표 9]를 따른다.

[별표 9] 불확도 산정 절차 및 방법 (제13조 제2항 관련)


1. 일반사항
1) 불확도의 개념
계측에 의한 값이나 계산에 의한 값 등 어떠한 자료를 이용해 도출된 추정치는 계측기에 의한 불확실성, 계측 당시 환경 조건
이 표준 조건과 차이에 의한 불확실성, 산정식에 의한 불확실성 등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추정치는 미지의 참값과의 편차(bias)를 보이게 되며, 추정치가 반복 측정값인 경우는 평균값을 중심으로 무작위
(ramdom)로 분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편차와 분산을 유발하는 불확실성 요인을 정량화하여 불확도(Uncertainty)로
표현하고 있다.
2) 불확도 관리 목적 및 범위
불확도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신뢰도 관리와 제도 운영과정에서 배출량 산정과 관련된 방법론 및 방법 변경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목적으로 평가・관리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 매개변수의 함수로 표현되며 배출량 불확도는 활동자료와 배출계수 불확도를
합성하여 결정한다.
3) 불확도의 종류
불확도는 표준불확도, 확장불확도, 상대불확도, 합성불확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표준불확도는 반복 측정값의 표준
오차로서 표현된다. 확장불확도는 표준불확도에 신뢰구간을 특정짓는 포함인자를 곱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포함인자 값은
관측값이 어떤 신뢰구간을 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상대불확도는 불확도를 비교 가능한 값으로 환산한기 위해 불확도를 최적
추정값(평균)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배출원의 불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상대불확
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합성불확도는 여러 불확도 요인이 존재하는 경우 각 인자에 대한 불확도를 합성하여 결정한 불확도
이다.
일반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불확도 산정에서는 특정 확률분포(t-분포)에서 95% 신뢰수준의 포함인자를 합성불확도에 곱한
확장불확도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관리업체에서 보고해야 할 불확도는 확장불확도를 최적 추정값(평균)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표현한 상대확장불확도(%)이다.

- 6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2. 불확도 산정절차
일반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 불확도 산정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온실가스 측정 불확도 산정절차 중
2단계까지의 불확도를 산정하여 보고한다. 측정을 외부 기관에 의뢰하는 경우 측정값에 대한 불확도가 함께 제시되므로, 산정
절차의 2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불확도 산정 시 지침의 별표 9를 우선 적용하나 사업장 현황에 따라 아래 제시된 방법을 우선 순위로
적용 가능하다.
① 시험성적서상의 불확도
② 입증된 자료(측정기 성적서, 제작사 규격, 핸드북 등의 오차율, 정확도, 편차, 분해능 등 참고자료)를 이용할 경우 관련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해당수치를 √3으로 나눈 값
※ 산업체의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를 위한 불확도 산정관리 가이드(‘12.3, 한국에너지공단),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시설 모니터링 바로알기 안내서(’14.6, 한국환경공단) 측정기기 불확도 확인방법을 준용하여 산출
③ 지침의 불확도 : Tier 1 : 7.5%, Tier 2 : 5%, Tier 3 : 2.5%

<표-1> 온실가스 측정불확도 산정절차


3단계 4단계
1단계 2단계
(배출시설에 대한 (사업장 또는 업체에
(사전검토) (매개변수의 불확도 산정)
불확도 산정) 대한 불확도 산정)
∙ 배출시설별
∙ 활동자료, 배출계수
배출량의
∙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상대불확도를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불확도 산정
→ → 배출량에 대한 상대 → 합성하여
∙ 불확도 평가 체계 수립 ∙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사업장또는 업체의
확장불확도 또는
총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상대불확도 산정

1) 사전검토 (1단계)
할당대상업체 내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에 대하여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매개변수의 종류, 측정이 필요한 자료, 불확도를
발생시키는 요인 등을 파악하고 규명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배출량 산정 시 실측법을 활용할 경우 농도, 배출가스 유량
등이 불확도와 연관되는 자료이며, 계산법을 적용할 경우 활동자료와 발열량, 배출계수, 산화계수 등 각각의 변수들이
온실가스의 측정 불확도와 연관된 변수들이다. 불확도 산정을 위한 사전검토 단계에서 각 매개변수별 자료값의 취득방법
(예, 단일계측기, 다수계측기, 외부 시험기관 분석 등)을 검토하여 불확도 값을 구하기 위한 체계를 수립한다.

2) 불확도 산정(2단계)
불확도 산정은 신뢰구간에 의해 접근된다. 따라서 매개변수의 불확도는 보통 통계학적 방법으로 시료 수, 측정값 등을
통하여 신뢰구간과 오차범위 형태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관련한 불확도의 산정에서는
표본채취에 대한 확률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95%의 신뢰구간에서 불확도를 추정하는 것을 요구한다.
특정 매개변수와 관련된 반복측정에 의한 불확도의 추정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반복측정 외의 불확도 요인을 고려하
는 경우에는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불확도가 추정되어야 한다.
① 활동자료 표본수에 따른 확률분포값을 계산
아래 제시된 [참고자료]-'표본수(n)에 따른 포함인자(t)를 구하기 위한 t-분포표’를 활용하여 활동자료 등의 측정
횟수(표본횟수)에 따른 포함인자(t)를 결정한다. 이는 표본의 확률밀도함수가 t-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표본
으로부터 얻은 측정값이 특정 구간에 존재할 때의 포함인자(t)는 신뢰수준과 표본수(n)에 의해 결정된다.
② 측정값에 대한 통계량(표본 평균과 표본 표준편차), 표준불확도, 확장불확도 계산
표본평균( 
 )과 표본표준편차(s)를 「식-1」, 「식-2」에 따라 각각 구한다.




    ,
  
(식-1)

- 6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
     

  (식-2)

측정값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표준불확도(표준오차)는 평균( 


 )의 표준편차로서 ⌜식-3⌟에 따라
구한다.


   (식-3)


매개변수(p)의 확장불확도는 95% 신뢰수준에서의 포함인자(t)와 표본수(n), 표준편차(s)를 이용하여 식-4」에 의해


구한다.


   ×  (식-4)


 : 표본측정값의 평균
n : 표본채취(샘플링) 횟수
  : 개별 표본의 측정값
s : 표본측정값의 표준편차
  : 표본측정값의 표준불확도(표준오차)
  : 95% 신뢰수준에서의 확장불확도
 : t-분포표에 제시된 95% 신뢰수준에서의 포함인자

③ 각 매개변수에 대한 상대확장불확도(Ui) 계산
t-분포표에 제시된 95% 신뢰수준에서의 포함인자(t)와 표본수(n), 표본측정값의 표준편차(s)를 이용하여 「식-5」에
따라 매개변수의 상대확장불확도(Ur,p)를 구한다.


      ×  (식-5)


 : 매개변수 p의 상대확장불확도(%)
 : 매개변수 p의 확장불확도

 : 표본측정값의 평균
할 당 대 상 업 체 가 보 고 해 야 할 불 확 도 는 「식 -5」의 상 대 확 장 불 확 도 로 서 표 준 불 확 도 (식 -3), 확 장
불 확 도 (식 -4)를 단 계 별 로 산 정 한 다 음 에 결 정 해 야 한 다 . 다 양 한 불 확 도 의 요 인 이 존 재 하 는 경 우
각 요인에 대한 표준불확도를 산정하고 이를 합성하여 합성불확도를 산정한 후 확장불확도와
상대불확도를 산정한다.

3) 배출시설에 대한 불확도 산정(3단계)


2단계에서 산정된 매개변수의 상대불확도를 이용하여 배출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로 산정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활동자료와 배출계수를 곱하여 산정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매개변수 이외에 다른 매개변수가 배출량 산정에 관여하는 경우도 있다. 배출량이 여러 매개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는 경우 합성방법 중의 하나인 승산법에 따라 각 매개변수의 상대불확도를 합성하여 「식-4」에서 보는
것처럼 배출량의 불확도를 결정한다. 이 경우 개별 매개변수가 서로 독립적인 경우에 유효하다.

  
                 (식-4)

- 6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   : 배출량(E)의 상대확장불확도(%)
    : 활동자료(A)의 상대확장불확도(%)
    : 배출계수(B)의 상대확장불확도(%)
    : 매개변수 C의 상대확장불확도(%)
    : 매개변수 D의 상대확장불확도(%)

4) 사업장 또는 업체에 대한 불확도 산정(4단계)


사업장 혹은 할당대상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개별 배출원 혹은 배출시설의 합으로 표현되며, 합으로 표현되는 값에
대한 불확도는 가감법에 따라 개별 불확도를 합성하여 산정한다. 즉 3단계의 「식-4」에 따라 개별 배출원 혹은 배출시
설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불확도를 산정한 이후, 개별 배출원의 불확도로부터 사업장 혹은 할당대상업체의 총
배출량에 대한 불확도는 「식-5」에 의해 계산한다.


   ×       
       × 

(식-5)

     : 사업장/배출시설 총 배출량( )의 상대확장불확도(%)
  : 사업장/배출시설의 총 배출량(이산화탄소 환산 톤)
  :  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시설/배출활동(  )의 배출량(이산화탄소 환산 톤)
     :   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시설/배출활동(  )의 상대확장불확도(%)

[상세내용]
l 활동자료 불확도 산정 기준

알아두기
○ 활동자료 불확도 산정 방법
- 활동자료의 불확도는 활동자료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토대로 결정함
○ 매개변수 불확도 산정 방법
- 매개변수 불확도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매개변수 불확도는 [별표 13] 시료 채취 및 분석의 주기,
[별표 14] 시료채취 및 성분분석・시험기준에 따른 “분석 측정횟수에 따른 확률분포 값”을 토대로 결정함.
매개변수 불확도 평가는 [별표 9]를 토대로 할당대상업체가 개발한 불확도 산정 방법에 의해 불확도를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함
○ 불확도 산정 과정 및 불확도 평가 자료 제출
- 활동자료의 불확도를 제시한 경우에는 ‘불확도 산정방법 및 불확도 산정을 위한 객관적인 증거’자료가 첨부되어야 함

- 온실가스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는 기본적으로 측정기기의 교정성적서를 토대로 불확도 평가를


수행함. 즉, 당해 활동자료를 측정하는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활동자료의 불확도로 간주하며 이때
해당 측정기기는 반드시 그 신뢰성이 입증되어야 함
- 활동자료에 대한 불확도는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에 따른 산정등급(Tier)별로 관리하여야 함

- 6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배출시설 규모 산정등급별 활동자료 불확도 기준]


배출시설 규모 불확도 기준

5만톤 미만 활동자료 ±7.5% 이내

5만톤 이상 50만톤 미만인 활동자료 ±5.0% 이내

50만톤 이상 활동자료 ±2.5% 이내

-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활동자료의 불확도가 상기


산정등급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배출량
산정계획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의 (10), (17)항목에 첨부하여야 함
- 제13조 제1항과 같이 측정기기의 정확도에 대하여 공인된 시험 및 교정기관의
검사・교정・시험을 받는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 시험성적서에 측정기기의 불확도가
제시되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음. 또한, ISO 9001 등의 공인된 인증을 획득한 사업장의
관리절차에 따라 관리하는 측정기기는 관련 근거 서류 등을 활용할 수 있음
- 가스 유량과 같이 온도계, 압력계 및 유량계와 같은 다수의 측정기기를 토대로
활동자료가 산정되는 경우, 활동자료의 불확도는 개별 측정기기의 불확도값을 조합하여
산정하여야 함

l 활동자료 불확도 산정 접근방식


- 단일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 값이 구해지는 경우 :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활동자료의
불확도값으로 적용
- 다수의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 값이 구해지는 경우 : 개별 측정 기기의 불확도를
파악한 후, 관여된 모든 측정기기의 불확도 값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합성

l 측정기기의 불확도 확인 방법
- 측정기기의 교정 성적서, 검정 성적서
※ 사용 예시 : 국제공인교정기관에 의한 교정을 수행하는 경우

- 국내법에 의해 관리되는 법정계량기의 경우 최대 허용오차


※ 사용 예시 : 전력량계 또는 주유기의 경우

- 장비 제조사 사양서, 제품 소개자료 또는 매뉴얼에 제시된 정확도 또는 장비에 부착된 계기 등급


※ 사용 예시 : 측정기기 제조사가 요구하는 대로 주기적으로 측정기기가 관리되는 경우

- 자체적으로 주기적인 관리를 하는 경우, 자체 최대 허용오차 기준


※ 사용 예시 : 모니터링 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유량계(액체 또는 기체)에 대해 계측기 종류별 측정결과의범위를 고려하여
불확도 산출

- 공신력 있는 문헌 자료에 제시된 불확도 값

- 7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기타 객관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출처로부터의 불확도 값


- 타 불확도 관련 자료 수집이 어려워 자체적으로 불확도 개발하는 값
※ 사용 예시 : 지침 [별표 9] 불확도 산정 절차 및 방법에 따라 개발

l 교정성적서 또는 검정성적서를 토대로 한 측정기기의 불확도는 아래와 같은 접근방식을 통해


결정됨

① 교정 성적서를 확보하고 있거나 확보할 수 있는 경우


- 활동자료 결정 시, 활용된 측정기기의 성능 데이터 및 최초, 주기적인 교정 성적서를 수집
- 교정 주기 이내에 있는 성적서 중 가장 최근 성적서의 “표준불확도, 합성 불확도, 확장 불확도” 중
확장 불확도 적용
- 불확도가 불확도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
- 불확도 기준을 해당 측정기기가 초과한 경우, 초과한 만큼에 대해 오류평가 대상으로
분류하고 중대오류에 해당될 경우, 개선계획을 배출량 산정계획서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의 (10)항목에 첨부

② 교정 성적서가 없거나 확보할 수 없는 경우


- 현장에 부착된 측정기기에 불확도를 보수적으로 판정 할 수 있는 정보(예. 계기 등급 등)가
식별되는지 확인
- 불확도 정보가 식별되는 경우에는 측정기기의 제조 일자를 확인
- 제조 일자가 측정기기 교정주기 기준 이내에 있을 경우 측정 기기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불확도를 판정
- 현장에서 식별한 불확도가 불확도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
- 불확도 기준을 해당 측정기기가 초과한 경우, 초과한 부문 만큼에 대해 오류평가 대상으로
분류하고 중대오류에 해당될 경우, 개선계획을 배출량 산정계획서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8) 또는 (9)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등 관리계획’에 제출

③ 교정 성적서가 없고 검정 성적서만 있는 경우
- 활동자료 결정 시, 활용된 측정기기의 검정 성적서를 수집
- 검정성적서의 “합격, 불합격” 여부 확인(불합격 판정 측정기기의 경우, 사용 불가하므로 고려대상에서 제외)
- 검정 성적서에 “합격”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관련된 법률 등의 검정 합격기준을 해당 측정기기의
불확도로 확정
- 해당 측정기기의 검정 합격 판정 기준이 불확도 기준을 만족한지 확인
- 불확도 기준을 해당 측정기기가 초과한 경우, 초과한 부문 만큼에 대해 오류평가 대상으로
분류하고 중대오류에 해당될 경우, 개선계획을 배출량 산정계획서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8) 또는 (9)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등 관리계획’에 제출

- 7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계기등급별 불확도
1) 전력량계

계기등급 0.5급 1.0급 2.0급

불확도 ±0.5% ±1.0% ±2.0%

2) 가스미터(형식승인 받은 가스미터)

정확도 등급에 따른 형식승인과


유량(Q) 정확도 등급에 따른 사용오차
검정 및 재검정시 최대허용오차

정확도 등급 0.5 1 1.5 0.5 1 1.5

Qmin ≤ Q < Qt ±1.0 % ±2.0 % ±3.0 % ±2.0 % ±4.0 % ±6.0 %

Qt ≤ Q ≤ Qmax ±0.5 % ±1.0 % ±1.5 % ±1.0 % ±2.0 % ±3.0 %

비고 : 「계량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32조(사용오차)에 따라 가스미터의 사용오차는 검정시의 최대허용오차의 2배의 값으로 정하고 있다.
적용범위 : 「계량에 관한 법률」제14조 및 시행령 제10조에 따른 가스의 질량, 부피, 에너지 단위 등의 양을 측정하는 1,000m3/h 이하인 모든
종류의 가스미터에 대하여 적용함.

※ 오차를 사용한 불확도 산정방법(오차를  


 으로 나누어 불확도 산정)

정확도 등급에 따른 형식승인과 검정


유량(Q) 정확도 등급에 따른 사용오차
및 재검정시 최대허용오차

정확도 등급 0.5 1 1.5 0.5 1 1.5

불확도(Qmin ≤ Q < Qt) ±0.577% ±1.155% ±1.732% ±1.155% ±2.309% ±3.464%

불확도(Qt ≤ Q ≤ Qmax) ±0.289% ±0.577% ±0.866% ±0.577% ±1.155% ±1.732%

3) 유량계(주유기, LPG 등)

구분 정확도 등급

형식승인 여부 유효기간 만료 여부 0.3 0.5 1.0 1.5 2.5


Y Y 0.3% 0.5% 1.0% 1.5% 2.5%
Y N 0.2% 0.3% 0.6% 1.0% 1.5%

정확도 등급 적용 분야
0.3 배관의 측정시스템
본 표에서 상이하게 표시되지 않은 모든 측정시스템 특히,
- 자동차용 주유기(LPG 주유기 외)
- 낮은 점도의 액체에 대한 탱크로리의 측정시스템
0.5 - 선박용 탱크의 하역 및 철도 및 탱크로리에 대한 측정시스템
- 우유에 대한 측정시스템
- 선박 선적에 대한 측정시스템
- 항공기 급유에 대한 측정시스템

- 7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10℃ 이상의 온도에서 측정된 압력하에서 액화가스의 측정시스템(LPG 주유기 외) 자동차용


LPG 미터
0.3 또는 0.5 등급으로 액체에 대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측정시스템
1.0
- 액체온도가 –10℃이하거나 50℃이상, 또는
- 동적 점성이 1,000mPa・s보다 큰 경우, 또는
- 최대체적유량이 20L/h보다 작은 경우

액체 이산화탄소에 대한 측정시스템
1.5
- -10℃이하의 온도에서 측정된 압력하에서 액화가스에 대한(LPG 주유기 외) 측정시스템

2.5 -153℃이하 온도에서 액체의 측정시스템

○ 유량계(액체 또는 기체)에 대한 불확도


- 유량계가 내부규정에 따라 주기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아래 표를 이용하여 불확도를 산출
계측기 종류 측정결과의 범위 불확도
최대측정범위의 0~20% 3%
기체계량기
Rotor meter 최대측정범위의 20~100% 1.5%
액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5~100% 3%
최대측정범위의 0~20% 3%
기체계량기
Turbine meter 최대측정범위의 20~100% 1.5%
액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10~100% 0.3%
최대측정범위의 0~20% 6%
Bellows meter 기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20~100% 4%
Orfice meter 기체 및 액체유량계 최대측정범위의 30~100% 1.5%
Venturi meter 기체 및 액체유량계 최대측정범위의 20~100% 1.5%
Ultrasonic meter 기체 및 액체유량계 최대측정범위의 1~100% 0.5%
기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10%~100% 2%
Vartex meter
액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10%~100% 1.5%
Coriolis meter 기체 및 액체유량계 최대측정범위의 1~100% 1%
Ovalrad meter 액체계량기 최대측정범위의 5~100% 0.5%
Electronic Volume
0.95bar~11bar 및
Conversion Instrument 기체계량기 0.5%
-10 ℃~40 ℃인 경우
(EVCI)

○ 일정한 절차에 따라 제3자 또는 자체적으로 측정장비를 관리하는 경우 측정장비 관리 절차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측정장비를 관리하는 최대허용오차를 적용하여 불확도 추정

- 7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활동자료 수집방법에 따른 불확도 산정 방법 및 사례

① 기체연료의 활동자료 단위를 Nm3에서 kg으로 변환하여 수집하는 경우

- LNG 활동자료를 부피 단위(Nm3)가 아닌 중량(kg) 단위로 수집하도록 되어 있다면, 수집한 부피단위의 활동자료에 밀도를
곱해야 중량단위의 활동자료로 전환할 수 있음
- 제품 스펙으로 밀도값 및 불확도값이 제시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밀도를 할당대상업체에서 측정값을 적용해야
하는 C 그룹 배출시설인 경우 밀도에 대한 측정 불확도를 구하여야 함
- 이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활동자료 부피 단위 불확도와 활동자료 밀도의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가 다음과 같았음
활동자료 부피(Nm3) 측정 불확도 = 0.21%
활동자료 밀도 측정 불확도 = 3%
이 경우 LNG 활동자료 중량 단위 불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활동자료가 인벤토리 방법으로 결정되는 경우

- 재고량을 토대로 활동자료 결정 시 (예: B-C유 사용량 및 유연탄 사용량 등) : 각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조합함

  

  ×   

  : 사업장/배출시설의 총 활동자료 값(단위는   와 동일할 것)
   : 사업장/배출시설 총 활동자료(  )의 불확도 (%)
  : AT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자료  의 값(단위는   와 동일할 것)
   : AT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자료  의 측정기기 불확도(%)

③ 재고관리를 통해 활동자료가 수집되는 경우


- 현장에서 배출시설 B-C유 연간 사용량 활동자료를 결정하는데 A-3 유형을 사용하고 있다. 최소 4개 지점에서 활동자료가 수집
되고 있었으며 각각의 불확도는 교정 성적서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았음
(단, 측정기기는 모두 주기적인 정도검사(교정검사)를 받았다고 가정함)

- 7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이 경우 배출시설 활동자료의 불확도는 다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정확히 계산하여 그 결과 값을 제시하여야 함

불확도 계산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식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관류식 보일러의 LNG 활동자료 불확도는 1.50%가 됨
따라서, B-C유 연간 사용량의 불확도는 200,000 t/y ±0.6%가 됨

④ 단일배출시설에 여러 활동자료가 연계되는 경우

- A(LNG)연료와 B(LNG)연료와 C(LNG)연료를 이용하여 관류식 보일러를 운전하고 있음


이들의 측정값과 측정기의 불확도는 아래와 같음
유량계 측정결과 불확도
3
A 1,500 KNm 1.0%
3
B 2,000 KNm 0.9%
3
C 1,800 KNm 1.2%

- 위의 데이터를 이용해 관류식 보일러 활동자료 불확도는 다음의 계산방법에 따라 결정됨

불확도 계산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식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관류식 보일러의 LNG 활동자료 불확도는 0.6%가 됨


따라서, 관류식 보일러 LNG 활동자료의 불확도는 5,300KNm3 ±0.6%가 됨

- 7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⑤ 시험성적서를 통해 수집하는 경우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시방법 불확도 적용 예시별 해설


- 현재 지침과 가이드라인에서는 불확도 측정횟수가 다수일
경우에는 합성하여 상대확장불확도를 산출하여
적용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 다수 불확도 중 보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큰 값 적용 가능

- 시험성적서, 교정성적서 상의 불확도 적용


- 불확도 측정횟수가 다수일 경우, 지침 [별표9]의 상대
확장불확도 산정하여 보고

- 국외 성적서의 경우, 불확도 용어를 혼용


- 국외 성적서에서 WME는 Deviation 또는 Accuration
등의 % 단위를 쓰는 수치를 의미하므로, 표준불확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경우 오차율로 보아 표준불확도는
WME ÷ 
 으로 적용

- 7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⑥ 입증된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하는 경우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시방법 불확도 적용 예시별 해설


- 성적서, 핸드북, 제작사 사양서 등 자료의 오차율 활용
Case. 1-1) 사양서 등의 오차(%로 제시가 안 되었을 경우)
= (오차/최대측정범위)*100)/ 

Case. 1-2) 사양서 등의 오차율(%로 제시)

- 측정장비 분해능에 대한 불확도 = 오차율/ 


Case. 2-1) 분해능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을 경우


= ((분해능 값/최대측정범위)*100)/ 
 으로 적용

a : 장비의 최소 눈금 또는 측정한계
- 분해능이 ±로 표현되어 있으면 a = 분해능 Case. 2-2) 분해능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을 경우
= ((분해능 값x2)/최대측정범위)*100)/  
 으로 적용

- 분해능이 숫자로 표현되어 있으면 a = 분해능x2

⑦ 지침을 활용하여 수집하는 경우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시방법 불확도 적용 예시별 해설
- 시설규모 산정등급별로 활동자료 최대 허용 불확도 - 측정기기의 불확도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시설규모 산
적용 정등급별 활동자료 최대 허용 불확도 적용
예시) 측정기기의 검사별 참고자료

구분 불확도
확장불확도(U), 포함인자() 및 신뢰수준 약 95% 등이 제시된 경우
교정 표준불확도 (% ) = U / 단, U 가 %일 경우
표준불확도 (% ) = ((U/최대측정범위)×100)/ 단, U 가 %가 아닐 경우
최소눈금에 의한 불확도 산정방식으로 산정 가능(분해능)
검정
표준불확도 ((%) = ((최소눈금/2)/최대측정범위)*100)/ 

1. 자체 계산한 표준불확도 결과 준용
정도검사
2. 시설등급별 최대 불확도 적용
1. 자체 계산한 불확도 준용
자체검사 2. 표준기기의 불확도 준용
3. 시설등급별 최대 불확도 적용

- 7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⑧ 기타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시방법 불확도 적용 예시별 해설


- 교정성적서상의 불확도가 % 단위가 아닌 경우 - 별도의 불확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검정확인서)
표준불확도 (% ) = ((U/최대측정범위)×100)/ 최소눈금만으로 불확도 산정가능(분해능)
표준불확도 ((%)=((최소눈금/2)/최대측정범위)*100)/

- 교정성적서상의 측정불확도는 확장불확도(U)를 의미

- 주유기의 경우, 적용분야별 등급 불확도 세분화

- 배관 공급 가스 : 3%
- 봄베 가스(액화가스) : 0.6%
- 주유기(유류 L구매) : 0.3%
- 요소수(kg 구매) : 0.3%

- 78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2.5 최소 산정등급 결정

(목적) 배출활동별 시설 규모에 맞는 배출량 산정방법론을 선택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함

l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최소 산정등급 관련 지침 : 지침 제11조(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및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적용기준 관련 지침 및 별표의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에 적절한 산정등급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제11조 관련)
3. 시설규모의 결정 방법
1) 시설규모의 최초 결정
2) 시설규모의 최초 결정 이후
3)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시설규모
4. 배출활동별 및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
5. 최소 산정등급 적용 기준 변경 시
※ 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침 참조

알아두기
ㅇ 시설규모를 최초로 결정할 경우, 시설규모 결정 원칙
- 할당대상업체는 기준기간 기간 중 최근연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해당 배출시설의 최하위 산정등급(Tier)으로 계산하여 그 값에
따라 시설규모 결정
- 기준기간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기간 기간 중 최근연도 온실가스 배출량 보다 큰 경우, 기준기간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 규모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
ㅇ 시설규모를 최초 이후 결정할 경우, 시설규모와 산정등급이 변경 적용
-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시설규모 기준을 결정
-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 배출량이 큰 경우,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 배출량 규모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
ㅇ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시설규모를 결정할 경우, 신설 시설의 시설규모 결정 원칙
- 할당대상업체는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시설규모 결정 시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여 그 값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함
ㅇ 배출활동별 및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 준수
-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정당한 근거 및 사유를 설명
ㅇ 최소 산정등급 적용
- 가동률, 생산량, 매개변수, 산정방법론, 설비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가 변경된 경우에도 산정등급
최소 적용 기준 충족해야 함
- 변경이 발생한 경우, 변경된 내용이 포함된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을 신청해야 함

- 7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상세내용]
l 배출시설별 최소산정등급 및 적용산정등급
- 배출시설별 최소 산정등급은(Tier1〜3) 배출시설별 배출량 규모(A〜C그룹)에 따라 구분됨
Ÿ A 그룹 : 연간 5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Ÿ B 그룹 :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Ÿ C 그룹 : 연간 5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l 산정방법에 대한 산정등급(Tier) 분류체계

·
- Tier 1 : 활동자료, IPCC 기본 배출계수를 활용하여 배출량을 산정 하는 기본 방법론
- Tier 2 : Tier 1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 국가 고유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부분 시험 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 Tier 3 : Tier 1, 2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활동자료, 사업자가 사업장·배출시설 및 감축기술단위의 배출계수 등 상당부분
시험·분석을 통하여 개발하거나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은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론
- Tier 4 : 굴뚝자동측정기기 등 배출가스 연속측정방법을 활용한 배출량 산정방법론

l 시설규모 분류 기준 결정 방법

① 시설규모의 최초 결정
- 할당대상업체는 배출시설 규모 최초 결정 시 기준기간 기간 중 해당시설의 최근년도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결정한다. 단, 기준기간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기간 기간 중 최근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보다 큰 경우, 기준기간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함

② 시설규모의 최초 결정 이후
- 배출시설 규모 최초 결정 이후,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해당시설 온실
가스 배출량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한다. 단,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 배출량이 큰 경우,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
배출량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함

③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시설규모


- 할당대상업체는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시설규모 결정 시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여 그 값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함
※ 외부 전기 및 열(스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간접 배출을 제외한 모든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최소 적용기준은 온실가스
간접배출량을 제외한 직접배출량만을 기준으로 적용
※ 해당 배출시설에서 여러 종류의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연료별 사용에 따른 배출량의 총합으로 배출시설규모 및
산정등급(Tier)을 결정하여야 한다. 단, C그룹의 배출시설에서 초기가동・착화연료 등 소량으로 사용하는 보조연료의
배출량이 시설 총 배출량의 5% 미만일 경우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하는 배출시설
보조연료의 배출량 총합은 25,000 tCO2-eq미만이어야 함

l 배출활동별 및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

- 80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 온실가스 배출시설에 적용할 산정등급은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을 준수하여야 함
-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을 준수하지 못할 경우 정당한 근거 및
사유를 설명하여야 함

l 최소 산정등급 적용 기준 변경 시
- 가동률, 생산량, 매개변수, 산정방법론, 설비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배출시설의 배출량 규모가
변경된 경우에도 산정등급 최소 적용 기준이 충족되어야 함. 단, 변경에 대한 내용은 배출량 산
정계획에 포함하여야 함
- 계획기간 내 배출시설 및 배출활동의 산정등급(Tier)을 하위 단계로 변경할 경우 배출량 산정계
획의 변경요청 및 환경부장관의 배출량 산정계획변경 승인 후 적용 가능함

- 8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6 산정방법론 결정

(목적) 배출시설 규모 및 배출활동 종류에 따라 지침 내 산정방법론을 적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함

l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적용 산정식 관련 지침 : 지침 제11조(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및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산정방법론 관련 지침 및 별표의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에


적절한 산정방법론을 적용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1조(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① (생략)
② [별표 6]에서 세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은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③ 할당대상업체는 별표 6에 제시된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산정방법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생략)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제11조 관련)


※ 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침 참조

알아두기

ㅇ 할당대상업체의 자체 산정 방법론
- 지침에서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의 경우 적용하며 할당대상업체가 자체 산정 방법론을 개발하는 경우 환경부장관의
검토를 받은 후 사용가능여부를 통보받아서 사용하도록 함(지침 제11조제5항)

[상세내용]
l 배출시설별 산정 방법론의 산정식 선정
-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산정하는 방식을 결정하여 배출량
산정계획서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6)산정 방법론’에 지침 산정식 또는
자체개발 산정식 중 선택하여야 함
- 배출시설별 산정방식은 지침 [별표 6]을 토대로 지침 산정식을 선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지침에서
제시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배출량 산정계획에 자체개발 산정식을 선택한
후 산정방식을 제시하고 해당 방식의 사용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하여야 함(이 경우,
환경부장관으로부터 사용가능여부를 통보받아야 함)

- 82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에 따라 자체개발 산정식 선정하여 배출시설별 산정방식을 작성할 때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함
- 자체개발 산정식은 국제기준, 출처자료 등 객관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할당대상업체는 자체개발 산정식 선정을 위한 내부 검토 및 검증 절차를 수립하고 결과 기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 자체개발 산정식의 개발 근거 및 산정식과 관련된 정보(해당 배출시설의 공정에 대한 정보,
온실가스 배출 메카니즘, 산정 공식 등)를 작성하여 첨부하여야 함
- 자체개발 산정식을 과거에 적용한 경우에는 산정식을 적용하여 계산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정보도 함께 첨부하여야 함
- 지침에 산정식이 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개발 산정식을 선정한 경우에는 지침의
산정식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지침 산정식보다 정확하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하여야 함

- 8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외부판매

(목적) 할당대상업체가 조직경계 외부로 열(스팀)을 공급하는 공급자인 경우,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산정방법론을 설명하고, 정확하고
완전성 있는 배출계수를 개발・제공하기 위함

l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 개발 관련 지침 : 지침 제19조(열(스팀)의 외부 열 공급시


배출계수의 개발 활용), 제20조(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외부 열 공급시 배출계수의 개발・활용),
제21조(기타 부생연료 발생시설에서 외부 기타 부생연료 등의 공급시 배출계수의 개발・활용)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배출계수 개발 관련 지침 및 별표와 상세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에 적절한 배출계수를 설정하여야 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제19조(열(스팀)의 외부 열 공급시 배출계수의 개발 활용)


① 할당대상업체가 조직경계 외부로 열(스팀)을 공급하는 공급자로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별표 17]에 따라 열
공급에 따른 간접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열을 사용하는 관리업체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1. 열전용 생산시설에서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2. 열병합 생산시설에서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3. 외부수열(폐열 등)을 이용하여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② 외부로 열을 공급하는 할당대상업체가 제1항의 간접배출계수를 개발・제공하지 못할 경우에는 간접배출계수
개발・활용을 위한 활동자료,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열 생산량 등의 자료를 열을 사용하는 할당대상업체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제20조(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외부 열 공급시 배출계수의 개발・활용) (생략)
▪제21조(기타 부생연료 발생시설에서 외부 기타부생연료 등의 공급 시 배출계수의 개발・활용)
① 할당대상업체가 기타부생연료(부생가스, 부생오일, 재생유 등) 등의 발생시설에서 기타부생연료 등을 회수하여 조직경계
외부로 공급할 경우 기타부생연료의 고유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기타부생연료 등을 사용하는 할당대상업체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알아두기

ㅇ 다음의 세 가지 경우 공급하는 할당대상업체는 열(스팀)이나 기타 부생연료의 고유배출계수를 개발하여 공급받는


할당대상업체에 제공하도록 명시
① 열(스팀)의 외부 열 공급 시
- 열전용 생산시설에서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 열병합 생산시설에서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 외부수열(폐열 등)을 이용하여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②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외부 열 공급 시
-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생산한 열(스팀) 공급자
③ 기타 부생연료 등의 외부 공급 시
- 기타 부생연료 발생시설에서 회수한 기타 부생연료 공급자

- 84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상세내용]
① 열(스팀)의 고유배출계수 개발
- 열(스팀)의 고유배출계수 개발은 지침 [별표 17]의 열(스팀)의 외부 공급 시 간접배출계수 개발
방법에 따름

    


    

    : 열(스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간접배출계수(kgGHG/TJ)
     : 열(스팀)생산에 따른 해당 배출시설의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량(tGHG)
 : 열 생산량(TJ)
 : 배출 온실가스 (CO2, CH4, N2O)
1. 열전용 생산시설에서 열(스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열전용 생산시설의 배출량은 ‘별표 6’의 고정연소 활동의 산정 방법론에 따라 산출한다.
2. 열병합 발전시설에서 열(스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열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tGHG)
    : 열병합 발전 설비(CHP)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tGHG)
 : 열 생산량 (TJ)
 : 전기 생산량 (TJ)
  : 열생산 효율과 전력생산 효율의 비율 (0에서 1사이의 소수)
  : 열 생산효율 (자체데이터를 활용, 자료가 없는 경우 기본값 0.8)
  : 전기 생산효율 (자체데이터를 활용, 자료가 없는 경우 기본값 0.35)
 : 배출 온실가스 (CO2, CH4, N2O)

②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열(스팀)의 고유배출계수 개발


-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열(스팀)의 고유배출계수 개발은 지침 [별표 18]의 폐기물 소각에서
열회수를 통한 외부 열공급 시 간접 배출계수 개발방법에 따름.

    
    

   : 배출원별 열(스팀) 간접배출계수(kgGHG/TJ)
     : 「별표 6 – 35. 폐기물 소각」 산정방법에 따라 산정된 배출원별 배출량(kgGHG/yr)
 : 열 회수량(TJ/yr)
 : 배출 온실가스 (CO2, CH4, N2O)

③ 기타부생연료의 고유배출계수 개발
- 부생가스의 고유배출계수 개발은 지침 [별표 6]에서 ‘2. 고정연소 (기체연료)’의 Tier 3 배출계수
개발식에 따르며, 그에 따른 열량계수도 함께 부생가스를 공급받는 업체에게 제공하여야 함

- 8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료(  )의 CO2 배출계수(kgCO2/TJ-연료)


  : 연료(  )의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m3-연료)
   : 연료(  )의 CO2 환산계수(kgCO2/kg-연료)
  : 연료(  )의 밀도(g-연료/m3-연료, 판매자가 제공한 값을 우선 적용)
  : 연료(  ) 1몰에 포함된 가스성분(  )별 질량(g/mol)
  : 연료(  )의 가스성분(  )의 몰질량(g/mol)
  : 연료(  )의 가스성분(  )의 탄소 원자수(개)
   :        

- 부생오일 및 재생유의 고유배출계수 개발은 지침 [별표 6]에서 ‘3. 고정연소 (액체연료)’의 Tier 3
배출계수 개발식에 따르며, 그에 따른 열량계수도 함께 부생오일 및 재생유를 공급받는
업체에게 제공하여야 함


     ×  ×  × 

    : 연료(  )의 CO2 배출계수(kgCO2/TJ-연료)
 : 연료( )중 탄소의 질량 분율(0에서 1사이의 소수)
  : 연료(  )의 밀도(g-연료/L-연료)
  : 연료(  )의 열량계수(연료 순발열량, MJ/L-연료)
3.664 : CO2의 분자량(44.010)/C의 원자량(12.011)

- 86 -
제2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기준

2.8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자가소비

(목적) 명세서 상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활용을 위해, 분석대상 및 항목, 시료채취 항목, 계수 산정방법 등을 설명하고,
적절한 배출계수를 개발・활용하기 위함

l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관련 지침 : 지침 제16조(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 및 활용 등) 및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

l 할당대상업체는 아래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3) 관련 지침 및 별표의 내용을 토대로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 고유배출계수를 개발・적용하여야 함

l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세부적인 개발 방법 및 기준은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가이드라인’을


참조

[지침 및 별표 자료]

▪제16조(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 및 활용 등)
① 할당대상업체는 [별표 6] 서 제시하는 매개변수의 관리기준에 따라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등을 개발・활용하기 위하여
연료, 원료 및 부산물 등의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생략)
② (생략)
③ 할당대상업체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배출시설 단위 고유 배출계수 등을 개발하여 활용하려면 분석 대상 및 항목, 시료채취
방법, 시험・분석 방법, 계수의 산정식, 계수 개발계획 및 근거 등이 포함된 제24조에 따른 배출량 산정계획을 제출하여야 하며,
개발결과 및 근거자료 등은 다음연도 명세서에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 8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9 품질관리(QC) 및 품질보증(QA) 활동

(목적) 배출량 산정계획의 품질을 평가 및 유지하기 위한 일상적인 기술적 활동인 품질관리 활동과 배출량 산정 과정에서 직
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검토절차인 품질보증활동을 통하여 작성

l 품질관리(Quality Control)는 배출량 산정결과의 품질을 평가 및 유지하기 위한 일상적인


기술적 활동의 시스템이며, 이는 배출량 산정담당자에 의해 수행함. 품질관리는 다음 각 목의
목적을 위하여 설계·실시함

l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은 배출량 산정(명세서 작성 등)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검토 절차의 계획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독립적인 제3자에 의해
산정절차 수행 이후 완성된 배출량 산정결과(명세서 등)에 대한 검토가 수행된다. 검토는
측정가능한 목적(자료품질의 목적)이 만족되었는지 검증하고 주어진 과학적 지식 및
가용성이 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은 배출량 산정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 품질관리(QC)
활동의 유효성을 지원함.

[지침 및 별표 자료]

▪제23조(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①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대한 정확도 향상을 위해 측정기기 관리, 활동자료 수집, 배출량 산정,
불확도 관리, 정보보관 및 배출량 보고 등에 대한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② 할당대상업체는 자료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체제를 갖추는 등 배출량 산정의 품질보증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대한 세부내용은 별표 19에 따른다.

- 88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03
3.1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연계 일반사항

3.2 배출량 산정계획서 세부 작성 방법

3.3 배출량 산정계획 관련 문서 작성 방법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0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방법

3.1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연계 일반사항

3.1.1.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지침 연계 항목

l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다음의 9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과 지침과의 상관관계는
다음 표와 같음

배출량 산정계획서 구성항목 관련 지침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4조


1 할당대상업체 총괄정보
배출량 산정계획의 작성 등 [별표 20]

[조직경계]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0조
2 사업장 일반정보
조직경계 결정 방법 [별표 4]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8조 [별표 2]

[활동자료(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
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방법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2조
활동자료의 수집방법 [별표 8]

[활동자료(불확도)]
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방법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3조 불확도
관리 기준 및 방법 [별표 5, 6, 9]

[매개변수(산정등급 및 산정방법)]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1조 배출량
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별표 5, 6] 자체개발 산정식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1조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 및 적용기준 제2항 및 3항

[매개변수(간접배출계수)]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9조, 제20조,
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제21조 간접배출계수의 개발 방법 [별표 17, 18]
[활동자료]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별표41]

- 9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배출량 산정계획서 구성항목 관련 지침

[매개변수(고유배출계수)]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등 개발계획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16조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 및 활용 등 [별표 6, 13, 14]

[활동자료/매개변수(품질관리 및 보증)]
8 사업장별 품질관리 / 품질보증 활동계획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3조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별표 19]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 9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1.2. 배출량 산정계획서 및 명세서 연계 항목

- 9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1.3. NGMS 시스템 및 배출량 산정계획서 연계 항목

- 9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 9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 배출량 산정계획서 세부 작성방법

3.2.1. 할당대상업체 총괄 정보
[작성예시]

1 할당대상업체 총괄 정보

1-1. 업체(법인)에 대한 일반정보

2021~
(1) 법 인 명 한국발전 (2) 대표자 이순신 (3) 계획기간
2025

지정업종
(4) 법인등록번호 1 7 6 0 1 1 - 0 0 1 0 8 3 1 (5) 전기업(화력 발전업)
(대표업종)

법인
(6) 법인 소재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7) 02-6243-1200
전화번호

법인담당 법인
(8) 녹색경영팀 (9) 김절전 (10) 직 급 차장
부서 담당자
xxx
(11) 담당자 02-6243-1215 (12) 담당자 ×××- (13) 담당자 @xxx
전화번호 휴대폰 ××××-×××× 이메일 .com

(16) 중소기업
주요 생산제품 여부
(14) 전기, 스팀 (15) 상시 종업원수 1,500
또는 처리물질 할당대상업
(17) 체지정구분

∙ 사전검토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업체(법인) 정보가 자동 기입됨


∙ 추가검토 : 법인 담당자 정보 등 업체(법인) 정보의 변경사항 발생 시, 최근 자료를 기준으로 수정하여야 함

[작성방법]
l (1)~(2) 할당대상업체 일반정보 : 할당대상업체, 본사 법인명을 기입 (정식명칭)

l (3) 계획기간 : 해당 계획기간 기입 (예)2021~2025

l (4)~(7) 할당대상업체 일반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업체 정보 기입

l (5)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의한 당해 법인의 지정업종 기입. 업종 코드는 법인 내 사업장의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코드를 업체의 대표 업종 코드로 결정(참고 자료 : 사업자등록증, 공장등록증, 사업장
주요 생산품 등)

l (8)~(13) 법인 담당자 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법인 담당자 정보 기입

l (14) 주요 생산제품 또는 처리물질 : 사업장 업종분류에 따른 주요 생산제품을 기입

알아두기
○ 주요 생산제품 또는 처리물질은 인증지침 [별지 제10호 서식] [참고6] 제품명을 참고하여 작성

- 9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15) 상시 종업원 수, 법인의 상시종업원 수 기입

l (16) 중소기업여부 : “중소기업기본법 ”제 2조에 의한 중소기업이면 Y, 중소기입이 아니면 N을 기입

l (17) 할당대상업체 지정 기준에 대해 “업체” 또는 “사업장”으로 기입


[작성예시]

1-2. 사업장 목록
(1) (2) (3) (4) (5) (6) (7) (8)
사업장 사업자 사업장 사업장 소량배출사업장 할당대상여부
사업장명 사업장 업종
일련번호 등록번호 대표자 소재지 여부(Y/N) (Y/N)

001 본사
123-45- 이순신 화력 인천광역시 Y Y
67890 발전업 서구
충청북도
002 천안본부 123-45- 이순신 화력 천안시 N Y
67891 발전업 동남구

[작성방법]
l (1)~(6) 사업장 일반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사업장 정보 기입

알아두기

○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사업장은 서식 1-2. 사업장 목록과 2-1. 사업장에 대한 일반 정보만을 기입하고,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서식에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사업장임을 환경부장관이 확인 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기입한 후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알아두기
○ 할당대상사업장의 모든 정보는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기입되지만, 할당대상사업장이 새로 추가될
경우에는 목록에 행을 추가하여 해당 사업장의 정보를 할당대상업체가 추가적으로 기입

l (7) 소량배출사업장 여부 : 명세서에서 해당 사업장의 기준기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3,000


tCO2-eq 미만일 경우 자동으로 Y가 기입

l (8) 할당대상 여부 : 할당대상 사업장으로 지정된 사업장의 경우 자동으로 Y가 기입

알아두기
○ 기존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이후 사업장의 폐쇄 및 권리와 의무승계 등의 변동 이력이 발생할 경우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에 해당 내용을 반드시 기재해야 함

- 9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2. 사업장 일반정보

[작성예시]

2 사업장 일반정보

2-1.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

사업장
(1) 사업장명 한국발전 천안본부 (2) 대표자 이순신 (3) 002
일련번호

(4) 사업자등록번호 1 2 3 4 5 6 7 8 9 1 (5) 업 종 화력발전업

사업장
(6) 사업장 소재지 충청북도 천안시 동남구 (7) 041-111-2222
전화번호

사업장
(8) 사업장담당부서 에너지관리팀 (9) 장길산 (10) 직 급 과장
담당자

담당자 ×××- 담당자 igs@


(11) 담당자 전화번호 041-111-3333 (12) 휴대폰 ××××-×××× (13) 이메일 koreapower.com

주요 생산제품 상 시
(14) 또는 처리물질 전기 (15) 종업원 수 800

∙ 사전검토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사업장 정보가 자동 기입됨


∙ 추가검토 : 사업장 담당자 정보 등 사업장 정보의 변경사항 발생 시, 최근 자료를 기준으로 수정하여야 함

[작성방법]
l (1)~(7) 사업장 일반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사업장 정보 기입

알아두기

○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사업장은 서식 1-2. 사업장목록과 2-1. 사업장에 대한 일반 정보만을 기입하고, ‘9. 배출량 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서식에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사업장임을 환경부장관이 확인 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기입한 후
배출량 산정계획서 사전검토 요청

l (8)~(13) 사업장 담당자 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한 명세서의 담당자 정보 기입

l (14) 주요 생산제품 또는 처리물질 : 사업장 업종분류에 따른 주요 생산제품을 기입

알아두기

○ 주요 생산제품 또는 처리물질은 인증지침 [별지 제10호 서식] [참고6] 제품명을 참고하여 작성

l (15) 상시 종업원 수 : 상시 종업원 수를 기재

- 9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예시]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구분 사진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1) 출처 및 다운로드 날짜
- 구글어스 이용하여 2017.09.28. 다운로드

[작성방법]
l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 보고대상 사업장의 조직경계를 확인・증빙할 수 있도록 사업장의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의 3가지로 분류하여 제시
- 사진 : 보고대상 사업장의 조직경계 내 모든 건물이 확인 가능한 가장 최근의 위성사진 또는
전체사업장 사진

알아두기
○ 사진은 사업장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위성사진(예 : 구글 어스)을 다운받아 첨부하며 다운 받은 날짜 또는
사진촬영 날짜를 기재
○ 사진은 사업장 경계에 대한 별도의 식별표시(예 : 빨간선)가 되어 있거나 사진 상에 해당 사업장만 표현되며, 외부
업체와의 경계가 명확히 구분될 수 있도록 작성
○ 위성사진보다 더 정확하고 최신 날짜로 업데이트된 사진이 있을 경우 해당 사진 첨부 가능
○ 소량배출사업장의 경우에도 사진과 시설배치도는 모두 제출

- 시설배치도 : 보고대상 사업장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조직경계 내 기존시설, 신・증설 및 폐쇄 시설,


조직경계 제외 시설 등이 구분 가능하고 각 시설의 배치가 확인 가능한 시설배치도

- 9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조직경계에 포함되는 배출시설과 제외되는 배출시설이 명확히 식별되어야 함
○ 타 법인의 배출시설이 보고대상 사업장의 배출시설과 연관되어 조직경계에 포함해야 하는 경우
- 운영통제 범위 내에 있을 때
- 타 법인 배출시설과 연관된 배출시설의 활동자료의 합산 값만이 모니터링 되며, 타 법인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별도로
수집할 수 없을 때
○ 타 법인의 배출시설이 보고대상 사업장의 배출시설과 연관되어 있으나 조직경계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
- 운영통제 범위 밖의 배출시설이고 해당 배출시설에 대한 활동자료가 모니터링 되는 경우,
해당 배출시설은 보고대상 사업장의 조직경계에서 제외할 수 있음. 이 경우, 해당 사업장은 운영통제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근거자료를 제시하여야 함
○ 조직경계에서 포함 또는 제외되는 시설에 대한 법인 정보와 해당사유 등을 ‘(2)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에 자세히
기입하여야 함

- 공정도 : 온실가스 흐름 및 에너지 흐름이 포함된 보고대상 사업장의 대표 공정이 확인 가능한


공정도

알아두기
○ 소량배출사업장의 경우 : 사업장들의 배출활동 구성이 동일하다면 공정도 중에 대표로 1개에 대해서만 제시 가능
(예시) 소형건물형태 대리점, 통신기지국, 주유소 등
※ 단, 대표공정도를 제시한 소량배출사업장 외 소량배출사업장은 ‘(2)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작성 시 공정도를 미첨부하기
때문에 ‘대표공정도를 제시한 소량배출사업장(사업장명 기재)의 공정도 참조’ 등과 같은 사유를 기입하여야 함
○ 공정배출에 해당되는 배출시설의 공정은 식별되어야 하며, 공정배출이 발생되는 과정 (반응식 및 배출 프로세스 (투입 → 대기 중
배출 과정))이 구체적이고 투명하게 제시되어야 함

l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설명 : ‘(1) 조직경계 관련 서류’로 첨부된 3가지 서류(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 중 조직경계 내에서의 배출시설 구분과 관련하여 모두 기입
-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설명은 각 항목별로 누락없이 기입하여야 함(해당사항이 없는 경우
‘해당사항 없음’ 기입)

- 10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예시 1) 사진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구분 사진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1) 출처 및 다운로드 날짜 :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2017.09.28 다운로드


2) 기타 : 해당사항 없음

(예시 2) 시설배치도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구분 시설배치도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1) 조직경계에서 제외되는 시설 설명
- 외주협력업체 ‘A사’, ‘B사’는 본 사업장의 조직경계 내에 상주하고 있으나 해당 외주업체의 배출활동은 운영통제
범위 밖에 있고 외주업체 배출시설의 전력사용에 관한 활동자료가 모니터링 가능하므로 조직경계에서 제외함

- 10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 타 법인 배출시설의 조직경계 포함에 대한 설명


- 외주협력업체 ‘C사-지게차 운전’의 경우, 외주업체의 배출시설이 본 사업장의 운영통제 범위 내에 있고,
해당 시설의 활동자료를 별도로 수집할 수 없으므로 조직경계에 포함함
3) 신설 시설에 대한 설명
- 4호기의 경우, 2016년 6월에 신설된 시설로써 이전년도 명세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
4) 증설 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5) 폐쇄(부분폐쇄) 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6) CDM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7) 신규산정방법론 적용 배출시설 : 해당사항 없음
8) BM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9) 할당을 받지 않은 배출시설 및 추가 설명이 필요한 시설 : 해당사항 없음
10) 기타
- 폐기물 처리는 위탁처리하고 있음

(예시 3)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흐름도 포함)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구분 공정도(온실가스 및 에너지흐름도 포함)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1) 공정설명
- 위의 공정도 중 배연탈황설비에서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에 해당되는 공정배출이 발생
2) 온실가스 흐름
- 온실가스 흐름은 빨간색 화살표임
3) 에너지 흐름
- 에너지 흐름은 열(스팀)의 흐름 및 전력의 흐름을 참고
4)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10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적용 오류 사례

건물에 대한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의 시설배치도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기준이 없어 오류가
많이 발생함

해설

건물의 경우 시설배치도 상에 층별 현황 및 에너지 사용 설비 현황이 식별될 수 있도록 배치도 상에


표현하여야 함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1) 조직경계 관련 서류 구분 시설배치도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1) 조직경계에서 제외되는 시설 설명 : 해당사항 없음


2) 타 법인 배출시설의 조직경계 포함에 대한 설명
- 조직경계 내에 상주하고 있는 외부식당 및 우리은행의 LPG 사용량 및 전력사용량은 각 외부 식당 및 우리은
행에서 직접 부담함으로 조직경계에서 제외함
3) 신설 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4) 증설 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5) 폐쇄(부분폐쇄) 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6) CDM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7) 신규산정방법론 적용 배출시설 : 해당사항 없음
8) BM시설에 대한 설명 : 해당사항 없음
9) 할당을 받지 않은 배출시설 및 추가 설명이 필요한 시설 : 해당사항 없음
10) 기타
-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기타 소량배출시설로 이동연소 배출시설이 있음
- 바이오 매스 등의 연료 및 신재생에너지는 사용하고 있지 않음

- 10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 방법


3.2.3.1. 배출시설 정보 등
[작성예시]
3-1. 배출시설 정보 등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 등록번호
(1) 사업장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 목록’ 양식의 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 등록번호
기입(자동기입)

[작성예시]

3 배출시설별 모니터링(측정) 방법

3-1. 배출시설 정보 등
(2) (3) (4) (5) (6) (7) (8)
배출시설 정보 배출량 정보

배출시설 기존시설 배출량


시설규모
코드 배출 자체 소규모배출 시설 신・증설 시설 등
일련번호 분류기준 3개년 최근
[참고2] 시설명 시설명 시설여부(Y/N) 규모 연간 예상배출량
배출량 평균 연도

열병합 열병합
001 0 0 4 8 N C 600,000 600,000 580,000
발전시설 1호기
사업장
기타시설
004 0 0 9 8 단위전력사 N A 40,000 38,000 40,000
전력
용시설
화물
006 0 0 8 3 화물 자동차 N A 3,000 2,700 3,000
차량

007 0 1 0 6 연료전지 연료전지 N A 21,000 21,000

※ 계획기간 내에 할당받은 시설 및 사업장은 배출량 산정계획서상 삭제 불가


※ 계획기간 내에는 할당량 산정 단위 준수(단, 시설의 실제 매각, 양수도, 이전 등은 예외)

[작성방법]
l (2) 배출시설 일련번호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에 보고한 배출시설의 일련번호 기입

알아두기
○ 기존 배출시설에 대한 일련번호는 변경할 수 없으며 기존 배출시설이 폐쇄된 경우에도 해당 일련번호는 다시 적용할 수 없음

- 10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3) 배출시설 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에 보고한 배출시설에 대한 배출시설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및 소규모배출시설 여부(Y/N)를 기입
- 배출시설명 : 지침 제24조 및 [별지 제9호 서식] 활동자료 수집 및 매개변수 결정을 위한 배출량
산정계획 [참고2] 배출시설 코드에 따라 규정된 배출시설명과 일치되도록 기입
- 자체시설명 : 사업장내에서 자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시설명을 기입

알아두기
○ 배출시설명이 동일한 배출시설이 2개 이상인 경우 배출시설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자체시설명을 기입

- 소규모배출시설 여부 : 기준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00 tCO2-eq 미만일 경우


소규모 배출시설로 기입

l (4) 시설규모 :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 기입


- A 그룹 : 연간 5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 B 그룹 :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
- C 그룹 : 연간 5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

알아두기
○ 바이오매스를 사용하는 배출시설의 경우 바이오매스의 CO2 배출량을 제외한 배출량(CH4, N2O는 포함)을 기준으로 시설규모
결정
- (예시) 사용연료에 따른 배출시설 결정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시설분류 기준


구분 배출량 시설규모
tCO2 kgCH4 kgN2O tCO2-eq
(tCO2-eq)
화석연료 사용시설 49,955 4,452 89 50,077 50,077 B
바이오매스 사용시설 49,955 4,452 89 50,077 121 A

l (5) 시설규모 분류기준 배출량 : 지침 제11조 및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에 제시된 시설규모에 따라 자동 기입

- 10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기존시설(증설, 폐쇄(부분폐쇄) 포함)의 경우, ‘(6)기존시설 배출량(3개년 평균)’과 ‘(7)기존시설 배출량(최근연도)’ 중 큰
배출량을 ‘(5)시설등급 분류기준 배출량’으로 기입
○ 신설시설의 경우, (8)의 예상배출량이 (5)시설규모 분류기준 배출량에 기입
- 신설시설 예상배출량 결정 기준에 대해, ‘9.배출량 산정계획 기타 참고 사항’에 작성하고 산정 근거 첨부

<시설분류 기준 배출량 결정 방법>


기존시설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에 보고된 기존시설 배출량의 3개년 평균과 최근연도 값 중 최대값을 시설분류 기준배출량으로 결
정함

2020년 배출량이 4만톤, 2021년


시설규모 배출량이 7만톤,
3개년
2020년 2021년 2022년 최근연도 분류기준
평균 ▷ 2022년 배출량이 4만톤일 때 3개년
배출량
평균배출량이 5만톤으로 최근연도
4 0 ,0 0 0 7 0 ,0 0 0 4 0 ,0 0 0 5 0 ,0 0 0 4 0 ,0 0 0 5 0,0 0 0
배출량보다 크므로 시설규모 분류기준
배출량은 5만 톤임

∙ 최근연도 배출량이 3개년평균 배출량보다 큰 경우


2020년 배출량이 5만톤,
시설규모 2021년 배출량이 4만톤,
3개년
2020년 2021년 2022년 최근연도 분류기준 2022년 배출량이 6만톤일 때
평균 ▷ 배출량 최근연도 배출량이 3개년 평균 배출량
5 0 ,0 0 0 4 0 ,0 0 0 6 0 ,0 0 0 5 0 ,0 0 0 6 0 ,0 0 0 6 0,0 0 0 5만톤보다 크므로 시설규모 분류 기준
배출량은 6만 톤임

신설시설
- 제3차 계획기간(2021년 ~ 2025년) 중 신설시설에 대한 예상 배출량을 산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시설분류 기준 배출량으로 결
정함

- 신설시설 예상 배출량은 설계용량 기준 배출량과 연간 배출량 환산 값 중 최대값을 적용함

구분 시설 규모 결정 방법
설계용량 기준 시설의 설계 용량 × 부하율 × 예상 가동시간 × 유사시설10)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신설시설의 월별 배출량을 연 배출량으로 환산
배출량 기준
(명세서 보고된 배출량을 기준으로 환산)

10) 유사시설 : 할당대상업체, 할당대상업체의 사업장 또는 동일한 업종 내에서 동일한 목적과 유사한 설비를 가지고 유사한 역할 및 기능을 하는
시설

- 10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6) 3개년 평균 배출량 : 명세서에 보고된 해당 배출시설의 최근 3개년도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자동기입

l (7) 최근연도 배출량 : 최근연도 명세서에 보고된 배출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자동기입

l (8) 신・증설 시설 등 예상배출량 : 사업장 조직경계 내 배출시설의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가 발생하는
경우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조정 및 취소에 관한 지침」[별표1] 업체별 할당량 산정방법에 따른
예상배출량 직접 기입

[작성예시]

3-1. 배출시설 정보 등
(9) (10) (11)
신설・증설・폐쇄 등 정보
할당대상여부
이행연도
이행연도 이행연도 특이사항
-2년 -1년 발생일 할당대상 할당방식
변동유형 사유 BM사업장코드
(연월일) 여부(Y/N) (BM/GF/기타)
생산 제품 추가에
신설 2023-07-20 001 BM 적용 배출시설
따른 시설 도입

신설 할당을 받지 않은
N
(220801) 배출시설

증설
Y
(221203)

폐쇄
Y
(210612)

[작성방법]
l (9) 신설・증설・폐쇄 등 정보 :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를 구분하여 기입 (신설, 증설의 구분은
할당지침을 따름)

알아두기
○ 신설・증설의 구분은 할당지침 제10조(업체별 할당량 결정시안의 작성)을 따름
○ 배출시설을 분리/통합할 경우에는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을 통해 가능. 단, 분리 및 통합 시 해당 배출시설의
산정등급이 하위단계로 내려갈 수는 없음. 즉, C등급의 시설이 분리를 통해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가 B등급이 된다
하더라도 기존의 C등급의 Tier수준을 그대로 준용하여야 함
○ 폐쇄시설의 경우 계획기간 내 폐쇄시설이면 이력관리를 위해 3-1 항목의 작성이 필요하며, MP 제출 시 폐쇄된 시설의
경우에는 3-1∼5-2 항목을 모두 작성해야 함
○ 신설·증설·폐쇄 등 정보에 대해 3-1 항목에 작성한 경우, 명세서 ‘4-4. 배출시설 변동현황’과 일치하게 작성해야 함

- 이행연도 - N년 : 계획기간 내 발생한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중 이행연도 이전 정보를


구분하여 기입
- 이행연도 : 해당 이행연도에 발생한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 분리・통합 정보와
발생일(연월일), 사유를 구분하여 기입

- 10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발생일(연월일) :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 분리・통합이 발생한 시점을 기입 (실제 가동개시일


또는 가동중지일을 기준으로 발생일을 기입)
- 사유 : 신설, 증설, 폐쇄(부분폐쇄), 분리・통합이 발생한 사유 기입

알아두기

○ 배출시설 변동 유형(신설, 증설, 폐쇄, 분리/통합)에 따른 사유를 상세히 기입


(예시) 양수・합병, 매각・분리, 생산량 증감, 생산품목의 변동 등
- 할당대상업체 OO기업(주)의 비할당대상사업장 ㅇㅇ사업장에서 소각보일러(배출시설일련번호: 0000)를 양수함

l (10) 할당대상여부: 할당량 산정 방식을 구분하여 기입


- 할당대상여부(Y/N) : 해당 시설의 사전할당 여부 자동 기입
- 할당방식(BM/GF/기타) : 해당 시설의 사전할당 방식 자동 기입
- BM사업장코드 : BM할당을 위한 조직경계 구분을 위해 해당 시설의 BM 사업장 코드 자동
기입(신규 시설 신청 시 입력 필요)

알아두기
○ 계획기간 내에는 할당량 산정 단위 준수(단, 시설의 실제 매각, 양수도, 이전 등은 예외)해야하므로 서로 다른 할당방식을 가진
시설의 통합 보고 등 지양

l (11) 특이사항 : ① 신규 산정방법론 적용 배출시설, ② BM 적용 배출시설, ③ 할당을 받지 않은


배출시설(CDM 등록 배출시설 등), ④ 기타 추가설명이 필요한 배출시설은 기타 특이사항으로
구분하고, 해당 내용에 대한 설명을 기입함(계힉기간 이전연도에 발생한 배출시설 변동내역 등)

알아두기
○ 할당대상 여부가 Y가 아닌 경우, 특이사항 기입 필수

- 10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2.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작성예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3)변동정보
일련 코드 배출 자체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일련번호 시설규모 구분 변경일
번호 [참고2] 시설명 시설명
한국 열병합 열병합
001 1 2 3 4 5 6 7 8 9 0 001 0 0 4 8 C
발전 발전시설 1호기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전체 LNG 입고량은 한국가스공사에서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하며, 발행된 세금계산서는 구매팀에서 수집・관리함
2) F1/FL1 : 전체 LNG 입고량을 기준으로 자체 측정기기 사용량 비율을 토대로 각 시설별로 분배하여 열병합 1호기의 LNG 사용량을
결정함 (FL1=WH1-(FL2+FL3+FL4))
3) F2/WH2 : 전체 전력사용량은 한전에서 관리하는 측정기기(WH2)에 의해 측정되며 발급된 고지서의 사용량으로 월별 데이터를
결정하고 발행된 고지서는 운영팀 담당자가 수집・관리함
4) F2/FL5 : 전체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자체 전력량계 사용량 비율을 토대로 각 시설별로 분배하여 열병합 1호기의 전력 사용량을 결정함
(FL5=WH2-(FL6+FL7+FL8))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 목록’ 양식의 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기입

l (2) 배출시설 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에 보고한 배출시설의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및 시설규모 자동기입

l (3) 변동정보 : 기존 배출시설에 증설 또는 폐쇄 여부를 구분하여 변경일(가동일 기준)이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서 연동되어 자동으로 기입

- 10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해당 계획기간 내 폐쇄된 배출시설 또한 해당 서식을 입력하여야 함

l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 해당 배출시설에 대한 공정도(Block Diagram 등)를


활용하여 배출시설(공정)의 경계(boundary), 원료 및 연료, 제품의 흐름, 세부시설의 명칭,
활동자료에 대한 측정지점 (모니터링 포인트), 온실가스 이동 및 처리에 대한 측정지점의
위치와 기호 등을 표시한 모니터링 도식도를 첨부
-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및 ‘(9) 활동자료 정보’, ‘(10) 측정지점 기호’의 작성 정보는
모두 일치하여야 함

알아두기
○ 공정배출이 있을 경우에는 공정배출 흐름을 알 수 있도록 공정배출의 공정도를 별도 첨부하여야 함
○ 사업장단위 전력사용시설의 경우는 활동자료 측정지점을 표시하되, 내부 분배를 나타내는 간략한 전력계통도를 포함

l (12)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 활동자료 수집과 관련된 세금계산서, 구매전표, 회계장부
등 활동자료 근거를 입력하고 활동자료 관리방법과 관련된 측정지점, 측정방법 등의 특이사항 또는
세부적인 설명을 기입

알아두기
○ ‘(12)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은 ‘(9) 활동자료 정보’의 활동자료별로 작성하여야 함
- (비고) 소규모배출시설은 시설군으로 묶어서 보고한 사유를 포함하여 기입
○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은 본 가이드라인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를 참고

적용 오류 사례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입력되는 모니터링 도식도는 해당 배출시설의 경계만을


나타내어야 하나 모든 배출시설의 도식도를 하나로 나타내고 별도의 식별표시를 하지 않는 오류가 많이
발생되었다

해설

모니터링 도식도는 해당 배출시설의 경계만을 나타내어야 하며, 연계특성상 여러배출시설을 하나의


도식도에 표현할 경우 해당 배출시설의 경계를 별도로 식별 표시 하여야 한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3)변동정보

일련 코드 배출 자체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일련번호 시설규모 구분 변경일
번호 [참고2] 시설명 시설명

공정
001 00 산업 5 1 3 8 1 0 0 0 1 0 002 0 0 0 5 PM설비 A
연소시설

- 11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한국가스공사에서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토대로 활동자료 수집


2) F1/(FL)2 : 한국가스공사에서 구매하는 LNG 사용량을 기준으로 자체 가스유량계 사용비율로 분배 보정하여 활동자료 수집
3) F3/WH2 : 한전 고지서를 토대로 활동자료 수집
4) F3/(FL)3 : 한전 고지서를 기준으로 PM공정의 자체 전력량계의 사용비율로 분배 보정하여 활동자료 수집
5) F1/WH9 : 스팀유량계를 토대로 외부 스팀공급업체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있으며, 해당 데이터를 활동자료로 수집

[작성예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6) (7) (8) (9) (10) (11)

코드 배출 세부시설 활동자료 정보
[참고1] 활동명 일련 온실가스 배출 측정지점 모니터링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료흐
번호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기호 유형
(unit) 코드명 름

기체연료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unit 1 사업장전체 굴뚝으로 배출 F1 WH1 A-1
연소 (LNG) (LNG)

기체연료 천연가스 천연가스


1 0 0 2 unit 2 열병합1호기 굴뚝으로 배출 F2 FL1 C-3
연소 (LNG) (LNG)

간접배출 열병합 및
6 0 0 1 unit 3 간접배출 전력 전력 F2 WH2 A-1
(외부전기사용) 기타시설

간접배출
6 0 0 1 unit 2 열병합1호기 간접배출 전력 전력 F2 FL5 C-3
(외부전기사용)

[작성방법]
l (5) 배출활동 정보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에 보고한 배출시설에 대한 배출활동 코드,
배출활동명 기입

- 11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환경부고시 2018-73호) 개정에 따른 배출활동코드 변경 사항

오존파괴물질(ODS)의 오존파괴물질(ODS)의
기타 온실가스 배출 기타 온실가스 사용
구분 대체물질 사용 대체물질 사용(전기설비)
(7001) (7002)
(4029) (4030)

・ 제품 제작자 및 사용자 ・ 전기설비 제품 제작자 <산정방법 미제시 활동> -


・ 전기설비 제작자 및 사용자 ・ 전기설비 사용자 ・ 용접설비에 의한 CO2 배
를 제외한 모든 ODS 사용 출(CO2 용접, 에틸렌 절
단, 아세틸렌 용접, LPG
용접 등)
<보고대상물질> ・ GIS(가스절연개폐장치) ・ 대기오염방지시설의 탄화 ・ 치환용 CO2 구입량
・ 냉각・냉동설비에서 냉매 수소류 등의 사용으로 인 ・ 정수시설 pH 조절용 CO2
한 CO2배출
・ 소화설비에서 냉매 ・ 자체 생산하고 소내 사용
・ 동제련 공정 중 환원제 한 전력 및 스팀 중 해당
・ 소화제의 충진량
(기기 사용에 따른 재충진 ・ 전극봉, 석회석 등의 사용 전력 및 스팀 생산으로 인
량 포함) 으로 인한 공정배출 한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
・ PCB 생산 공정에서 CO2 너지사용량이 제외된 전력
사용에 따른 배출 및 스팀
・ 의료용 가스
<사용목적> <산정방법 제시 활동>
・ 전자산업에서 초순수의 비
・ 소화설비 충전 ・ 요소수 사용에 따른 저항 및 pH 조절을 위한
보고 대상 ・ 차량 냉매 등 온실가스 배출 CO2 가스 사용(단, 활동
・ 아세틸렌 사용에 따른 온 자료 수집시 기타 온실가
실가스 배출 스 사용과 기타 온실가스
・ 황연제거설비의 탄화수소 배출의 구분이 불가할 경
류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우, 모두 기타 온실가스
배출 배출로 보고)
・ 식각・증착 시설에서의
<사용시설> N2O 등 non-FC 가스
・ 소화설비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

・ 냉매사용시설
・ 전자산업 생산공정에서 클
(차량 포함) 등
리닝, 세정가스 등 CO2
가스 사용
(단, 활동자료 수집시 기
타 온실가스 사용과 기타
온실가스 배출의 구분이
불가할 경우, 모두 기타
온실가스 배출로 보고)

・ 명세서 5-13(오존파괴물 ・ 제품제작자(전기설비)는


질의 대체물질 등 배출량 명세서 5-13(오존파괴물
특이 현황)에 따라 사용량을 보 질의 대체물질 등 배출량
사항 고하되, 온실가스 총 배출 현황)에 따라 사용량을 보
량에서는 합산하지 않음 고하되, 온실가스 총 배출
량에서는 합산하지 않음

배출량 포함하지 않음 전기설비 사용자 중 포함 포함하지 않음


포함 여부 전기사업자는 전기설비
사용에 따른 배출량 보고

- 11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6) 일련번호 : 세부시설 및 장치(unit)에 대한 일련번호를 unit 1, unit 2 순으로 부여하여 기입

l (7) 세부시설 및 장치 : 해당 배출시설(공정) 내에 있는 세부 장치・기계・설비(unit)에 대한 리스트를 기입

l (8) 온실가스 배출지점 및 설명 : 해당 배출시설에서 온실가스가 실제 배출되는 배출구(굴뚝), 온실


가스 이동지점, 온실가스 처리지점, 배출형태 등을 기입

알아두기

○ 소규모배출시설은 시설군으로 보고할 배출시설 대수를 포함하여 기입하고 ‘(12)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항목에 구체적인 사유 기입
- (예시) 00사업장 내 사용하는 비상발전기(5대)는 배출활동 및 활동자료가 동일하여 시설군으로 보고하였음

l (9) 활동자료 정보 : 각 세부장치(unit)별로 연료・원료・제품 등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


흐름(activity stream)을 구분하여 종류와 기호를 기입
- 활동자료 코드명 : 최근연도에 제출된 명세서의 해당 배출활동의 활동자료 코드명 기입
- 활동자료명 : 실제 사용하고 있는 활동자료명 기입

알아두기

○ 활동자료 코드 및 활동자료 코드명은 인증지침 [별지 제10호 서식] [참고4] 활동자료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

- 활동자료 흐름(activity stream) : 연료의 경우 ‘F’(Fuel), 원료의 경우 ‘R’(Raw material), 제품의


경우 ‘P’(Product)로 기호를 구분하여 기입하고 온실가스 이동의 경우 'T'(Transfer)로, 온실가스
처리의 경우 'TM'(Treatment)으로 기호를 구분하여 활동자료 흐름을 기입

알아두기
○ 하나의 배출시설에 동일한 활동자료 흐름의 기호가 2개 이상인 경우 기호 뒤에 수를 붙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함
- (예시) 천연가스(F1), 경유(F2), 부생연료 1호(F3)
- 온실가스가 타 배출시설 또는 사업장 조직경계 밖으로 이동의 경우 ‘T’(Transfer)로 기재하며 온실가스가 처리되어 배출
되는 경우 ‘TM’(Treatment)로 기재

l (10) 측정지점 기호 : 세부시설별, 활동자료 흐름별 활동자료에 대한 측정지점에 설치된


측정기기의 기호를 기입

- 11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활동자료 수집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
모니터링 유형 세부 내용

∙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배출시설의


A유형 활동자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구매량 기반
∙ 연료나 원료 공급자가 상거래를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 )와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모니터링 방법]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를 사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

B유형 ∙ 구매량 기반 측정기기와 무관하게 배출시설 활동자료를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교정된 측정기로 하는 방법
직접계량에 따른 ∙ 배출시설별로 주기적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 )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모니터링 방법]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

C 유형 ∙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 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 활동자료에서 타당한


배분방식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
[근사법에 따른
∙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단가, 보증된 배출시설 설계 사양 등 정부가 인정하는 방법을
모니터링 유형]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

D유형
∙ D유형은 A∼C 유형 이외 기타 유형을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기타 모니터링 유형]

○ 지침 [별표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에 따라 모니터링 유형이 구분될 수 있도록 측정기기 기호를 기입

<측정기기의 기호 및 종류 >
기호 세부 내용

상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량을 결정하는 법정계량에 사용하는 측정기기로서 계량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법정계량기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로서, 국가표준기본법 제14조에 따른 시험기관, 교정기관,


검사기관에 의하여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받는 측정기기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이나,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측정기기

○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측정기기는 괄호 안에 FL이라 표현 (예시) (FL)


○ 하나의 사업장에 동일한 측정기기의 기호가 2개 이상인 경우 기호 뒤에 수를 붙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함
(예시) A-1유형: WH1, B유형: FL1, FL2, C유형: (FL)1, (FL)2
○ 측정기기 미설치인 경우 측정지점 기호 항목에 “미설치”라 필수 명기해야 함

l (11) 모니터링 유형 :지침 제12조 및 [별표 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에 명시된 모니터링 유형을
참고하여 (9)의 활동자료 정보 별로 유형의 기호를 기입
(예시) A-1, A-2, A-3, A-4, B, C-1, C-2, C-3, C-4, C-5, C-6 등

- 11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알아두기
○ 재생에너지 사용(RE100)인 경우 활동자료 수집방법
- 재생에너지 사용(RE100)은 기존 전력사용시설에서 배출활동을 추가하여 3-2장을 작성하거나, 신설시설(재생에너지
사용(RE100)시설)로 작성할 수 있음.
- 에너지공단에서 발급한 재생에너지 확인서를 4-1장에 첨부하고 모니터링 유형은 A-1유형으로 적용

알아두기
○ 건물 중 다수의 소규모 임차 사무실 활동자료
- 활동자료 수집 방법 중 소규모 임차 사무실 등 온실가스 배출량이 소량인 사무실의 경우에는 반드시 측정 방법에 의해
활동자료를 수집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
- 건물면적 또는 건물 인원수에 의한 할당배분 방식 등의 C유형 또는 D유형 등을 사용하여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음. 다만,
D유형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자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할당대상업체의 전체 배출량 중요성 평가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검증 단계에서 중요하게 다룰 수 있음
- 관리비고지서를 통해 활동자료 수집 시 A-1유형이 아닌 C유형 혹은 D유형이 적절하며, C 유형 적용 시 A-1 계량기에 대한
정보 기입이 필요함

알아두기
○ 다수의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유형으로 법정계량기 값을 기반으로 분배하는 C유형을 쓰는 배출시설의 경우, WH계측기와
자체(FL)계측기가 모두 나타나도록 ‘3-2.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측정 지점 등’에 모니터링 도식도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여야 함

○ 위의 모니터링 도식도를 나타내는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입력은 다음과 같이 두가지 유형으로 입력할 수 있음.
분배하는 법정계량기와 해당 배출시설의 분배의 기준이 되는 모니터링 포인트의 정보가 반드시 기입되어야 함

[유형1]
(9) (10) (11)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링
측정지점 기호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유형
0055 도시가스(LNG) F1 WH1 A-1
0055 도시가스(LNG) F1 (FL)1 C-1
0055 도시가스(LNG) F1 (FL)2 C-1
0055 도시가스(LNG) F1 (FL)3 C-1
0055 도시가스(LNG) F1 (FL)4 C-1
[유형2]
(9) (10) (11)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링
측정지점 기호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유형
0055 도시가스(LNG) F1 WH1 A-1
0055 도시가스(LNG) F1 (FL)4 C-1

- 11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다수의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유형으로 법정계량기 값을 기반으로 분배하는 C유형을 쓰는 배출시설 중, WH계측기와
자체(FL)계측기 및 측정기기가 미설치된 경우, WH계측기, (FL)계측기 및 미설치가 모두 나타나도록 “3-2.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측정 지점 등”에 모니터링 도식도를 아래와 같이 제시하여야 함.

○ 위의 모니터링 도식도를 나타내는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입력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입력할 수 있음.
분배하는 법정계량기와 해당 배출시설의 분배의 기준이 되는 모니터링 포인트의 정보가 반드시 기입되어야 함

[유형1]
(9) (10) (11)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링
측정지점 기호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유형

0055 도시가스(LNG) F1 WH1 A-1


0055 도시가스(LNG) F1 (FL)1 C-2
0055 도시가스(LNG) F1 미설치1 C-2
0055 도시가스(LNG) F1 미설치2 C-2
0055 도시가스(LNG) F1 (FL)2 C-2
0055 도시가스(LNG) F1 미설치3 C-2
[유형2]
(9) (10) (11)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링
측정지점 기호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유형

0055 도시가스(LNG) F1 WH1 A-1


0055 도시가스(LNG) F1 미설치1 C-2

- 11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알아두기
○ 기상폐기물 소각량 산정방법
- 기상폐기물 소각량 산정시 각 사업장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소각량을 산정하고
소각량 산정방법에 맞게 3-2장을 작성하도록 함.((4)~(12)항목에 산정방법에 맞게 설명 필요)

구분 Tier1 Tier2 Tier3


측정불확도 ±7.5 ±5.0 ±2.5
성상분석주기 매월 1회 매월 1회 매월 1회

○ (기상폐기물 소각량 직접 측정) 측정기기로 측정된 데이터로 연간 총 소각량 산정

소각량 = 기상폐기물 농도 × 유량 × 가동시간

○ (THC 분석) ① 전단에서 측정한 경우, 폐가스소각시설 전단에서 측정한 값,


② 후단에서만 측정한 경우, 처리효율을 고려하여 역산

소각량 = THC농도 × 유량 × 가동시간

○ (설계 값) 설계사양서에 명시되어 있는 인입풍량(Nm3/hr), 인입THC 농도, 가동시간을 적용하여 산정

소각량 = 인입풍량 × 인입THC농도 × 가동시간

○ (물질수지) 공정의 원료투입량, 제품생산량 및 그 밖의 부산물 생산량이 측정 가능한 경우 물질수지 방식으로 산정

소각량 = 원료투입량 + 부원료투입량 – 제품생산량 - 부산물발생량

- 11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작성예시]

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일련번호 시설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배출시설
001 0 0 4 8 열병합 발전시설 열병합 1호기 C
정보

* 지침 제9조에 따른 소규모배출시설은 배출량 산정계획서 서식 4-1, 4-2, 4-3 작성 생략 가능함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 목록’의 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 등록번호 자동으로 기입

l (2) 배출시설 정보 : ‘3-1 배출시설 정보 등’ 서식의 배출시설 일련번호, 시설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여부를 자동으로 기입

[작성예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3) (4) (5) (6) (7) (8) (9) (10)
활동자료 정보 측정기기 현황
측정기기 일련번호 측정범위
활동자료 활동 활동자 모니터링 측정지점 측정기기 첨부
측정기기 측정기기
코드명 자료명 료흐름 유형 기호 이름 최소 최대 단위
고유번호 자체관리번호
천연가스 천연가스 도시가스
F1 A-1 WH1 가스미터 76075238 NG1000 0 300 ㎥/h
(LNG) (LNG) 고지서
천연가스 천연가스 한국발전_
F1 C-1 (FL)1 가스미터 AT025241 NG1001 0 300 ㎥/h
(LNG) (LNG) 열병합
한국전력
전력 전력 F2 A-1 WH2 전력량계 1127001 ET1000 0 100 kWh
고지서
한국발전_
전력 전력 F2 C-1 (FL)2 전력량계 20311 ET1001 0 100 kWh
열병합

[작성방법]
l (3) 활동자료 정보 : : 「3-2」양식의 세부시설 및 장치(Unit), 활동자료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 흐름을 기입

l (4) 모니터링 유형 : 「3-2」양식의 각 측정지점(모니터링 포인트)별로 구분하여 해당 유형의 기호


기입
(예시) A-1, A-2, A-3, A-4, B, C-1, C-2, C-3, C-4, C-5, C-6 등

- 11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5) 측정지점 기호 ::「3-2」양식의 세부시설별, 활동자료 흐름별 활동자료에 대한 측정지점을 기입

l (6) 측정기기 이름 : (3)활동자료 정보의 활동자료 흐름에 따라 해당 활동자료를 측정하는


측정기기 이름을 기입 (단, 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미설치’라 기입하고 (7)
측정기기 고유번호 ~ (18 )측정값의 보정여부를 작성하지 않음)
- 측정기기 미설치 경우를 제외하고 해당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을 위한 모든 측정기기를
작성해야 하며, 측정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6)측정기기 이름에서 ‘미설치’를 선택한 후
측정기기 미설치 사유를 기재하고 세금계산서, 거래명세서 등을 ‘(17)첨부’에 등록하며
‘(7)측정기기 고유번호~(9)측정범위’, ‘(11)형식승인 유무~(18)측정값의 보정여부’ 항목은
작성하지 않음

알아두기
○ 법정계량기(WH)에 해당하는 아래 계측기의 경우, (6)측정기기 이름과 (7)측정기기 고유번호 항목만을 입력하고
법정계량기(WH)임을 증빙하는 문서(예: 요금고지서, 공급계약서 등)를 첨부하는 것으로 간소화 함. 단, 측정기기 고유번호
확인이 가능한 증빙자료를 첨부・제출하여야 함. 그 외 계량기는 모든 정보를 입력하여야 함
(주유기는 (6)측정기기 이름 항목까지 작성)
1. 한전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전력량계
2. 한국가스공사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도시가스 계량기
3. 한국도시가스협회에서 등록된 공급업체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도시가스계량기
4. 주유기(석유제품 판매업자 법정계량기)
○ 모니터링 유형 C형을 사용하는 배출시설의 거래용 측정기기(A-1)에 대한 (11)~(16) 측정기기의 검사 등 및 적용 불확도 정보
생략이 적용되지 않으며 모든 정보를 입력해야 함. 이는 자체 측정기기의 활동자료 결정을 위한 기준이 되는 측정기기 이므로
정도검사와 관련된 정보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함
<A-1 유형 도식도>

○ 단, 열(스팀)계량기의 경우는 측정값이 온도, 압력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으므로 측정기기 정보를 입력하여야 함

l (7), (8) 측정기기 일련번호 : (6)측정기기 이름의 측정기기별로 측정기기 고유번호, 자체 관리번호 등
일련번호를 기입
- 측정기기 고유번호 : 제품 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기기번호
- 측정기기 자체관리번호 : 할당대상업체에서 부여한 관리번호

- 11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활동자료를 DCS(분산제어시스템), PIS(공정정보시스템), ERP(전사적자원관리) 등에서 수집할 경우에는 측정기기 고유번호와 식별번
호가 연동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통도를 ‘4-1.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의 (10) 항목에 첨부

l (9) 측정범위 : 측정기기 사양서 등을 통해 측정기기의 최소/최대 범위와 주요 사용 단위를 기입


- 측정기기의 측정범위는 기기 명판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 또는 사양서 정보 등을 통해 측정기기의
최소/최대 범위와 주요 사용 단위를 기입

l (10) 첨부 : (6)측정기기 이름, (7)측정기기 고유번호, (8)측정기기 자체관리번호, (9)측정범위에


대한 근거자료 첨부
- (6)~(9)에 대한 측정기기 현황 근거자료는 계측기 사진 또는 사양서를 스캔해서 업로드

알아두기

○ 증빙할 내용 부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첨부 문서의 내용에 색인하고 증빙과 관련된 항목을 표시하여야 함
○ 측정기기의 이름, 일련번호, 측정범위는 계측기 사양서, 계측기 매뉴얼, Spec 명판 등을 통해 확인 가능

[작성예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11) (12) (13) (14) (15) (16) (17) (18)
적용 불확도
측정기기의 검사 등
(+/- %)
측정값의
최근 첨부
형식승인 정도검사 최근 일반시험 직접 정도 보정여부
정도검사일 정도검사 주기
유무 유무 등 실시일 검사 등 검사
(연월일)
한국발전_
Y Y 2019.2.1 1회(5년) 0.3 Y
열병합
한국발전_
Y Y 2020.3.1 1회(5년) 0.3 Y
열병합
한국발전_
Y Y 2015.4.1 1회(8년) 0.5 Y
열병합
한국발전_
Y Y 2021.4.1 1회(8년) 0.5 Y
열병합

[작성방법]
l (11~12) 형식승인 유무, 정도검사 유무 : 측정기기에 대한 형식승인 여부, 정도검사 여부 기입

알아두기
○ 형식승인 여부는 측정기기 구매 사양서 등의 정보를 통해 확인하며 ‘예/아니오’ 중 선택하여 보고

- 12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13) 최근 정도검사일(연월일) : 최근 정도검사 실시일을 기입

l (14) 정도검사 주기 : 횟수 및 정도검사 주기를 괄호로 표시해서 정도검사 주기 기입


- 정도검사 주기는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1조(검정)의 검정 유효기간 및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에서 확인 가능 (정도검사주기 작성
예) 1회(3년), 2회(1년), 6회(5년)
- A, B유형을 사용하는 측정기기가 정도검사 주기를 벗어난 경우 개선계획 제출
※ A, B유형을 사용하는 측정기기 : (상거래용 법정계량기),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받는 측정기기)

l (15) 최근 일반시험 등 실시일 : 최근일반시험 등 실시일 기입

알아두기
○ 최근 일반시험은 측정기기 관리업체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일자 등을 기입하거나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정밀도 검사 실시
일자를 보고함

l (16) 불확도 : 측정기기의 불확도를 기입


- 직접검사 등 : 계측기 사양, 시험성적서상의 불확도 또는 직접 계산한 불확도를 기입
- 정도검사 : 정도검사 등을 통하여 확인한 불확도를 기입(95% 신뢰수준으로 함)

알아두기

○ 정도검사를 받지 않는 측정기기(C유형)의 불확도는 법정계량기( )의 불확도를 준용


○ 지침 제13조 및 [별표 9] 불확도 산정 절차 및 방법에 나와 있는 불확도 계산 과정을 포함한 근거자료는 ‘4-1 활동자료의 모
니터링(측정) 방법’의 (16)항목에 첨부

l (17) 첨부 : 형식승인 유무, 정도검사 유무, 측정기기 검사, 불확도 등에 관한 근거자료 첨부


l (18) 측정값의 보정여부 : 해당 측정기기의 보정여부를 선택(Y, N)
- 기체연료 및 액체연료 등의 측정값에 대한 측정기기에서의 표준상태 등 보정 여부
- 전력측정기기의 PT(계기용 변압기), CT(계기용 변류기) 배율에 따른 전력사용량의 보정 여부

[작성예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1) LNG는 표준 상태로 온도와 압력을 보정하여 관리되고 있음


2) 한전 전력량계의 경우는 PT/CT를 적용한 배율이 곱해진 적산전력량계 값으로 보정이 필요
(19) 측정값의 보정 방법에 대한 없으나, 자체 전력량계의 경우는 PT/CT를 확인하여 배율을 결정하여 곱한 후 적산 전력량
상세 사항 기술 값을 산출하여야 함
- 산식: 배출시설전력사용량= 배율(= PT ☓CT) ☓전력량계적산전력사용량
※ PT(계기용 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CT(계기용 변류기)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12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19) 측정값의 보정방법에 대한 상세 기술 : (18)측정값의 보정여부에 대한 보정 방법 및 보정


관련 매개변수 등 세부적인 사항 기입

알아두기
○ 측정값의 보정방법 예시
- (바이오가스 회수량)
▪ 바이오가스 회수량은 표준상태(1atm. 15℃)일때의 값으로 측정되지만, 단위 환산을 위해 적용하는 바이오가스 내
메탄밀도가 1atm. 0℃ 일때의 값이기 때문에 바이오가스 회수량을 1atm. 0℃ 기준으로 환산하여 적용
- (자체 설치 전력량계)
▪ 한전 전력량계의 경우는 PT/CT를 적용한 배율이 곱해진 전산전력량계 값으로 보정이 필요 없으나, 자체 전력량계의
경우는 PT/CT를 확인하여 배율을 결정하여 곱한 후 적산 전력량 값을 산출하여야 함.
▪ 산식 : 배출시설 전력 사용량 = 배율 (= PT ☓ CT) ☓ 전력량계 적산전력 사용량
▪ PT(계기용 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CT(계기용 변류기)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LPG 체적거래 시 프로판의 활동자료 보정방법)
▪ LPG 체적거래시 프로판의 활동자료(kg) 결정은 체적거래(m3)시 거래량의 단위가 상이하여, 지역별 표준 기화율 및
압력조정기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무게 단위로 환산함
▪ 산식 : LPG(프로판) 사용량(㎏) = 사용량(m3) ÷ 지역별 표준 기화율(m3/㎏)× 조정기 압력 보정계수

- 정도검사 주기는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1조(검정)의 검정 유효기간 및 「환경분야 시험・


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에서 확인 가능

<측정기기의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

○ 할당대상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측정기기 중 시험・교정기관 등으로부터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할 경우 그 주기는
측정기기의 종류에 따라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21조(검정)의 검정 유효기간 및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에 따른 주기 등을 준용하여 정도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

1.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13] 검정・재검정의 유효기간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검정ㆍ재검정의 유효기간 (제21조 관련)


유효기간
계량기
검정 재검정
1. 최대용량이 10톤 이상의 비자동저울 2년 2년
2. 가스미터
가. 최대유량 10 m3/h 이하의 가스미터 5년 5년
나. 그 밖의 가스미터 8년 8년
3. 수도미터
가. 구경이 50 mm를 초과하는 수도미터 6년 6년
나. 그 밖의 수도미터 8년 8년
4. 온수미터 6년 6년

- 12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유효기간
계량기
검정 재검정
5. 오일미티 5년 5년
6. 주유기 2년 2년
7. 요소수미터 2년 2년
8. LPG미터 3년 3년
9. 적산열량계 5년 5년
10. 전력량계
가. 교류 전력량계
1) 유도형 전력량계(4형계기에 한정한다) 15년 15년
2) 전자식 전력량계(단독계기에 한정한다)
가) 일반형
(1) 단상 10년 10년
(2) 3상 8년 8년
나) 특수형
(1) 단상 13년 13년
(2) 3상 10년 10년
3) 그 밖의 전력량계 7년 7년
나. 직류 전력량계
1) 전자식 전력량계 7년 7년
2) 그 밖의 전력량계 7년 7년
11. 전기자동차 충전기 7년 7년
비고
1. 검정 또는 재검정의 유효기간은 검정 또는 재검정을 완료한 날의 다음 달 1일부터 기산한다. 다만, 해당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 3개월 이내에 재검정을 완료한 경우에는
종전의 검정 또는 재검정의 유효기간이 만료되는 달의 다음 달 1일부터 기산한다.
2. 최대용량이 10톤 이상의 비자동저울은 검정 또는 재검정을 완료한 해의 다음해 1월 1일부터 기산한다.

※ 검정대상 전력량계는 다음달 1월 1일부터 기산하므로 유효기간을 생산년월 또는 생산년월의 마지막날로 기입 가능하고 생산과
동시에 검정을 실시하므로 생산년월을 검정년월로 보아도 무방함
2.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 비자동저울이란 자동으로 사용안되는 저울로 트럭스케일 저울 등을 의미함
2-1. 제11조(측정기기의 정도검사)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


[별표 7]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주기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정도검사 주기
분야 대상기기
1차(년) 2차(년) 3차(년)
(1)화학적산소요구량 연속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2 2 1
수질분야 (2)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연속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2 2 1
(3) 총 질소 연속자동측겅기 및 그 부속기기 2 2 1
(1) 대기배출가스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가) CO, NOx, SO2, O2 및 THC 측정기기 2 2 2
(나) NOx, SO2 또는 기타항목 멀티측정기기(2개 항목 기준) 2 2 2
(2) 굴뚝배출가스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
(가) 먼지 2 2 1
대기분야
(나) 가스 2 2 1
(다) NOx, SO2 또는 기타항목 멀티측정기기(2개 항목 기준) 2 2 1
(라) 유속계 2 2 1
(3) 대기연속자동측정기 및 그 부속기기(각 항목별) 2 2 1
(4) 굴뚝시료채취장치 및 그 부속기기 2 2 2
※ 상기 주기는 2013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환경측정기기에 적용한다.
※ 위 표는 예시로 [별표 7] “환경측정기기 정도검사 주기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의 내용 확인 필요

- 12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2. 제18조2(시험・검사기관의 정도관리)에 따른 측정기기 종류 및 정도검사 주기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제18조의2(시험・검사기관의 정도관리), 「환경시험 검사기관 정도
관리 운영 등에 관한 규정」 제14조에 따른 숙련도 시험, 「환경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3조의2조(시험ㆍ
검사기관)에 해당되는 실험실에 대하여 매년 실시하고 있으므로 정도검사 주기는 1년으로 적용할 수 있음
※ 하・폐수 처리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BOD, COD, T-N의 활동자료의 경우, 불확도 적용이 어려움으로 해당 활동자료의
측정 담당자의 숙련도 시험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불확도 값을 대체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

3. 유효기간이 없는 측정기기의 경우(할당대상업체 자체적인 기준으로 관리하거나 1,2번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KOLAS 공인교정기관 지정제도 운영요령(국가기술표준원고시 제2020-104호)에 따라 측정기기를 보유 또는 사용하는 자는
자체적으로 교정주기를 설정하고자 할 경우 측정기기의 정밀정확도, 안정성, 사용목적, 환경 및 사용빈도 등을 감안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다만, 위의 방법으로 교정주기 결정이 어려운 경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별도로 고시하는 교정주기를 준용할 수 있음

- 「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 5.3 교정주기의 검토 방법 및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별표 8]의 3. 측정기기 정도검사 주기] 등에 따라서 교정주기를 설정하여야 함
※ 교정주기 설정 관련 기준
구분 비교
자동 조정 또는 계단식 (달력시간 )
관리도 (달력시간 )
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 실사용 시간
서비스 체크 또는 블랙박스 시험
기타 통계적 접근
지침 [별표 8] 정기보수 기간 등 환경・안전・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주기적 검사일정을 수립

- 12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 교정주기 및 방법 등은 문서화된 자체 규격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자체규격내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교정주기 설정 관련
기준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대한 증빙(정기보수 일정 등)을 포함하여야 함
- 측정부에 대한 교정이 불가능한 경우 교류 전류계(소스미터 등)를 활용하여 지시부에 대한 교정도 인정할 수 있으며, 단 측정부
(오리피스 등)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등을 포함하여야 하고, 교류 전류계(소스미터 등)은 「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
[별표 2] 에 따라서 교정을 받아야 함
단, 측정부에 대한 교정이 불가능한 사유에 대한 증빙자료가 자체 규격에 포함되어야 함
※ 인정분야 세부분류 및 교정주기(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20-105호 [별표 2] 요약)

(단위: 개월)
구분 교정용 정밀
표준기 계기
자동 콘베이어 저울 (Auto-conveyor scale balances) - 12
자동 호퍼 저울 (Auto-hopper scale balances) - 12
질량 자동 계량 포장저울 (Auto-packer scale balances) - 12
전기식 지시 저울 (Electric balances) 24 12
분동 및 추 (Weights) 24 24
가스 밀도계 (Gas density meters) 18 12
밀도 액체 밀도계 (Liquid density meters) 24 12
고체 밀도계 (Solid density meters) 12 12
액체용 차압 유량계 (Liquid flowmeters; differential pressure) 12 12
유체 액체용 전자기 유량계 (Liquid flowmeters; electromagnetic) 18 12
유동 기체용 터빈 유량계 (Gas flowmeters; turbine) 12 12
액체용 터빈 유량계 (Liquid flowmeters; turbine) 12 12
교류 및 교류 전류계 (AC ammeters) 12 12
교류 교류 전압/전류 교정기 (AC voltage/current calibrators) 12 12
전력 전력계 교정기 (Wattmeter calibrators) 12 12
....이하 생략
※ 위 자료는 예시로써 측정기기의 정확한 명칭을 확인하고 600여개의 항목에 대해서 교정대상여부를 확인해야 함.
- 교정용 표준기는 국가측정표준의 소급성 유지를 위해 교정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비이며, 정밀계기는 교정목적이 아닌 정밀측정에
사용하는 장비에 해당됨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첨부자료
(측정기기 현황 및 검사 등)
(5) 측정기기 이름 ∙ 명판 확인
(6),(7) 측정기기 고유번호, 자체관리번호 ∙ 명판
(8) 측정범위(최소, 최대, 단위) ∙ 명판, SPEC서 확인
(10),(11) 형식승인/정도검사 유무 ∙ 구매 사양서 등의 정보 확인(Y/N 중 선택 보고)
(12) 최근 정도검사일 ∙ 성적서 상 날짜 확인
(13) 정도검사 주기 ∙ [별표 13] 또는 계측기상 확인
∙ 성적서 정보, 사양서 또는 공신력 있는 문헌자료로 확인,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가스미터 기술기준’ 내 6. 계량적 요구사항
(15) 적용 불확도
6.3.3 정확도 등급과 최대허용오차 참조
∙ 계측기 상 계기등급 확인(전력량계 등)

- 12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측정기기별 증빙자료 첨부 예시>

○ 최대용량이 10톤 이상의 비자동저울

비자동저울 정도검사성적서

○ 전자식 지시저울(로드셀)

전자식 지시저울 (=로드셀) 교정성적서

○ 가스미터

가스미터 명판, 고지서 가스미터 검정확인서

○ 수도미터

수도미터 명판 수도미터 검정확인서

- 12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 온수미터

온수미터 명판 온수미터 검정확인서

○ 오일미터

오일미터 명판 오일미터 검정확인서

○ 주유기

주유기 명판 주유기 검정확인서

○ LPG미터

LPG미터기 명판 LPG미터기 검정확인서

- 12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적산열량계

적산열량계 명판 적산열량계 교정성적서

○ 전력량계

전력량계 명판 전력량계 검정확인서

○ 기타 1(수질시험기기)

수질시험기기 명판 수질시험기기 교정성적서

- 12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 기타 2(가스분석기)

가스분석기 명판 (형식승인 번호확인) 정도검사 기록부

○ 하・폐수 처리 시설의 BOD, COD, T-N 농도 측정 숙련도 평가 시험 예시

- 12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1.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작성예시]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시설
(2) 일련번호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코드
배출시설
정보 010 0 0 5 5 일반 보일러시설 보일러 1호기 B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2) 배출시설 정보 :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내용 참고

[작성예시]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3) (4) (5) (6)
모니터링
활동자료 정보 측정지점 기호 측정기기 이름
유형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개선 전 개선 후
기타
기타 액상폐기물 R3 (FL)1 FL1 D B 가스미터 가스미터
액상폐기물

[작성방법]
l (3) 활동자료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기존 배출시설에 해당) 또는 3-3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배출시설을 신설할 경우에 해당)’ 서식의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 흐름(activity stream)을 구분하여 종류와 기호를 기입

l (4) 측정지점 기호 : ‘3-2 또는 3-3’ 서식의 측정지점 기호 기입

l (5) 모니터링 유형 : 지침 제12조 및 [별표 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제12조 관련) 에 제시된


모니터링 유형을 각 측정지점(모니터링 포인트)별로 해당 유형의 기호를 기입 (측정지점 기호,
모니터링 유형 등 측정기기 개선 전 정보는 자동기입되나, 개선 후 정보는 직접기입하여야 함)
(예시) A-1, A-2, A-3, A-4, B, C-1, C-2, C-3, C-4, C-5, C-6 등

l (6) 측정기기 이름 : (4)의 측정지점 기호에 따라 해당 활동자료를 측정하는 측정기기 이름을


기입

- 13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예시]

(7) (8) (9) (10)


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등 관리계획
측정기기 일련번호 등
개선일 및 비용 정도검사
자체관리 개선일 개선비용 계획일 첨부
일련번호 주기
번호 (연월일) (천원) (연월일)

359711 F008 2022-01-08 500 2022-01-10 1회(3년) 계획1.jpg

[작성방법]
l (7) 측정기기 일련번호 등 : (6)의 측정기기별로 측정기기 고유번호(제품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번호),
자체 관리번호(할당대상업체에서 부여한 관리번호) 등 일련번호를 기입

l (8) 개선일 및 비용 : 측정기기의 개선 예정일(연월일)과 비용(천원)을 기입

l (9) 정도검사 주기 : 개선 후 측정기기의 정도검사 계획일(연월일)과 기간을 괄호로 표시해서 정도검사


주기를 기입
- (예시) 1회(3년), 2회(1년), 6회(5년)

l (10) 첨부 : (8)~(9)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등 관리계획에 대한 근거자료 첨부

- 13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2. 측정기기의 신설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작성예시]

4-3. 측정기기의 신설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1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시설
일련번호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배출시설 코드
정보 010 0 0 5 5 일반 보일러시설 보일러 1호기 B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2) 배출시설 정보 :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내용 참고

[작성예시]

4-3. 측정기기의 신설계획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3) (4) (5) (6)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링
측정지점 기호 측정기기 이름
유형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흐름

암모니아 암모니아 R1 WH1 A-3 유량계


기타 기상폐기물 기타 기상폐기물 P1 FL2 B 유량계
연료 휘발유 F1 WH1 C-5 주유기(영수증)

[작성방법]
l (3) 활동자료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기존 배출시설에 해당) 또는 3-3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배출시설을 신설할 경우에 해당)’ 서식의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활동자료 흐름(activity stream)을 구분하여 종류와 기호를 기입

l (4) 측정지점 기호 : ‘3-2 또는 3-3’ 서식에 따라 측정지점 기호를 기입


(예시) WH, FL, (FL)

l (5) 모니터링 유형 : 지침 제12조 및 [별표 8]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에 제시된 모니터링 유형을


각 측정지점(모니터링 포인트)별로 해당 유형의 기호를 기입
(예시) A-1, A-2, A-3, A-4, B, C-1, C-2, C-3, C-4, C-5, C-6 등

l (6) 측정기기 이름 : (4)의 측정지점 기호에 따라 해당 활동자료를 측정하는 측정기기 이름을 기입


(예시) 가스미터, 오일미터, 주유기, LPG 미터, 눈새김탱크 등

- 13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알아두기
○ 측정기기에 대하여 개선계획 제출대상
- 모니터링 유형 A, B 유형을 적용하는 측정기기에 대해 정도검사를 진행하지 않은 경우
- 모니터링 유형 A, B 유형을 적용하는 측정기기의 최근 정도검사일이 정도검사 주기를 벗어난 경우
- 정도검사를 수행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나 수행 결과에 대하여 별도의 증빙이 불가능한 경우

○ 개선계획을 작성하는 유형은 아래의 2가지로 나뉘며 측정기기에 기존 존재 여부에 따라 사용하는 서식이 상이함
1) 기존 측정기기 : 기존 측정기기 중 정도검사 주기 벗어난 경우 4-2. 기존 측정기기의 개선계획에 해당 내용을 작성해야 함
※ 개선 전/후의 측정지점 기호, 모니터링 유형, 측정기기 이름에 대해 기재해야 하며, 개선계획에 대한 개선일, 개선비용, 정도검사
계획일, 주기 작성과 함께 개선계획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를 첨부해야 함)
2) 신규 측정기기 : 측정기기를 신설할 경우 4-3. 측정기기의 신설계획에 해당 내용을 작성해야 함

알아두기
○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의 (5)측정기기 이름에서 ‘미설치’를 선택한 경우에는 ‘4-3. 측정기기의 신설 계획’을
수립하여 작성해야 하며, 신설 계획이 없는 경우 ‘4-3. 측정기기의 신설 계획’의 ‘(6)측정기기 이름’ 항목에 미설치 및 신설
계획이 없는 사유를 작성해야 함
※ 예시 : 미설치(흘수검정), 미설치(용량분배), 미설치(면적분배)

[작성예시]
(7) (8) (9)
측정기기의 정도검사 등 관리계획
예정일 및 비용 정도검사
예정일 설치비용 계획일 첨부
주기
(연월일) (천원) (연월일)
2022-04-15 4,000 2022-04-15 1회(5년) 계획3.jpg
2022-04-15 4,000 2022-04-15 1회(5년) 계획3.jpg
- - - - -

[작성방법]
l (7) 개선 예정일 및 비용 : 측정기기의 설치 예정일(연월일)과 비용(천원)을 기입

l (8) 정도검사 주기 : 신설한 측정기기의 정도검사 계획일(연월일)과 기간을 괄호로 표시해서 정도검사
주기를 기입
- (정도검사 주기 작성 예) 1회(3년), 2회(1년), 6회(5년)

l (9) 첨부 : (7)~(8)에 대한 근거자료 첨부

- 13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3.2.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작성예시]

5 배출시설별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적용계획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 1-2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 기입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기입

[작성예시]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2) (3) (4)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

코드 배출 시설 코드 활동자료 활동
일련번호 자체 시설명 배출활동명
[참고2] 시설명 규모 [참고1] 코드명 자료명

천연가스 천연가스
1 0 0 2 기체연료연소
(LNG) (LNG)
열병합 열병합 간접배출
001 0 0 4 8 C 6 0 0 1 전력 전력
발전시설 1호기 (외부전기사용)
오존파괴물질(ODS)
4 0 3 0 SF6 SF6
대체물질 사용
(9)합계

- 3-1, 3-2, 3-3에 입력한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 기입

[작성방법]
l (2) 배출시설 정보 :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된 배출시설의 일련번호, 배출시설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기입

l (3) 배출활동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배출활동 코드,


배출활동명 기입

l (4) 활동자료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활동자료의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기입

l (9) 합계 : 배출량 합계는 배출시설의 배출활동별 배출량이 자동 합산되어 기입됨

- 13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알아두기

○ 배출량 합계는 배출시설의 배출활동별 배출량이 자동 합산되어 기입됨


- (예시) A배출시설의 배출활동이 2개인 경우, 각각의 배출량(30 tCO2-eq + 70 tCO2-eq)을 직접 기입하면, 전체
배출량 100 tCO2-eq이 자동으로 기입

[작성예시]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5) (6) (7) (8)
산정등급 정보
최소 선정에 대한 타당성
배출량 배출비율 적용예정 산정 방법론 첨부
산정 설명
(tCO2-eq) (%) 산정등급
등급
511,200 85.2 3 3 지침 산정방법론 -

88,800 14.8 1 1 지침 산정방법론 -

370 0.001 1 1 지침 산정방법론 -

(합계) 100% - - - - -
- 산정등급 정보 중 배출활동별 배출량, 배출비율, 최소산정등급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5) 산정등급 정보 : 배출활동별 배출량, 배출비율, 최소산정등급, 적용예정 산정등급 기입
- 배출량 : 각 배출활동별 배출량은 산정등급 분류기준이 되는 배출량 기입

알아두기
○ 배출량 산정방법
- 배출시설의 시설규모 결정방법에 따른 배출량이 최근연도 배출량 기준이면 배출활동의 배출량도 최근연도 값이 기입되며,
최근 3개년 평균 배출량이면 평균 배출량 값이 자동으로 기입
- 신설시설의 경우,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한 ’(8) 신・증설 등 예상배출량‘에 기입한 배출량이 자동으로 기입

- 배출비율 : 배출활동별 배출량 / 배출시설 총합 × 100


- 최소산정등급 : 지침 제11조 및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에
따른 최소산정등급 기입
- 적용예정 산정등급 : 해당 배출활동에 대해 실제로 사업장에서 적용할 산정등급 직접 기입 (예시)
1, 2, 3, 2a, 2b, 3a, 3b 등

- 13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온실가스 간접 배출을 제외한 모든 배출활동의 산정등급 최소 적용기준은 직접 배출량만을 기준으로 적용
○ C그룹의 배출시설에서 여러 종류의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배출시설의 배출량 총합의 5% 미만인 보조연료 등은 해당 배출시설 최소
산정등급의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할 수 있도록 Tier적용 완화
○ 단,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하는 배출활동의 배출량 총합이 25,000톤 미만이어야 함
○ 신설시설의 경우,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한 ’(8) 신・증설 등 예상배출량‘에 기입한 배출량을 기준으로 산정등급 최소
적용기준으로 적용

알아두기
○ 다수의 배출시설에 동일한 배출활동이 적용되는 경우
- 최소 산정등급이 상이한 다수의 배출시설에 동일한 연료 및 원료가 투입되고 동 연료 및 원료가 동일한 배출흐름을
보인다면 동일한 매개변수와 측정・분석 결과값을 적용하여야 함. 이와 같은 경우 다수의 배출시설 중 최소 산정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을 적용하여야 함
- 그러나 동일한 연료 및 원료임에도 배출원 및 배출흐름이 상이한 경우 각각의 배출시설별로 산정등급을 적용하여야 함
(예: 부생가스는 공급라인별로 별도의 매개변수 및 측정・분석 필요)

l (6) 산정방법론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 기입(지침 산정식과 자체개발 산정식 중 선택 체크)

l (7) 선정에 대한 타당성 설명 : 자체개발 산정식을 선택한 경우 자체개발 산정식을 사용하는 타당한
사유 및 산정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기입

l (8) 첨부 : 자체개발 산정식 등 산정방법의 타당성을 설명하기 위한 관련 증빙자료 첨부

- 13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2.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작성예시]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 1-2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 기입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기입

[작성예시]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2) (3) (4) (5) (6)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 최소
적용예정
일련 코드 배출시설 자체 시설 코드 활동자료 활동 산정
배출활동명 산정등급
번호 [참고2] 명 시설명 규모 [참고1] 코드명 자료명 등급
천연가스 천연가스
1 0 0 2 기체연료연소 3 3
열병합 열병합 (LNG) (LNG)
001 0 0 4 8 C
발전시설 1호기 간접배출
6 0 0 1 전력 전력 1 1
(외부전기사용)
- 3-1, 3-2, 5-1에 입력한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 최소산정등급, 적용예정 산정등급이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2) 배출시설 정보 :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된 배출시설의 일련번호, 배출시설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기입

l (3) 배출활동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배출활동 코드,


배출활동명 기입

l (4) 활동자료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활동자료의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 기입

l (5) 최소산정등급 :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의 ‘(5)산정등급정보’ 항목의


최소산정등급의 값이 표현됨

l (6) 적용예정 산정등급 :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의 ‘(5)산정등급정보’ 항목의


적용예정 산정등급의 값이 표현됨

[작성예시]

- 13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7) (8) (9) (10) (11)


매개변수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
적용예정산정
매개변수 기존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 적용 여부
등급
활동자료 3 3 3 예
순발열량 3 3 3 예
총발열량 3 3 3 예
산화계수 3 3 3 예
CO2 배출계수 3 3 3 예
CH4 배출계수 1 1 1 예
N2O 배출계수 1 1 1 예

- 5-1에 입력한 기존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7) 매개변수 :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사항 기입 (예시) 활동자료, 순발열량, 총발열량, 산화계수,
CO2 배출계수, CH4 배출계수, N2O 배출계수, 기타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매개변수
-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제출한 각 배출활동별 매개변수는 명세서 제출시 배출량 산정 매개변수와
일치하여야 함

알아두기
○ 배출활동별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 요구되는 활동자료, 배출계수, 열량계수 등이 누락되지 않아야 함
○ 배출량 산정방법론에 따라 배출계수가 복수인 경우 [별표 6]의 산정방법론에 명시된 배출계수명을 기입하여 구분되도록 함.
단, 동일한 배출계수명을 가진 배출계수가 복수인 경우 ‘배출계수명1∼배출계수명N’까지 기입
○ 활동자료와 배출계수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활동자료 및 배출계수를 대조함. 즉, 두 데이터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기입함

※ 활동자료와 배출계수가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예시 : 철강 생산)


Tier 2 산정방법은 코크스로에 사용된 원료 및 연료 사용량과 코크스생산량을 활용하여 CO2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코크스로부터 연간 CO2 배출량(tCO2-eq)
 : 원료탄 사용량(ton)
 : 원료탄 이외의 원료 사용량(ton)
 : 코크스 생산량(ton)
 : 코크스오븐가스 발생량(ton)
 : 코크스오븐 부산물 발생량(ton)
 :  물질의 배출계수(tCO2-eq/t)

l (8) 기존 산정등급 :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 직전년도 해당 배출활동의 명세서 적용 산정등급


기입

- 13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9) 최소 산정등급 : 지침 제11조 및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


적용기준에 따른 최소산정등급 기입

l (10) 적용예정 산정등급 : 해당 배출활동의 적용예정 산정등급 기입


(예시) 1, 2, 3, 2a, 2b, 3a, 3b 등

l (11) 최소 산정등급 적용 여부 : 지침에서 요구하는 최소 산정 등급을 적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기입

- 13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5.3.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 등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작성예시]
5-3.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 등 (해당할 경우에만 작성)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 1-2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기입

[작성예시]

(2) (3) (4)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

코드 배출 자체 코드 활동자료 활동 활동
일련번호 시설규모 배출활동명
[참고2] 시설명 시설명 [참고1] 코드명 자료명 자료흐름

열병합 열병합 천연가스 천연가스


001 0 0 4 8 C 1 0 0 2 기체연료연소 3
발전시설 1호기 (LNG) (LNG)

열병합 열병합 간접배출


001 0 0 4 8 C 6 0 0 1 전력 전력 1
발전시설 1호기 (외부전기사용)

- 3-1, 3-2에 입력한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 활동자료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2) 배출시설 정보 :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된 배출시설의 일련번호, 배출시설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가 자동으로 기입

l (3) 배출활동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배출활동 코드,


배출활동명이 자동으로 기입

l (4) 활동자료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활동자료의 활동자료


코드명, 활동자료명이 자동으로 기입

- 14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예시]
(5) (6) (7) (8) (9) (10)

적용예정 최소 최소 산정등급(Tier)
매개변수 산정등급 Tier 3 적용 시 사유 첨부
산정등급 산정등급 미 충족사유

보조연료 총 배출량이 시설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5%미만, 2017년
2 3
배출계수(CO2) 25,000 tCO2-eq이므로 명세서.pdf
차하위 산정등급 적용

- 5-2에 입력한 매개변수, 적용예정 산정등급, 최소 산정등급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5) 매개변수 :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 매개변수명이 자동기입

l (6) 적용예정 산정등급 : 각 활동자료 흐름별, 매개변수별로 기입한 적용 예정 산정등급(Tier)


현황이 자동기입

l (7) 최소 산정등급 : 지침 제11조 및 [별표 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산정등급(Tier)


최소적용기준에 따른 최소 산정등급이 자동기입

l (8) 최소 산정등급 미적용 사유 : 최소 산정등급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사유 기입

알아두기
○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이 아닌, 매개변수 산정등급에 해당하는 내용임
○ 시설규모에 따른 배출활동별 산정등급 최소 적용기준 미 준수 시 정당한 근거 및 사유를 제시하여야 함
○ 지침 제14조제1항의 중소기업에 대한 불확도 관리기준 적용 특례에 해당된다면 이를 서술하여야 함
○ 해당 활동자료의 측정기기의 미설치, 주기적 정도검사 미실시 등의 사유를 서술하여야 함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일정, 방법 등
서술)
○ 산정등급 적용에 관하여, 비합리적인 비용의 증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점 등이 있을 경우 이를 서술하여야 함

l (9) 산정등급 Tier 3 적용 시 사유 : 배출시설의 산정등급이 Tier 1, Tier 2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산정등급 Tier 3를 적용하는 경우의 사유를 명확히 기입

l (10) 첨부 : (8)~(9)의 사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증빙문서 등 첨부

- 14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작성예시]

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3) (4) (5) (6)

구분 종류 업체명 사업장명 업체 분류 유입/공급 사업장 소재지

온실가스 이산화
AB업체 천안사업장 ■ 할당대상업체 □ 관리업체 □ 비관리업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외부 유입 탄소
에너지
열(스팀) AB업체 천안사업장 □ 할당대상업체 ■ 관리업체 □ 비관리업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외부 유입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 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
등록번호)가 자동으로 기입

l (2) 구분 : 유입/공급한 온실가스 및 에너지원 번호 기재 (온실가스 외부 유입, 온실가스 외부 공급,


에너지 외부 유입, 에너지 외부 공급)

l (3) 종류 : 당해 사업장에서 유입/공급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원의 종류 기재(이산화탄소, 열(스


팀), 열(온수), 부생가스 등)

l (4) 업체명, 사업장명 : 온실가스‧에너지를 유입/공급하는 업체명과 사업장명을 기재

l (5) 업체 분류 : 유입/공급 사업자의 할당대상업체, 관리업체, 비관리업체 경우를 분류하여 기재

l (6) 유입/공급 사업장 소재지 : 온실가스 또는 에너지의 유입/공급 사업자 주소를 도로명 주소로 기입

알아두기

○ 열 및 기타부생연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 ‘6. 온실가스 에너지 이동 계획’ 서식을 작성하여야 하며, 기타부생연료를
수급받는 경우에는 공급업체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추가로 ‘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
비)’ 서식을 작성하여야 함

- 14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개발 계획


3.2.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
[작성예시]

7-1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자가소비)


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자가소비)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일련번호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 (3) 코드 배출활동명


배출시설 열병합 열병합 배출활동
001 0 0 4 8 C 1 0 0 2 기체연료연소
정보 발전시설 1호기 정보
- 1-2에 입력한 사업장에 대한 일반정보, 3-1, 3-2에 입력한 배출시설 정보, 배출활동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 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가 자동으로 기입

l (2) 배출시설 정보 : ‘3-1. 배출시설 정보 등'에 기입된 배출시설의 일련번호, 배출시설 코드,
배출시설명, 자체시설명, 시설규모가 자동으로 기입

l (3) 배출활동 정보 :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기입된 배출활동 코드,


배출활동명이 자동으로 기입

알아두기

○ 기타부생연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급업체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 서식을 작성하여야 함
○ 다만, 기타부생연료 공급업체로부터 배출계수 계획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수급업체가 배출계수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작성하여야 함

알아두기

○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개발 계획’ 서식 작성 시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가이드라인 참조

- 14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작성예시]
(4) 시료 샘플링 도식도 (5) 시료 샘플링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

(6) (8) (9) (10) (11) (12) (13) (14)


시험・분석기관 시료 시료
번호 개발 대상 시험・분석 공인여부 분석기준 분석
분석 항목 외부기관명 채취 채취
(활동자료명) 규격 /자체실험실 (베이스) 주기
/자체실험실 지점 규격
적합 여부
가스 성분별 KS I ISO 외부위탁기관 연료 별도 KS I ISO
천연가스 KOLAS인증 건식
1 함량 6974 (가스공사) 공급시 첨부 10715
(LNG)
(7) 매개변수명 온실가스 배출계수(CO2)

※ 등의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시 적용 예정인 시료채취·분석 규격, 시험·분석기관 증빙자료
관련자료를 첨부하여야 함

[작성방법]

l (4)시료 샘플형 도식도 : 배출계수 개발 대상에 대한 샘플형 도식도 기입

l (5) 시료 샘플링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 : : 시료 샘플링과 관련하여 채취지점, 샘플링 방법 등과


관련된 특이사항 또는 세부적인 설명 기입

l (6) 개발 대상(활동자료명) : : 개발대상 활동자료의 대분류_중분류_연료/원료/생산물명 기재

알아두기

○ Tier 3 개발 의무 대상
① 배출시설 규모가 C그룹(50만톤 이상의 배출시설)에 해당되는 경우
② 배출시설 규모가 A, B그룹 임에도 불구하고 Tier 1 또는 Tier 2의 매개변수가 없어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자 결정한 경우
③ 에너지 공급 서비스 업체 등에서 인근 회사에 열, 스팀 등을 판매하는 할당대상업체가 공급업체에 열, 스팀 배출계수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④ 연료, 원료 등을 판매하는 할당대상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업체가 연료, 원료의 매개변수를 요구하는 경우
⑤ 환경부장관에서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를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⑥ 기타 필요한 경우

○ Tier 3 배출계수 개발 예외
- 배출시설에서 여러 종류의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연료별 사용에 따른 배출량의 총합으로 배출시설규모 및
산정등급(Tier)을 결정함. 단, C그룹의 배출시설에서 초기가동・착화연료 등 소량으로 사용하는 보조연료의 배출량이
시설 총 배출량의 5% 미만일 경우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할 수 있음. 이때 차하위 산정등급을 적용하는 배출시설
보조연료의 배출량 총합은 25,000 tCO2-eq 미만이어야 함

- 14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알아두기
○ Tier 3 배출계수 미적용 배출활동
배 출 활 동 관련근거
1. 이동연소(항공, 도로, 철도, 선박)
2. 석회생산
3. 탄산염 사용
4. 유리 생산
5. 암모니아 생산
6. 질산 생산
지침
7. 카바이드 생산
8. 소다회 생산 [별표5] 배출활동별, 시설규모별
9. 전자 산업(반도체/LCD/PV)
산정등급(Tier) 최소적용기준
10. 고형폐기물 매립
11.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12. 하수처리
13. 폐수처리
14. 오존층파괴물질의 대체물질 사용
15. 외부전기 사용

l (7) 매개변수명 : 개발대상 매개변수명(CO2 배출계수 등)을 직접 기입

알아두기

○ 매개변수명은 지침 제11조 및 [별표 6]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에 따른 매개변수명을 참고


하여 기입
○ 연료나 원료 등의 발열량, 원소함량 분석항목도 포함하여 기입

l (8) 분석항목 : 계수 개발을 위해 분석이 필요한 항목 직접 기입


(예시) 발열량, 밀도, 원소분석, 공업분석 등

l (9) 시험・분석규격 : 지침 제16조 및 [별표 14] 시료 채취 및 성분분석・시험 기준을 참고하여 분석


항목별 시험・분석규격 직접 기입

l (10) 시험・분석기관 : 분석을 실시할 시험기관의 이름과 공인여부 선택 및 기재


- 외부위탁기관/자체실험실 : 분석기관을 선택하고 외부위탁기관일 경우 기관명 기재
- 공인여부/자체실험실 적합여부 : 외부위탁기관일 경우 공인 또는 미공인을 선택하고, 사업장 자
체실험실일 경우 자격요건을 고려하여 적합 또는 부적합을 선택

- 14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알아두기
○ 사업장 자체 실험실에서 성분분석을 실시한 경우 기관명에 ‘자체실험실’ 기재
○ 공인여부에는 해당 기관이 공인기관이면 Y, 아니면 N 표시
○ 배출계수를 개발하는데 적용된 측정 및 분석기관의 자격 요건은 아래와 같음

(자격요건 1) 『KS A ISO/IEC 17025:2006』에 따라 공인된 시험ㆍ교정기관


(자격요건 2) 공인된 시험ㆍ교정기관에 준하는 관리업체의 자체 실험실 및 외부 위탁 분석 기관
(자격요건 3) 『환경분야 시험ㆍ검사에 관한 법률』제 16조에 따른 측정 대행업자
(자격요건 4) 위 자격요건 1, 2, 3 중 하나를 만족하고 사용하는 연료/원료의 분석결과 값을 사업장에 인입하는 시점
마다 제시하여 주는 공급처(구매처)

l (11) 분석기준(베이스) : 분석대상이 고체연료일 경우, 분석기준을 선택


(예시) 분석기준 : 기건식, 인수식, 건식, 무수무회식 등

l (12) 분석주기 : 지침 제16조 및 [별표13] 시료 채취 및 분석의 최소 주기에 따라 계수 항목별


시료채취 및 분석 주기, 횟수를 기입
(예시) 월 1회, 일 1회, 반기 1회

알아두기
○ 시험분석 횟수는 지침 제16조 및 [별표13] 등에 제시된 시험분석 횟수 기준에 충족하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아래 기준을
준수하여야 함
① 시험 분석 횟수별 시험 분석 결과 기록은 내부 기록관리 절차에 따라 관리되어야 함
② 시험 분석 데이터가 있으며, 분석값을 활용하여 계산하는 경우는 엑셀 자료 등으로 정리하여 제출하고 객관적인 근거 기록은
요구 시 제시할 수 있어야 함
③ 시험분석 횟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와 배출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설명하여야 함

l (13) 시료채취지점 : 계수 항목별 시료 채취 지점 직접 기입

l (14) 시료채취규격 : 지침 제16조 및 [별표 14] 시료 채취 및 성분분석・시험 기준을 참고하여 계수


항목별 시료 채취 규격 직접 기입

알아두기
○ 배출계수 또는 매개변수의 시료채취 방법, 시험・분석 방법, 시험・분석 장비는 지침 제16조 및 [별표 14] 시료 채취 및 성분분석・
시험 기준에 명시된 방법론 및 절차 그리고 아래 기준을 준수하여야 함
① 배출계수 개발을 위해 분석 적용된 모든 매개변수가 누락 없이 기술되어야 함
② 모든 매개변수는 동일 시료에 대해 시험・분석을 수행하여야 함
③ 시료 채취 및 분석방법으로 KS 규격을 우선 선택하고 적합한 KS 규격이 없을 경우, 공인되는 국제 규격을 적용할 수 있음

- 14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양식]
(15) (16) (17) (18)
번호 증빙첨부
계수 산정 방법론 계수 산정식 특이사항
(KOLAS인증 등)

       × 
 고유배출계수
1 자체개발식   ×        
   개발 관련 증빙자료.ZIP


[작성방법]
l (15) 계수 산정 방법론 : 매개변수의 산정식에 적용할 방법론을 기입
(예시) 지침의 Tier 3 산정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고체연료연소 산정방법론’을 기입, 자체 개발식을
적용할 경우 ‘자체 개발식’을 기입

알아두기
○ 간접배출계수 산정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본 가이드라인 ‘3.2.6. 에너지 외부 유입 및 구매 계획’ 및 ‘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개발 계획’ 관련 기준을 참고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본 가이드라인 ‘3.2.7.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개발 계획’ 관련 기준을
참고

l (16) 계수 산정식 : ‘자체 개발식’일 경우 직접 기입

알아두기
○ 탄소함량 시험분석 등 계수항목별 산정식을 알기 위함
- (예시) [배출계수] 질산 1 ton 생산당 N2O 배출량(kg-N2O/ton-질산생산량)]는 ①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질산 생산량
(NAPk)값과 ② 촉매환원장치 후단의 N2O 발생량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한 N2O 발생량 값을 사용하여 ②÷①로 개발하는
것으로 한다]

l (17) 특이사항 : 사업장 고유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에 기입된 정보에 대한 특이사항을 기입


(예시) 시험 분석기관이 변경될 예정인 경우 관련 내용 기재

l (18) 증빙첨부(KOLAS인증 등)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시 적용 예정인 시료채취 규격,


시험・분석 규격, 시험・분석기관 등의 관련 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제출

알아두기

○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에 따른 증빙자료 제출 시 검증심사원이 작성한 ‘사업장 온실가스 시험・분석의 적절성 평가표’
및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 워크시트(인증지침 [별표23]에 따른 연료별 최소 분석 주기 1회 이상 결과 포함)를
포함하여 시료채취 규격, 시험・분석 규격, 시험・분석기관 등의 관련 증빙자료 제출

- 14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7.2.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7-2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작성예시]
7-2.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4) (5) (6) (7) (8) (9) (10) (11) (12) (13) (14)
시험・분석기관 증빙
번호 개발 대상 분석
시험・
외부 공인여부/
분석
분석 시료채
시료채
계수 산정 계수 특이
첨부
(활동 분석 기관명 자체 기준 취 (KOLA
항목 주기 취지점 방법론 산정식 사항
자료명) 규격 /자체 실험실 (베이스) 규격 S인증
실험실 적합여부 등)
A 한국발전
KS I KS I
OOO시험 KOLAS 가스관 고유
발열량 ISO - 월1회 ISO
기관 인증 중간 배출
1 부생가스 6976 10715
지점 계수
지침 개발
(3)매개변수명 CO2배출계수 .zip
산정 방법론
※ 사업장고유배출계수개발시적용예정인시료채취·분석규격,시험·분석기관증빙자료등의관련자료를첨부하여야함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4) 증빙첨부(KOLAS 인증 등) : ‘7-1. 사업장 고유(Tier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 내용 참고

- 14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2.7.3. 사업장 고유(Tier 3) 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7-3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Tier 3) 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작성예시]
7-3. 사업장 고유(Tier 3) 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외부판매)
(1)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장
정보 002 한국발전 천안본부 1 2 3 4 5 6 7 8 9 1

(2) 열(스팀) 및 전기 생산량, 손실열 측정지점 도식도 (3) 열(스팀) 및 전기 생산량, 손실열 측정지점 설명

(4) (5) (6) (7) (8) (9) (10) (11) (12) (13) (14)
개발
번 시설
대상 생산 생산 배출 자체 사용 측정
호 일련 측정지점 특이사항 증빙첨부
(활동 유형 주체 시설명 시설명 연료 항목
번호
자료명)
한국발전 고유
열전용 자체 열병합 열병합 온도
1 열(스팀) 001 LNG 연료 투입구 - 배출계수
생산열 생산 발전시설 1호기 압력
개발.zip

[작성방법]
l (1) 사업장 정보 ~ (14) 증빙첨부(KOLAS 인증 등) : ‘7-1. 사업장 고유(Tier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 내용 참고

- 14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8.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


3.2.8.1.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의 품질관리 문서

[작성예시]

8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

8-1.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의 품질관리 문서

법인명 법인 담당부서 법인 담당자(직책)


(1) 할당대상업체
(법인)정보
한국발전 녹색경영팀 김절전(차장)

- 1-1에 입력한 할당대상업체(법인)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l 할당대상업체에 포함된 모든 사업장 및 법인에 대해 사업장별 품질관리/품질보증 활동 계획이


작성되어야 함

[작성방법]
l (1) 할당대상업체(법인) 정보 : ‘1-1. 업체(법인)에 대한 일반정보’에 입력한 할당대상업체 정보(법인명,
법인 담당부서, 법인 담당자)가 자동 기입

[작성예시]

(2) 사업장 정보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할당대상업체 총괄(법인)
001 본사 1 2 3 ― 4 5 ― 6 7 8 9 0
002 천안본부 1 2 3 ― 4 5 ― 6 7 8 9 1

- 1-2에 입력한 할당대상업체(법인)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2) 사업장 정보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 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예시]
(3) 품질관리 관련 문서 명
(3)-1 주요 품질 관리 절차 (3)-2 절차서명 (3)-3 해당문서 첨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보고
배출량 산정・보고 담당자 책임 및 역할 관련 절차 배출권거래제 대응 절차서.hwp
절차서(G-01)
배출량 산정계획 평가 및 개선 온실가스 평가 및 개선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및 개선 관련 절차
절차서(G-02) 절차서.hwp

- 15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방법]
l (3) 품질관리 관련 문서명 : 주요 품질관리 절차 및 절차서명을 직접 기입하고 관련된 해당문서 첨부
- (3)-1 주요 품질관리 절차 : 주요 품질관리와 관련된 절차를 담당자, 역할, 평가, 개선, 데이터 관리,
측정기기 품질관리, 정보시스템 관리, 데이터 시정, 문서관리 등을 포함하여 직접 기입
- (3)-2 절차 서명 : ‘주요 품질관리 절차’에 관련된 내부 절차서명을 직접 기입
- (3)-3 해당문서 첨부 : ‘주요 품질관리 절차’에 관련된 해당 문서를 첨부

알아두기
○ 주요 품질관리와 관련된 절차는 아래 사항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함.
① 배출량 산정・보고 담당자 책임 및 역할 관련 절차 : 조직도, 배출량 산정・보고 담당자의 책임과 역할, 자격부여, 교
육훈련, 평가포함
②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및 개선 관련 절차 : 배출량 산정계획서에 포함될 활동데이터 리스트 점검 및
완전성 보장, 시설의 특성 및 기능상에 대한 모든 변경, 활동데이터 및 매개변수의 불확도 기준 부합 평가, 적용
모니터링 방법의 개선책 포함
③ 데이터 관리 (내부검증 및 타당성 확인 포함) 관련 절차 : 기본데이터에서 연간 배출량에 이르기까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데이터 흐름활동, 배출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수식 및 데이터, 전자데이터프로세스 및 저장시스템, 기타 입력사항 (수동
입력), 데이터흐름활동의 출력물 기록에 대한 확인 방법 포함
④ 측정기기 품질관리 관련 절차 : 정기적인 검・교정 미준수에 대한 처리 방안 포함
⑤ 정보시스템 (IT) 품질관리 관련 절차 : 정보시스템의 접근제어, 백업, 복구, 보안 등 테스트 및 관리 방안 포함
⑥ 데이터 시정 및 시정조치 관련 절차 : 데이터의 정기 내부검토 및 타당성 검토, 데이터 완전성 검토, 과거 데이터와의
비교, 보고된 연료사용내역과 구매기록 비교, 연료공급업체로부터 수령한 계수 및 국제 기준 비교 포함
⑦ 문서 및 기록관리 (외주프로세스 포함) 관련 절차 : 내부 문서 및 기록관리, 외주업체로부터 수취된 문서 관리 포함
※ 위의 7개의 절차를 통합하여 관리할 경우, 시스템(NGMS)에서 ‘기타’항목을 선택하고 해당업체의 관련 문서를
첨부할 수 있음

- 15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8.2.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 담당자 현황


[작성예시]

8-2. 해당 조직의 배출량 산정・보고 등 담당자 현황


(1) (2) (3)
일련
사업장명 할당대상업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당사업장 점유율(%)
번호

할당대상업체 총괄(법인)

001 본사 7.76%

- 1-2에 입력한 사업장 정보가 자동으로 기입

[작성방법]
l (1)~(2) 일련번호 및 사업장명 : ‘1-2. 사업장목록’에 입력한 사업장 정보(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가 자동으로 기입

l (3)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당사업장 점유율(%) : 할당대상업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사업장별 온실가스 배출량 점유율(%)을 기입
- 산정식 : 사업장별 온실가스 배출량 점유율(%) = (해당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량 / 전체
할당대상업체 온실가스 배출량) x 100

[작성예시]
(4) (5) (6) (7) (8)
소속
역할 세부내용 직급 담당자
부서
총괄책임 조직 온실가스 배출량
녹색경영팀 차장 김절전
배출량 산정 보고 산정 보고 담당

활동데이터 관리 활동데이터 관리 녹색경영팀 과장 정지훈


내부검증 QA/QC를 통한 내부검증 녹색경영팀 과장 정지훈

[작성방법]
l (4) 역할 : 배출량 산정・보고 담당자별 세부 역할을 직접 기입
(예시) 총괄책임, 실무 책임, 배출량 산정 보고, 활동자료 수집 및 관리, 측정기기 관리, 고유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시험실 관리, 내부 검증 등

알아두기
○ 세부역할은 지침 제23조 및 [별표 19] 품질관리(QC) 및 품질보증 활동(QA)의 품질관리/품질보증 업무의 세부 항목을
참고하여 기입

- 15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5) 세부내용 : 역할에 대한 상세 설명 직접 기입

l (6) 소속부서 :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 직접 기입

l (7) 직급 :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직급 직접 기입

l (8) 담당자 :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명 직접 기입

3.2.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작성예시]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1) 할당대상업체 법인명


(법인)정보 한국발전

일련 사업
(2) 사업장 정보
)
(3 배출시설
(4) 배출시설명
(5)배출량
(6)기타사항 (7) 첨부
사업자등록번호 일련번호 산정계획 목차
번호 장명
001 본사 1 2 3 ―4 5 ―6 7 8 9 0

[작성방법]
l (1) 할당대상업체(법인)정보 :「1-1번」양식의 업체의 법인명, 법인 담당부서, 법인 담당자(직책)를 기입

l (2) 사업장 정보 : ‘: 「1-2번」양식의 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입

l (3)배출시설 일련번호 : : 「3-1번」양식의 배출시설 일련번호 기입

l (4 배출시설명 : 해당 배출시설의 배출시설명 기입

l (5) 배출량 산정계획 목차 : : 기타 사항을 배출량 산정계획 양식의 번호와 양식 제목을 기입(예) 3-1
배출시설 정보 등

l (6) 기타사항 : : (3) 항목의 기타사항을 구체적으로 기입

l (7) 첨부 : (4)항에 대한 추가설명 및 증빙자료가 있는 경우 첨부

알아두기
○ 할당대상업체 내 사업장 중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사업장의 경우
-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서식에 명세서 제출 이력이 없는 업체임을 환경부장관이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기입하고, ‘1-2. 사업장목록’ 및 ‘2-1. 사업장에 대한 일반 정보’ 서식 작성 후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요청
- 사전검토 요청이후에 명세서를 제출하고 환경부장관의 검토가 완료된 후 15일 이내에 변경된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추가검토를 요청하여야 함

- 15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10. 배출량 산정계획서 변경 내역


[작성예시]

10 배출량 산정계획서 변경 내역

법인명
(1) 할당대상업체
(법인)정보
한국발전

(2) 사업장 정보 (3) 시설정보 (7)


변경적용
(4) 변경유형 (5) 세부항목 (6) 변경내용
일련 배출시설 일(발생일
사업장명 배출시설명 )
번호 일련번호
(변경전)사업장 담당자
기타 배출량에 홍길동
2-1. 사업장 2023-08
001 본사 - - 영향을 미치는
일반정보 -28
변경사항 (변경후)사업장 담당자
고길동
(변경전)WH1측정지점,
A-1유형
전력량계(고유번호:000
0)의 정도검사일자가
2022.12.01.으로 주기
활동자료 수집, 초과됨
사업장단위 4-1. 활동자료의
측정 방법의 변경 2023-01
001 본사 001 전력사용시 모니터링 방법
사항(측정기기 (변경후) -01
설 개요
포함) WH1측정지점,
A-1유형
전력량계(고유번호:111
1)으로 교체하여
정도검사일자 및 주기
새로 작성함

[작성방법]
l (1) 할당대상업체(법인)정보 :「1-1번」양식의 업체의 법인명 기입

l (2) 사업장 정보 : 변경내용이 발생한 사업장별 일련번호, 사업장명을 기입

l (3) 시설정보 : 변경내용이 발생한 시설의 배출시설 일련번호, 해당 배출시설의 배출시설명 기입

- 사업장 단위의 변경사항인 경우 시설정보 생략 가능

l (4) 변경유형: 지침 제26조(배출량 산정 계획의 변경)의 중대한 변경사항을 참고하여 변경유형 기입

- 중대한 변경사항 : 업종의 변경, 조직경계의 변경,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 활
동자료 수집, 측정 방법의 변경 사항(측정기기 포함), 영 제39조제3항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기
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사항

- 154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l (5) 세부항목 : 배출량 산정 계획의 변경유형에 따라 변경된 별지10 배출량 산정계획서 양식 기입

- (예)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5-1.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등

l (6) 변경내용 : 배출량 산정계획서의 변경 내역을 전, 후를 명시하여 자세히 작성 필요

l (7) 변경적용일(발생일): 배출량 산정 계획 변경이 발생하는 시점 기입

- 15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3 배출량 산정계획 관련 문서 작성방법

3.3.1.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신청서’


[작성예시]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신청서

① 업체명

② 대표자 ③ 법인등록번호
할당대상
업체
④ 업종

⑤ 주소

할당업체 □ 업체
지정 유형 □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5조제1항에 따라


위와 같이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를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환경부장관 귀하

- 156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3.2.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결과 통지서’


[작성예시]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결과 통지서

① 업체명

② 대표자 ③ 법인등록번호
할당대상
업체
④ 업종

⑤ 주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5조제3항에


따라 귀 사의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하여 위와 같이 검토결과를 알려드립니다.
년 월 일
환경부장관 (직인)
귀하

※ 첨부 서류
1. 검토결과

- 15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3.3.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


[작성예시]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

① 업체명
할당대상 ② 대표자 ③ 법인등록번호
업체 ④ 업종
⑤ 주소
사업장 ⑥ 사업장명
정보
⑧ 변경내용 ⑫ ⑬ 변경
⑦ 배출시설 ⑨ 변경에 적용일
변경유형 일련번호 세부항목 ⑩ 변경 전 ⑪ 변경 후 따른 (발생일)
영향

변경
내역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6조제1항에 따라


위와 같이 배출량 산정계획의 추가검토를 신청합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환경부장관 귀하

- 158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작성방법]
l ① ~ ⑥ 업체 및 사업장 정보 : 업체명, 대표자, 법인등록번호, 업종, 주소, 사업장명을 기입

l ⑦ 변경유형 : 지침 제26조(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의 중대한 변경사항을 참고하여 변경유형 기입 (중대한


변경사항 : 업종의 변경, 조직경계의 변경,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
활동자료 수집, 측정 방법의 변경 사항(측정기기 포함), 영 제39조제3항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기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사항)

l ⑧ 배출시실 일련번호 : 해당 배출시설 일련번호 기입

l ⑨ 세부항목 :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유형에 따라 변경된 별지10 배출량 산정계획서 양식 기입


(예)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5-1.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산정등급

l ⑩ ~ ⑪ 변경 전 :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 전, 후 내용에 대해 기입

l ⑫ 변경에 따른 영향 :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에 따른 배출량 변동 여부 기입 (예) 배출량 증가,


배출량 감소, 배출량 변동 없음

l ⑬ 변경적용일(발생일) :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이 발생하는 시점 기입

- 15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3.4.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결과 통지서’


[작성예시]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결과 통지서

① 업체명

② 대표자 ③ 법인등록번호
할당대상
업체
④ 업종

⑤ 주소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제26조제5항에 따라


귀사의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에 대하여 위와 같이 검토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년 월 일
환경부장관 (직인)
귀하

※ 첨부 서류
1. 검토결과

- 160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3.3.5. 배출량 산정 관련 ‘배출량 산정계획 일시적 적용불가 통지서’


[작성예시]

배출량 산정계획 일시적 적용불가 통지서

① 업체명
업체 ② 대표자 ③ 법인등록번호
정보 ④ 업종
⑤ 주소
사업장 ⑥ 사업장명
정보
모니터링 방법 ⑪
⑦ 모니터링 ⑧ 배출시설 일시적 ⑫ 적용
유형 일련번호 ⑨ 기존 ⑩ 대체 적용불가 기간
방법 방법 사유
일시적
적용
불가
내역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제27조제1항에 따라


위와 같이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불가사유를 알려드립니다.
년 월 일
신청인 (서명 또는 인)
환경부장관 귀하

- 16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작성방법]
l ① ~ ⑥ 업체 및 사업장 정보 : 업체명, 대표자, 법인등록번호, 업종, 주소, 사업장명을 기입

l ⑦ 모니터링유형 : 일시적 적용불가에 해당되는 시설의 모니터링 유형을 선택하여 기입

l ⑧ 배출시실 일련번호 : 해당 배출시설 일련번호 기입

l ⑨ ~ ⑩ 세부항목 : 기존에 적용 불가한 배출량 산정계획과 대체할 배출량 산정계획을 기입

l ⑪일시적 적용불가 사유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에 대하여 구체적인


세부설명을 기입

l ⑫ 적용기간 :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기간을 기입

- 162 -
제3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방법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 163 -
PART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04
4.1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개요

4.2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04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1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개요

l 활동자료정보{연료(F),원료(R),제품(P),온실가스이동(T), 온실가스처리(TM)},측정지점 기호( ,

, ), 모니터링유형(A-1, B, C-1 등)의 투명하고 정확한 제공을 위하여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가 작성되어야 함

l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작성은 할당대상업체의 활동자료 수집방법을 결정 시 발생할


수 있는 활동자료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음에 따라,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구체
적인 방법이 현장의 활동자료 측정지점과 일치되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 함

알아두기
○ 활동자료의 구체적인 수집방법 작성 주요 사례
- (LNG 사용량)
▪LNG사용량은 한국가스공사에서 구매하는 WH1구매량을 FL1, FL2, FL3의 사용량 비율로 각 시설로 분배하여 시설별
LNG사용량을 결정함
▪활동자료는 구매전표를 기반으로 입력, 사용량은 사용일지에 기록하여 수집 관리함
- (분뇨 유입량)
▪FL1의 분뇨 유입량은 일별 반입되는 분뇨차량의 중량을 계량설비에서 측정 후 취합된 연간자료로 결정함
▪FL2와 FL3은 분뇨 투입동에서 간헐적으로 취수하여 하수처리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분석한 값으로서 1년치 일일가중평균
한 값을 사용함
▪FL4와 FL5는 전처리된 분뇨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기 전에 취수하여 수분석한 값으로서 1년치 일일가중평균한 값을 사용함
- (클링커 생산량)
▪클링커 생산량은 KS L 0006에 따라 계산하여 결정함
▪클링커 생산량(P)= 원료투입량/f + 미분탄량*(1-0.02)/(100-클링커 강열감량)
▪원료 투입량 및 배기Gas 중 원료량 : 생산부서에서 CFW(constant feed weighter)로 측정・관리함
▪클링커 및 배기Gas중 원료의 강열감량 및 품질부서 실험실에서 시험・분석자료를 활용함
- (소규모배출시설)
▪비상용 발전기 5대 배출
- (전력 사용량)
▪전력사용량은 한전에서 구매되는 WH1과 WH2의 사용량의 합과 FL1, FL2, FL3, FL4의 합의 차이 비율만큼 분배하여
FL5(신설)과 FL6(폐쇄) 및 기타 전력사용시설(기존시설)의 전력사용량으로 결정함
▪구매전력데이터 및 개별 전력데이터는 공무팀에서 전력 영수증 및 전력사용일지에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 16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 배출활동별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 사례

4.2.1. 고정연소(고체연료연소)_화력발전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측정 모니
코드 일련 시설
화력 활동명 배출 활동 지점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8 2 발전 1호기 C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자료 기호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시설 흐름
고체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직접배출 연료용 연료용
1 0 0 1 연료 Unit1 저탄장 F1 WH1 A-1
(대기 중 비산) 유연탄 유연탄
연소
고체
직접배출 연료용 연료용
1 0 0 1 연료 Unit2 Coal Silo F1 FL1 A-2
(대기 중 비산) 유연탄 유연탄
연소
고체
직접배출 목재/목재
1 0 0 1 연료 Unit3 Silo 우드펠릿 F2 WH2 A-1
(대기 중 비산) 폐기물
연소
고체
직접배출 목재/목재
1 0 0 1 연료 Unit2 Coal Silo 우드펠릿 F2 (FL)2 C-1
(대기 중 비산) 폐기물
연소
액체
직접배출 부생연료 부생연료
1 0 0 3 연료 Unit4 저장탱크 F3 WH3 A-1
(대기 중 비산) 1호 1호
연소
액체
1호기 직접배출 부생연료 부생연료
1 0 0 3 연료 Unit5 F3 FL3 A-2
보일러 (대기 중 비산) 1호 1호
연소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연료용 유연탄 입고량은 흘수검정*을 기준으로 발행된 거래명세서를 기준으로 하며,

- 16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발행된 거래명세서는 자재팀에서 수집・관리함


2) F1/FL1 : 1호기 보일러의 활동자료(연료용 유연탄)는 검・교정을 받은 자체 측정기기로 검침한 Coal
Silo 투입량을 기준으로 하며, 검침값은 데이터 전송시스템(ERP)으로 전송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3) F2/WH2 : 전체 우드펠릿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며, 발행된 요금
청구서는 자재팀에서 수집・관리함
4) F2/(FL)2 : 1호기 보일러의 활동자료(우드펠릿)는 자체 측정기기로 검침한 Coal Silo 투입량을
기준으로 하며, 검침값을 데이터 전송시스템(ERP)으로 전송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5) F3/WH3 : 전체 부생연료 1호 입고량은 거래처에서 제공하는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하며, 발행된 세금
계산서는 자재팀에서 수집・관리함
6) F3/FL3 : 1호기 보일러의 활동자료(부생연료 1호) 사용량은 검・교정을 받은 자체 유량계로 검침한
보일러 투입량을 기준으로 하며, 발전팀 현장담당자가 검침값을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 흘수검정(吃水檢定) : 선박에 선적된 화물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선적항에서 선적 전/후에 이루어지는 검정으로, 화물의 선적 전 선박에 적재된 물의 비중 또는 선박의 상태(Sagging 혹은
Hogging)와 선박의 배수톤수를 고려하여 흘수를 결정한 후 선박에 적재된 연료, 청수, Ballast양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Tank 검사를 실시하고, 동일 과정을 반복하여 추가 혹은 감소된 양의
배수톤수를 고려하여 화물량을 계산함

- 16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 고정연소(기체연료연소)_복합화력발전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화력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5 5 발전 1호기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체
가스 직접배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1 F1 WH1 A-1
터빈 (대기 중 비산) (LNG) (LNG)
연소
기체 가스
직접배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2 터빈 F1 (FL)1 C-1
(대기 중 비산) (LNG) (LNG)
연소 2호기
기체 가스
직접배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3 터빈 F1 (FL)4 C-1
(대기 중 비산) (LNG) (LNG)
연소 2호기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연료를 공급사로부터 입하 시, 법정계량기를 통해 입하량 측정
2) F1/(FL)1: 각 호기로 이송된 연료는 가스터빈 전단 계측기를 통해 유량 측정하나, 실제 활동자료는 타
호기별 계측된 사용량을 기준으로 WH1값에서 분배 보정하여 수집함
3) F1/(FL)4: 각 호기로 이송된 연료는 가스터빈 전단 계측기를 통해 유량 측정하나, 실제 활동자료는 타
호기별 계측된 사용량을 기준으로 WH1값에서 분배 보정하여 수집함

- 16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 고정연소(액체연료연소)_일반보일러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일반 활동명 배출 터링
A 생산공장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5 5 보일러시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보일러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액체 생산
직접배출
1 0 0 3 연료 Unit1 공장 B-C유 B-C유 F1 WH1 A-1
(대기 중 비산)
연소 보일러
액체 생산
직접배출
1 0 0 3 연료 Unit1 공장 B-B유 B-B유 F2 WH2 A-1
(대기 중 비산)
연소 보일러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전체 연료사용량은 거래처(주유소) 제공 주유고지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B-C유 사용량은
공무팀에서 월별 고지서 및 사용량 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2) F2/WH2: 전체 연료사용량은 거래처(주유소) 제공 주유고지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B-B유 사용량은
공무팀에서 월별 고지서 및 사용량 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 16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 고정연소(기체연료연소)_일반보일러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일반 활동명 배출 터링
A 1호기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5 5 보일러시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보일러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체 전량
1호기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1 굴뚝으로 F1 WH1 A-1
보일러 (LNG) (LNG)
연소 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1호기 보일러의 도시가스(LNG) 사용량은 도시가스 공급사로부터 발행되는 세금계산서
상으로 사용량을 결정함

- 17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5. 이동연소(항공)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민간 201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민간 활동명 배출 터링
A 항공기 증 8-0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2 0 항공기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국내 설 1-0 (unit) 코드명 료흐름
#1
운항) 1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동 직접배출 제트용 제트용
거래처
2 0 0 1 연소 Unit1 (대기 중 등유(JET 등유(JET F1 WH1 A-1
주유기
(항공) 비산) A-1,JP-B) A-1)
이동 직접배출 제트용 제트용
내부
2 0 0 1 연소 Unit2 (대기 중 등유(JET 등유(JET F1 FL1 B
주유기
(항공) 비산) A-1,JP-B) A-1)
이동 직접배출 제트용 제트용
2 0 0 1 연소 Unit3 항공기 (대기 중 등유(JET 등유(JET F1 (FL)2 D
(항공) 비산) A-1,JP-B) A-1)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연료사용량은 항공유 공급사 차량 주유기로 주유 후, 거래처 제공 주유고지서 상 구
매량을 기준으로 함, 항공유 사용량은 운영유지팀에서 모든 운항편의 급유량 데이터를 수집・관리함
(ERP 시스템 이용)
2) F1/FL1 : 민간항공기 연료주유량은 검교정된 내부 주유기를 통해 주입된 주유량을 기준으로 함
2) F1/(FL)2 : 민간항공기 잔여연료량은 항공기 연료탱크 레벨게이지를 통한 전편 잔량 및 해당편 잔량을
기준으로 함
민간항공기의 연료소비량은 전편 남은 연료 및 연료 구매량의 합에서 해당편 남은 연료를 제외하여 산정
함( 연료소비량 = 전편 남은 연료 + 연료주유량 – 해당편 남은 연료), 부피변환 인자(표준밀도 0.8)를
반영하여 환산(ℓ→kg), 유,무상 비행에 상관없이 국내공항에서 국내공항으로 운항하는 모든 항공편
의 연료소비량을 산정함, 운항관리시스템을 통해 국내선의 실제 이착륙 회수를 집계하여 LTO 집계

- 17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6. 이동연소(도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화물 화물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8 3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자동차 자동차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동


화물 직접배출 가스/디젤 가스/디젤
2 0 0 2 연소 Unit1 F1 WH1 A-1
자동차 (대기 중 비산) 오일(경유) 오일(경유)
(도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화물자동차 경유 사용량은 거래처(주유소) 제공 주유고지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경유사용량은 경영지원팀에서 주요고지서 및 운행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보유・운영 중인
화물자동차(차량번호 : 9999, 9988, 9977) 3대의 연간주유량을 해당 시설의 사용량으로 결정

- 17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7. 이동연소(철도)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A 디젤 디젤 활동명 배출 터링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1 6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사업장 기관차 기관차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동 직접배출
디젤 가스/디젤 가스/디젤
2 0 0 3 연소 Unit1 (배기구로 F1 WH1 A-1
기관차 오일(경유) 오일(경유)
(철도) 전량 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디젤기관차의 가스/디젤오일(경유) 사용량은 구매처(주유소)에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의


구매량을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하며, 구매팀에서 세금계산서를 관리함

- 17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8. 이동연소(선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기타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1 0 시운전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선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동연소( 저장 선박으로 가스/디젤 가스/디젤
2 0 0 4 Unit1 F1 WH1 A-1
선박) 탱크 배출 오일(경유) 오일(경유)

이동연소( 선박으로 가스/디젤 가스/디젤


2 0 0 4 Unit1 시운전 F1 FL1 A-3
선박) 배출 오일(경유) 오일(경유)

이동연소( 선박으로 가스/디젤 가스/디젤


2 0 0 4 Unit2 선주사 F1 (FL)2 C-1
선박) 배출 오일(경유) 오일(경유)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경유 구매량은 거래처에서 제공하는 세금계산서의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2) F1/FL1 : 시운전용 경유 사용량은 검・교정된 내부 주유기를 통해 주입된 주유량을 기준으로 함
3) F1/(FL)2 : 시운전 후 잔여연료량은 선박의 연료탱크 레벨게이지를 통한 잔량을 기준으로 하며, 이를 선주사
의 경유 사용량으로 결정함
(시운전 경유 사용량 = FL1-(FL)2)

- 17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9. 시멘트 생산_소성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소성 배출 온실가스 모니
A 소성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3 시설 A 활동명 배출 터링
사업장 시설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Kiln)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액체
굴뚝으로
1 0 0 3 연료 Unit1 소성로 B-C유 B-C유 F1 WH1 A-1
전량배출
연소
고체
굴뚝으로 기타
1 0 0 2 연료 Unit1 소성로 폐타이어 F2 WH2 A-1
전량배출 고체연료
연소
고체
굴뚝으로 석유코크 석유코크
1 0 0 2 연료 Unit1 소성로 F3 WH3 A-1
전량배출 (고체) (고체)
연소
시멘트 굴뚝으로 기타 기타
4 0 0 1 Unit2 예열기 R1 FL1 B
생산 전량배출 탄산염류 탄산염류
시멘트 시멘트
시멘트 굴뚝으로
4 0 0 1 Unit1 소성로 킬른먼지 킬른먼지 P1 FL2 B
생산 전량배출
(CKD) (CKD)

시멘트 굴뚝으로
4 0 0 1 Unit3 냉각기 클링커 클링커 P2 (FL)3 D
생산 전량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외부에서 반입한 B-C유의 구매 영수증으로 사용량을 집계하여 활동자료 수집
2) F2/WH2 : 외부에서 구매한 폐타이어의 영수증으로 사용량 집계하며, 가연성폐기물 내 바이오매스는
외부 분석기관의 성분분석 결과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제외함

- 17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 F3/WH3 : 외부에서 반입되는 코크스의 구매 영수증으로 사용량을 집계하여 활동자료 수집


4) R1/FL1 : 검・교정을 받은 계근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예열기에 투입되는 기타 탄산염류 사용량으로
결정하고, 내부 log sheet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5) P1/FL2 : 시멘트킬른 먼지 반출량의 경우 외부 반출 전 검・교정을 받은 내부 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값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함
6) P2/(FL)3 : 클링커 생산량은 KS L0006에 따라 원료 투입량으로부터 클링커 팩터 계수를 고려하여
계산함(클링커 생산량 = 원료투입량/1.65)
※ 할당대상업체는 할당시 적용한 사업장 고유배출계수에 비탄산염 원료의 자료가 포함된 경우 해당 비탄
산염은 매 이행연도의 사업장 고유배출계수 개발에 포함시켜야 한다.
※ 클링커 팩터는 계획기간내에 일관된 값을 적용해야 하며, 차기 계획기간에 클링커 팩터를 변경할 경우
에는 배출량 산정계획의 추가검토 요청을 해야 한다.

- 17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10. 석회 생산_소성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소성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A 소성로 활동명 배출 터링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3 시설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사업장 1호기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Kiln)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고체
굴뚝으로 수입 수입
1 0 0 1 연료 Unit1 로드셀 F1 FL1 B
전량 배출 무연탄 무연탄
연소
고체
소성 굴뚝으로 수입 수입
1 0 0 1 연료 Unit2 F1 (FL)2 D
시설 전량 배출 무연탄 무연탄
연소
생석회 석회
석회 소성 굴뚝으로
4 0 0 2 Unit1 (산화칼슘,C (생석회/ P1 FL1 B
생산 시설 전량 배출
aO) 백운석)
생석회 석회
석회 소성 굴뚝으로
4 0 0 2 Unit1 (산화칼슘,C (생석회/ P2 FL1 B
생산 시설 전량 배출
aO) 백운석)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FL1 : 전체 연료입고량은 무연탄 입고시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로드셀)를 통해 측정된 입고량을
기준으로 함, 월 총 입고량을 확인하여 사용량 및 재고량을 확인함. 무연탄 입고량은 자재팀에서
거래명세서 및 입고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2) F1/(FL)2 : 전체 연료사용량은 입고・저장된 무연탄을 각 소성로 투입시 내부계측기를 통해 측정한
투입량을 기준으로 함, 일 사용량은 익일 생산일지를 통해 확인하여 사용량 및 재고량을 관리함. 무연탄
사용량은 공정운영팀에서 생산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3) P1/FL1 : 생석회 생산량은 월별 생산량 총합과 각 소성로별 투입량 및 제품생산량 대비 회수율을
기준으로 함, 총 출하량은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로드셀)를 통해 관리함. 제품 생산량은 생산팀에서
생산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4) P2/FL1 : 경소백운석 생산량은 월별 생산량 총합과 각 소성로별 투입량 및 제품생산량 대비 회수율을
기준으로 함, 총 출하량은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로드셀)를 통해 관리함. 제품생산량은 생산팀에서
생산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 17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1.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_용융융해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용융・ 용융・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5 2 용해 용해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체 용융・
굴뚝으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1 용해 F1 WH1 A-1
전량 배출 (LNG) (LNG)
연소 시설

탄산염의 소다회 소다회


굴뚝으로
4 0 0 3 기타 공정 Unit2 계근대 (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R1 WH2 A-1
전량 배출
사용 Na2CO3) Na2CO3)

탄산염의 소다회 소다회


소다회 굴뚝으로
4 0 0 3 기타 공정 Unit3 (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R1 FL1 A-3
저장탱크 전량 배출
사용 Na2CO3) Na2CO3)

백운석 백운석
탄산염의
굴뚝으로 (돌로마이트, (돌로마이트,
4 0 0 3 기타 공정 Unit2 계근대 R2 WH2 A-1
전량 배출 CaMg・ CaMg・
사용
(CO3)2) (CO3)2)
백운석 백운석
탄산염의
백운석 굴뚝으로 (돌로마이트, (돌로마이트,
4 0 0 3 기타 공정 Unit4 R2 FL2 A-3
저장탱크 전량 배출 CaMg・ CaMg・
사용
(CO3)2) (CO3)2)

탄산염의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2 계근대 R3 WH2 A-1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 17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용융・용해시설의 도시가스(LNG) 사용량은 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는 월별 고지서의 탄산염의
석회석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구매량을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하며, 구매팀에서 월별 고지서를 관리함 4 0 0 3 기타 공정 Unit5 R3 FL3 A-3
저장탱크 전량 배출 (CaCO3) (CaCO3)
2) R1/WH2 : 소다회(탄산나트륨)의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발행된 사용
입고 송장을 구매팀에서 수집・관리함 고체
굴뚝으로 코크스 코크스
3) R1/FL1 : 용융・용해시설의 소다회(탄산나트륨)의 사용량은 소다회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N년도 1 0 0 1 연료 Unit2 계근대 R4 WH2 A-1
전량 배출 (석탄) (석탄)
1월1일 재고량-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연소
4) R2/WH2 : 백운석(돌로마이트)의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발행된 고체
코크스 굴뚝으로 코크스 코크스
1 0 0 1 연료 Unit6 R4 FL4 A-3
입고 송장을 구매팀에서 수집・관리함 저장탱크 전량 배출 (석탄) (석탄)
연소
5) R2/FL2 : 용융・용해시설의 백운석(돌로마이트)의 사용량은 백운석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
액체 용융・
+(N년도 1월1일 재고량-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굴뚝으로
1 0 0 3 연료 Unit1 용해 B-C유 B-C유 F2 FL5 B
6) R3/WH2 : 석회석(탄산나트륨)의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발행된 전량 배출
연소 시설
입고 송장을 구매팀에서 수집・관리함
7) R3/FL3 : 용융・용해시설의 석회석(탄산나트륨)의 사용량은 석회석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
+(N년도 1월1일 재고량-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8) R4/WH2 : 코크스(석탄)의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발행된 입고 송장을
구매팀에서 수집・관리함
9) R4/FL4 : 용융・용해시설의 코크스(석탄)의 사용량은 코크스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N년도 1월1일
재고량-(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10) F2/FL5 : 용융・용해시설의 B-C유 사용량은 검・교정을 받은 내부 계측기기(유량계)를 통해 검침한
값이 기록된 내부 운영일지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 17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2. 탄산염의 기타 공정사용_배연탈황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터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배연 탈황 활동명 배출 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2 4 탈황 설비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1호기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탄산염의
석회석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1 R1 WH1 A-1
Silo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탄산염의 탈황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2 설비 R1 (FL)1 C-1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1호기)
탄산염의 탈황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3 설비 R1 (FL)2 C-1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2호기)
탄산염의 탈황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4 설비 R1 (FL)3 C-1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3호기)
탄산염의 탈황
굴뚝으로 석회석 석회석
4 0 0 3 기타 공정 Unit5 설비 R1 (FL)4 C-1
전량 배출 (CaCO3) (CaCO3)
사용 (4호기)

- 18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총 석회석 입고량은 구매처에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하며, 자재팀에서 발행된
세금계산서를 수집・관리함
2) R1/(FL)1 : 탈황설비 1호기의 석회석 사용량은 ‘전체 석회석 입고량(WH1) × 각 탈황설비 전단에 설치된
Slurry Tank 유량계의 측정값 비율(FL1/(FL1+2+3+4))’로 결정
3) R1/(FL)2 : 탈황설비 2호기의 석회석 사용량은 ‘전체 석회석 입고량(WH1) × 각 탈황설비 전단에 설치된
Slurry Tank 유량계의 측정값 비율(FL2/(FL1+2+3+4))’로 결정
4) R1/(FL)3 : 탈황설비 3호기의 석회석 사용량은 ‘전체 석회석 입고량(WH1) × 각 탈황설비 전단에 설치된
Slurry Tank 유량계의 측정값 비율(FL3/(FL1+2+3+4))’로 결정
5) R1/(FL)4 : 탈황설비 4호기의 석회석 사용량은 ‘전체 석회석 입고량(WH1) × 각 탈황설비 전단에 설치된
Slurry Tank 유량계의 측정값 비율(FL4/(FL1+2+3+4))’로 결정

- 18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3. 유리 생산_용융융해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용융・ 활동명 배출 터링
A 용해로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5 2 용해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1호기 (unit) 코드명 료흐름
5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액체
용해로 굴뚝으로
1 0 0 3 연료 Unit1 B-C유 B-C유 F1 WH1 A-1
1호기 전량 배출
연소
액체
용해로 굴뚝으로
1 0 0 3 연료 Unit1 B-C유 B-C유 F1 (FL)1 C-1
1호기 전량 배출
연소
유리 굴뚝으로
4 0 0 5 Unit2 보일러 유리 파유리 R1 FL2 B
생산 전량 배출
유리 굴뚝으로
4 0 0 5 Unit2 보일러 유리 유리제품 P1 FL3 B
생산 전량 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연료사용량은 거래처 제공 월별 고지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B-C유 사용량은 자재
관리팀에서 입고시 계근하여 용해로 연료사용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2) F1/(FL)1 : 용해로 투입 연료량은 자체 검・교정된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용해로 #1에 사용량을
기준으로 함. (ERP 시스템 이용)
3) R1/FL2 : 전체 원료투입량은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중량계)를 통해 측정한 투입량을 기준으로 함.
투입한 Cullet 양은 용해로 원료 사용일지 기록을 통해 수집・관리함
4) P1/FL3 : 총 생산량은 생산중량을 기준으로 관리함. 생산수량에 제품별 중량을 통해 산정함(생산중량=
생산수량×제품별 중량), 총 생산중량은 생산관리팀에서 일별 생산량을 시간대별 제품단위중량을 검・
교정된 내부계측기(전기식 저울)를 통해 측정하여 기록・관리함(ERP 시스템 이용)

- 18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14. 인산 생산_인산생산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인산 인산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1 0 3 생산 제조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인산
인산 굴뚝으로
4 0 0 4 Unit1 제조 인광석 인광석 R1 FL1 B
생산 전량배출
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구매한 인광석을 자체 정도관리를 실시하는 내부계측기인 로드셀을 통해
반응공정에 투입함으로써 로드셀에 측정된 값으로 활동자료 수집

- 18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5. 석유정제활동(수소제조)_수소제조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세부
코드 온실가스 모니
활동명 일련 시설 측정지
수소제 배출 터링
A 수소제조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6 조공정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공정 (unit) 코드명 료흐름
#1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석유
수소
정제
제조 나프타
4 0 1 1 활동 Unit1 고정 배출 나프타 R1 FL1 B
공정 (납사)
(수소
#1
제조)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수소제조 공정 원료투입량은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나프타 투입량을 기준으로 함.
나프타 투입량은 공정운영팀에서 작업일지를 기록하여 수집・관리함

- 18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16. 석유정제활동(촉매재생)_촉매재생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측정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온실가스 배출
촉매 촉매 활동명 지점 터링
A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 활동자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6 8 재생 재생 C 활동자료명 기호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공정 공정
석유정제
촉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활동 굴뚝으로 전량
4 0 1 2 Unit1 재생 공기 공기 R1 FL1 B
(촉매 배출
공정
재생)
석유정제
촉매
활동 굴뚝으로 전량
4 0 1 2 Unit1 재생 공기 공기 R1 FL2 B
(촉매 배출
공정
재생)
석유정제
촉매
활동 굴뚝으로 전량 이산화 이산화
4 0 1 2 Unit1 재생 P1 FL3 B
(촉매 배출 탄소(CO2) 탄소(CO2)
공정
재생)
석유정제 기타
촉매 일산화
활동 굴뚝으로 전량 최종・중간
4 0 1 2 Unit1 재생 탄소 P2 FL3 B
(촉매 배출 생산물/
공정 (CO)
재생) 부산물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촉매재생공정의 공기(Air)투입량(㎥)은 검・교정을 받는 내부 계측기기로 검침한 값을 기준으로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고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총 공기투입량(㎥)=FL1+FL2)

- 18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 R1/FL2 : 촉매재생공정의 공기(Air)투입량(㎥)은 검・교정을 받는 내부 계측기기로 검침한 값을 기준으로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고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총 공기투입량(㎥)=FL1+FL2)
3) P1/FL3 : 검・교정을 받는 내부 계측기기(CO, CO2 농도 분석기기)로 촉매재생공정 후단에서 배기가스 중
CO2 농도를 측정하고, ERP 시스템에 자동으로 업로드함. 활동자료 사용량은 ‘공기 투입량(㎥)×CO,
CO2 농도비의 합’으로 결정함
4) P2/FL3 : 검・교정을 받는 내부 계측기기(CO, CO2 농도 분석기기)로 촉매재생공정 후단에서 배기가스
중 CO 농도를 측정하고, ERP 시스템에 자동으로 업로드함. 활동자료 사용량은 ‘공기 투입량(㎥)×CO,
CO2 농도비의 합’으로 결정함

- 18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17. 질산 생산_질산제조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질산 활동명 배출 터링
A 질산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6 5 제조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공정 #1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질산
질산 질산 질산
4 0 1 5 Unit1 제조 공정 내 배출 P1 FL1 B
생산 (HNO3) 생산량
공정 #1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P1/FL1 : 총 제품생산량은 최종 공정에서 저장탱크로 가는 이송라인에 설치된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유량계)
측정값을 기준으로 함. 총 질산 생산량은 생산팀에서 ERP에 전송되는 측정값을 기준으로 관리함.

- 18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8. 아디프산 생산_아디프산 생산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온실가스 배출 측정지
A 아디프산 아디프산 활동명 터링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4 0 B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사업장 생산시설 생산시설 활동자료명 유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타 시클로
아디프산 아디프산 굴뚝으로 전량
4 01 6 Unit1 원료/촉매/ 헥산 R1 WH1 A-1
생산 생산시설 배출
환원제 (C6H12)
액체연료 아디프산 굴뚝으로 전량 기타
1 00 3 Unit1 KA-Oil R2 WH2 A-1
연소 생산시설 배출 액체연료
아디프산 아디프산 굴뚝으로 전량 질산 질산
4 01 6 Unit1 R3 WH3 A-1
생산 생산시설 배출 (HNO3) (HNO3)
아디프산 아디프산
아디프산 아디프산 굴뚝으로 전량
4 01 6 Unit1 (Adipic (Adipic P1 FL1 B
생산 생산시설 배출
Acid) Acid)
기타
아디프산 아디프산 굴뚝으로 전량 최종・중간
4 01 6 Unit1 부산물 P2 FL2 B
생산 생산시설 배출 생산물/
부산물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시클로헥산 사용량은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 결정


하며, 세금계산서는 구매팀에서 관리함

- 18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2) R2/WH2 : KA-Oil 사용량은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 결정


하며, 세금계산서는 구매팀에서 관리함
3) R3/WH3 : 전체 질산 사용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발행된 입고 송장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하며, 입고송장은 구매팀에서 관리함
4) P1/FL1 : 검・교정을 받은 계근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아디프산 생산량으로 결정하고, 생산일지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5) P2/FL2 : 검・교정을 받은 계근대를 통해 측정된 값을 부산물 생산량으로 결정하고, 생산일지를 통해
수집・관리함

- 18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19. 석유화학제품 생산_아크릴로니트릴생산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측정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온실가스 배출
아크릴로 활동명 지점 터링
A AN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 활동자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4 2 니트릴생 C 활동자료명 기호 유형
사업장 공정 (unit) 코드명 료흐름
산공정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아크릴로


석유화학 굴뚝으로 전량 프로필렌 프로필렌
4 0 1 9 Unit1 니트릴 R1 FL1 B
제품생산 배출 (C3H6) (C3H6)
공정

아크릴로 기타
석유화학 굴뚝으로 전량
4 0 1 9 Unit1 니트릴 원료/촉매/ 아세트산 R2 FL2 B
제품생산 배출
공정 환원제

아크릴로 기타
석유화학 굴뚝으로 전량 Glycolic
4 0 1 9 Unit1 니트릴 원료/촉매/ R3 FL3 B
제품생산 배출 Acid
공정 환원제

기타
석유화학 아세토니 굴뚝으로 전량
4 0 1 9 Unit2 원료/촉매/ NaOH R4 FL4 B
제품생산 트릴공정 배출
환원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아크릴로 아크릴로니 아크릴로니


석유화학 굴뚝으로 전량 WH
4 0 1 9 Unit1 니트릴 트릴 트릴 P1 A-1
1) R1/FL1 : 프로필렌 사용량은 아크릴로니트릴 공정 투입 전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를 통해 검침한 값을 제품생산 배출 1
공정 (AN) (AN)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여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2) R2/FL2 : 아세트산 사용량은 아크릴로니트릴 공정 투입 전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를 통해 검침한 값을 기타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여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석유화학 유안비료 굴뚝으로 전량 최종・중간 WH
4 0 1 9 Unit3 유안비료 P2 A-1
3) R3/FL3 : Glycolic Acid 사용량은 아크릴로니트릴 공정 투입 전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를 통해 검침한 값을 제품생산 공정 배출 생산물/ 2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여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부산물

- 19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 R4/FL4 : NaOH는 아세토니트릴 공정 투입 전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를 통해 검침한 값을 설비 운영일지에 기타


석유화학 청화소다 굴뚝으로 전량 최종・중간 청화소다 WH
기록하여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4 0 1 9 Unit4 P3 A-1
제품생산 공정 배출 생산물/ (NaCN) 3
5) P1/WH1 : 1차 생산제품(아크릴로니트릴)의 생산량은 상거래용 측정기기의 계측값을 기준으로 부산물
기록한 세금계산서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아세토 아세토
석유화학 아세토니 굴뚝으로 전량
6) P2/WH2 : 2차 생산제품(유안비료)의 생산량은 상거래용 측정기기의 계측값을 기준으로 기록한 세금 4 0 1 9 Unit5 니트릴 니트릴 P4 FL5 B
제품생산 트릴공정 배출
계산서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CH3CN) (CH3CN)
7) P3/WH3 : 2차 생산제품(청화소다)의 생산량은 상거래용 측정기기의 계측값을 기준으로 기록한 세금
계산서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8) P4/FL5 : 2차 생산제품(아세토니트릴)의 생산량은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를 통해 탱크의 수위 데이터를
검침한 값을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 19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0. 불소화합물 생산_기타 불소화합물 생산 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기타 불소 기타 불소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 2 2 - 3 3 3 3 3 001 0 0 0 9 화합물 화합물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생산공정 생산공정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불소


화합물생 불소 기타
대기로
4 0 2 0 산 Unit1 화합물 원료/촉매/ 불소공정 R1 FL1 B
전량배출
(HCFC- 생산공정 환원제
22생산)
불소
화합물생 불소 기타
대기로
4 0 2 0 산 Unit1 화합물 원료/촉매/ 불소공정 R1 FL2 B
전량배출
(HCFC- 생산공정 환원제
22생산)

불소
화합물생 불소
대기로
4 0 2 0 산 Unit1 화합물 HCFC-22 HCFC-22 P1 FL3 B
전량배출
(HCFC- 생산공정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22생산)

1) R1/FL1, 2 : 공정에 투입되는 원료량을 측정하며, 검교정 되는 자체 차압전송기로 측정하는 수위차를 활동 불소


화합물생 불소
자료로 수집하여 일지로 관리함 대기로
4 0 2 0 산 Unit1 화합물 HCFC-23 HCFC-23 P2 FL4 B
2) P1/FL3 : 2개의 건조기에 부착된 검교정 되는 자체 계측기로 활동자료를 수집하며, 생산량을 내부 일지를 전량배출
(HCFC- 생산공정
통해 관리함 22생산)
3) P2/FL4 : 2개의 건조기에 부착된 검교정 되는 자체 계측기로 활동자료를 수집하며, 생산량을 내부
일지를 통해 관리함

- 19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21. 철강 생산_전기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A 활동명 배출 터링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6 0 전기로 전기로 B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사업장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배출
사업장전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WH1 A-1

전기 사용)

간접배출
전기
6 0 0 1 (외부 Unit2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FL)1 C-1
아크로
전기 사용)

간접배출
전기 굴뚝으로
6 0 0 1 (외부 Unit2 전력 전기 F1 (FL)2 C-1
아크로 배출
전기 사용)

간접배출
전기 굴뚝으로
6 0 0 1 (외부 Unit2 전력 전기 F1 (FL)3 C-1
아크로 배출
전기 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간접배출


전기 굴뚝으로
6 0 0 1 (외부 Unit2 전력 전기 F1 (FL)4 C-1
아크로 배출
1) F1/WH1 : 한국전력에서 관리하는 법정 전력량계와 고지서를 통해 활동자료 수집 전기 사용)
2) F1/(FL)1~4 : 정기검사를 받지 않은 전기로 자체 내부 전력계(측정기기)를 통하여 전력 전기 굴뚝으로 전기로 전기로
4 0 2 1 철강 생산 Unit2 R1 WH2 A-1
사용량 산출 아크로 배출 가탄제 가탄제
전기 굴뚝으로 탄소 탄소
3) R1/WH2 : 전기로가탄제 값은 계근대를 이용한 입고량 관리 및 ERP 입고량 값으로 수집 4 0 2 1 철강 생산 Unit2 R2 WH3 A-1
아크로 배출 전극봉 전극봉
4) R2/WH3 : 탄소전극봉 값은 계근대를 이용한 입고량 관리 및 ERP 입고량 값으로 수집 전기 굴뚝으로 합금철 합금철
4 0 2 1 철강 생산 Unit2 R3 WH4 A-1
5) R3/WH4 : 합급철 값은 계근대를 이용한 입고량 관리 및 ERP 입고량 값으로 수집 아크로 배출 (Fe-Si) (Fe-Si)

- 19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2. 철강 생산_일관제철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온실가스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모니터
코드 일련 시설 배출 측정지
일관 일관 활동명 링
A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활동자료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6 0 제철 제철 C 유형
사업장 (unit) 설명 코드명 명 료흐름
공정 공정#1
굴뚝으로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Fe-Mn Fe-Mn R1 FL1 B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배출
굴뚝으로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전극봉 전극봉 F1 미설치 D
배출
굴뚝으로 연료용유연 연료용유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F2 FL3 B
배출 탄 연탄
굴뚝으로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무연탄 무연탄 F3 FL4 B
배출
굴뚝으로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가탄제 가탄제 F4 FL5 B
배출
굴뚝으로
4 0 2 1 철강생산 unit1 일관제철공정 석회석 석회석 F5 FL6 B
배출
코크스가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발생 코크스가스 P1 FL7 B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발생 고로가스 고로가스 P2 FL8 B
파이넥스가 파이넥스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발생 P3 FL9 B
스 가스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판매 조경유 조경유 P4 FL10 B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판매 콜타르 콜타르 P5 FL11 B

4 0 2 1 철강생산 unit2 일관제철공정 판매 철스크랩 철스크랩 P6 FL12 B

4 0 2 1 철강생산 unit3 일관제철공정 판매 조강 조강 P7 FL13 B

4 0 2 1 철강생산 unit3 일관제철공정 판매 선철 선철 P8 FL14 B

- 19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원료, 부산물, 제품 등의 활동자료는 각 자체 계측기기로부터 DCS로 전송된 후 PIS 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로 결정함
2) F1/미설치 : 전극봉의 사용량의 경우 구매부서에서 매월 불출된 개수에 표준 중량을 곱하여 사용량으로
결정함
3) F2~F5, P1~P10/FL3~FL16 : 원료, 부산물, 제품 등의 활동자료는 각 자체 계측기기로부터 DCS로
전송된 후 PIS 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로 결정함

- 19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3. 철강 생산_용선로(제선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용선로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 2 2 - 3 3 3 3 3 001 0 0 5 1 또는 제선부문 C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제선로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체 파이넥스가
용선로, 대기로
1 0 0 2 연료 Unit1 스 FOG F1 FL1 B
제선로 전량배출
연소 (FOG)

기체 코크스
용선로, 대기로
1 0 0 2 연료 Unit1 가스 COG F2 FL2 B
제선로 전량배출
연소 (COG)

간접배출(
용선로,
6 0 0 2 외부열사 Unit1 간접배출 열(스팀) 열(스팀) F3 WH1 A-1
제선로
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 F2/FL1, 2 : 자체 관리되고 있는 계측기를 토대로 활동자료 수집. 온압보정 되고 있음


간접배출(
2) F3/WH1 : 스팀공급업체의 열량계를 토대로 스팀공급량을 측정하고 활동자료는 공급업체에서 발행된 용선로,
6 0 0 1 외부전기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4 WH2 A-1
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수집하고 있음 제선로
사용)
3) F4/WH2 : 한전의 전력량계를 토대로 전력량을 수집하고 있음. 전력 고지서를 기준으로 활동자료
수집하고 있음

- 19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24. 합금철 생산_전기로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터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6 0 전기로 전기로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합금철 굴뚝으로 망간광 망간광
4 0 2 2 Unit1 전기로 R1 WH1 A-1
생산 전량 배출 (Fe-Mn) (Fe-Mn)
합금철 망간광 굴뚝으로 망간광 망간광
4 0 2 2 Unit1 R1 FL1 A-3
생산 저장탱크 전량 배출 (Fe-Mn) (Fe-Mn)
합금철 굴뚝으로 코크스 코크스
4 0 2 2 Unit1 전기로 R2 WH2 A-1
생산 전량 배출 (석탄) (석탄)
합금철 코크스 굴뚝으로 코크스 코크스
4 0 2 2 Unit1 R2 FL2 A-3
생산 저장탱크 전량 배출 (석탄) (석탄)
합금철 굴뚝으로 기타 중탄산
4 0 2 2 Unit1 전기로 R3 WH3 A-1
생산 전량 배출 탄산염류 나트륨
중탄산
합금철 굴뚝으로 기타 중탄산
4 0 2 2 Unit1 나트륨 R3 FL3 A-3
생산 전량 배출 탄산염류 나트륨
저장탱크
합금철 굴뚝으로 탄소 탄소
4 0 2 2 Unit1 전기로 R4 WH4 A-1
생산 전량 배출 전극봉 전극봉
간접배출 굴뚝으로
6 0 0 1 (외부전기 Unit1 전기로 전력 전기 F1 WH5 A-1
사용) 전량 배출

합금철 굴뚝으로 망간철 망간철


4 0 2 2 Unit1 전기로 P1 WH6 A-1
생산 전량 배출 (Fe-Mn) (Fe-Mn)
실리콘
합금철 굴뚝으로 실리콘 망간
4 0 2 2 Unit1 전기로 망간 P2 WH7 A-1
생산 전량 배출 (Si-Mn)
(Si-Mn)
합금철 굴뚝으로
4 0 2 2 Unit1 전기로 슬래그 슬래그 P3 FL4 B
생산 전량 배출

- 19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망간광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에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며, 측정량이 기록된 입고
송장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2) R1/FL1 : 전기로의 망간광 사용량은 망간광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N년도 1월1일 재고량-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3) R2/WH2 : 코크스(석탄)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한 값이 기록된 입고송장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4) R2/FL2 : 전기로의 코크스 사용량은 코크스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N년도 1월1일 재고량 -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5) R3/WH3 : 중탄산나트륨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에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며, 측정량이
기록된 입고송장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6) R3/FL3 : 전기로의 중탄산나트륨 사용량은 코크스 저장탱크의 ‘신규 구매량+(N년도 1월1일
재고량- (N+1)년도 1월 1일 재고량)’을 기준으로 수집・결정함
7) R4/WH4 : 탄소전극봉 입고량은 상거래용 계근대에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하며, 측정량이
기록된 입고송장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8) F1/WH5 : 전기 사용량은 매월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받는 월별 고지서를 기준으로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9) P1/WH6 : 망간철 생산량은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Truck Scale(상거래용)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생산일지에 기록함.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10) P2/WH7 : 실리콘망간 생산량은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Truck Scale(상거래용)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
하고 생산일지에 기록함.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11) P3/FL4 : 슬래그(부산물) 생산량은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Truck Scale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생산일지에 기록함.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 19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25. 납 생산_용융융해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용융・ 활동명 배출 터링
A 용융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5 2 용해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융해로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직접제련 굴뚝으로 소다회
4 0 2 4 납생산 Unit1 소다수 R1 WH1 A-1
공정 전량 배출 (탄산나트륨)
직접제련 굴뚝으로 소다회
4 0 2 4 납생산 Unit1 소다수 R1 FL1 A-3
공정 전량 배출 (탄산나트륨)
직접제련 굴뚝으로
4 0 2 4 납생산 Unit1 정광 정광 R2 FL2 B
공정 전량 배출
기체연료 ISF/ 굴뚝으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Unit2 F1 WH2 A-1
연소 2차가공 전량 배출 (LNG) (LNG)
기체연료 ISF/ 굴뚝으로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Unit2 F1 (FL)3 C-1
연소 2차가공 전량 배출 (LNG) (LNG)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간접배출(
1) R1/WH1 : 계근대 입고 후 탱크 저장 전 상거래용으로 이용되는 계량기의 계측값을 기록한 입고일지를 ISF/ 굴뚝으로
6 0 0 1 외부전기 Unit2 전력 전기 F2 WH3 A-1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관리함 2차가공 전량 배출
사용)
2) R1/FL1 : 계근대 입고 후 탱크 저장하며 직접제련 공정 투입 전 레벨계측기로 재고관리함
간접배출(
3) R2/FL2 : 계근대 입고 후 저광사에서 계근 값을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함 ISF/ 굴뚝으로
6 0 0 1 외부전기 Unit2 전력 전기 F2 (FL)4 C-1
2차가공 전량 배출
4) F1/WH2 : 공급처로부터 제공받는 월별 고지서로 수집/관리하며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의 사용)
측정값을 이용하여 ISF/2차가공 시의 사용량을 결정함 ISF/ 굴뚝으로
4 0 2 4 납생산 Unit2 납 납 P1 FL5 B
5) F1/(FL)3 : ISF/2차 가공시의 LNG 투입량은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자체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량을 2차가공 전량 배출
검침하고 운영일지에 측정값을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관리 함 ISF/ 굴뚝으로
4 0 2 4 납생산 Unit2 납 납 P2 FL6 B
6) F2/WH3 : 공급처로부터 제공받는 월별 고지서로 수집/관리하며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내부 측정기기의 2차가공 전량 배출
측정값을 이용하여 ISF/2차가공 시의 사용량을 결정함
7) F2/(FL)4 : ISF/2차 가공시의 전기 사용량은 정도검사를 받지 않은 자체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량을
검침하고 운영일지에 측정값을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수집・관리 함

- 19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8) P1/FL5 : 직접제련 공정의 납 생산량은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를 통해 생산량을


수집하고 생산일지를 통해 활동자료를 관리함
9) P2/FL6 : ISF/2차가공 시의 납 생산량은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기를 통해 생산량을 수집하고
생산일지를 통해 활동자료를 관리함

- 20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26. 전자산업(광전지)_식각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식각 식각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9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시설 시설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전자
식각 굴뚝으로 육불화황
4 0 2 7 산업 Unit1 SF6 R1 WH1 A-1
장비 전량 배출 (SF6)
(광전지)

전자
식각 굴뚝으로 육불화황
4 0 2 7 산업 Unit1 SF6 R1 FL1 A-3
장비 전량 배출 (SF6)
(광전지)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총 원료 구매량은 특수가스공급사(스페셜가스사)에서 제공하는 구매영수증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SF6 구매량은 자재팀에서 구매영수증 의 구매량를 수집・관리함(ERP 시스템 이용)
2) R1/FL1 : 총 원료 사용량은 식각장비 불출사용량을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를 이용해 측정한 불출사용량을
기준으로함. SF6 투입량은 자재팀에서 불출요청서 상 불출요청량을 수집・관리함(ERP 시스템 이용)

- 20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7. 전자산업(디스플레이)_식각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식각 식각 폐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9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시설 시설 쇄*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전자


산업 식각 굴뚝으로 육불화황
4 0 2 6 Unit1 SF6 R1 WH1 A-1
(디스 장비 전량 배출 (SF6)
플레이)
전자
산업 식각 굴뚝으로 육불화황
4 0 2 6 Unit1 SF6 R1 FL1 A-3
(디스 장비 전량 배출 (SF6)
플레이)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총 원료 구매량은 특수가스공급사(스페셜가스사)에서 제공하는 구매영수증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SF6 구매량은 자재팀에서 구매영수증 의 구매량를 수집・관리함(ERP 시스템 이용)
2) R1/FL1 : 총 원료 사용량은 식각장비 불출사용량을 검교정된 내부계측기를 이용해 측정한 불출사용량을
기준으로함. SF6 투입량은 자재팀에서 불출요청서 상 불출요청량을 수집・관리함(ERP 시스템 이용)

※ 폐쇄시설 작성: 해당 계획기간 내 폐쇄된 배출시설의 경우에도 ‘3-2.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서식을 입력하여야 함

- 20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28. 전자산업(반도체)_식각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세부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배출 온실가스 활동자료 정보 모니터
일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링
A 반도체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7 기타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제조시설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C2F6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2F6 R1 WH1 A-1
(PFC-116)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C3F8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3F8 R2 WH2 A-1
(PFC-218)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4F6 C4F6 R3 WH3 A-1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c-C4F8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4F8 R4 WH4 A-1
(PFC-318)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CF4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F4 R5 WH5 A-1
(PFC-14)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CH2F2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CH2F2 R6 WH6 A-1
(HFC-32)
(반도체) 시설 배출

전자 식각, 대기방지시설을
육불화황
4 0 2 5 산업 Unit1 증착 통해 굴뚝으로 SF6 R7 WH7 A-1
(SF6)
(반도체) 시설 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7/WH1~7 : 각 가스 사용량은 구매한 가스 용기 수량과 용량으로 활동자료를 수집하며 구매된 가스는
자재(가스) 창고에서 보관하고 공정 사용 시 내부 전산시스템에 기록하여 종류별 월별 사용량을 관리함

- 20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29. 연료전지_연료전지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측정 모니
코드 일련 시설
활동명 배출 활동 지점 터링
A 연료 연료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1 0 6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자료 기호 유형
사업장 전지 전지 (unit) 코드명
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연료 연료 직접배출 천연가스 천연가스
4 0 5 0 Unit1 R1 WH1 A-1
전지 전지 (대기 중 비산) (LNG) (LNG)

연료 연료 직접배출 천연가스 천연가스


4 0 5 0 Unit1 R1 FL1 A-2
전지 전지 (대기 중 비산) (LNG) (LNG)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전체 천연가스(LNG) 입고량(㎥)은 공급처로부터 제공받는 월별 고지서로 수집・관리함.
입고량(WH1)을 기준으로 검・교정을 받은 계측기기의 검침값으로 가스터빈 1,2,3호기 및 연료전지의
사용량을 결정함
2) R1/FL1 : 연료전지의 원료(천연가스(LNG)) 투입량은 검・교정을 받은 자체 측정기기를 통해 검침한 값을
발전팀 현장 담당자가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하며 이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집・결정함, 전체 입고량
(WH1)과 FL1~4의 검침 값을 교차 검토하여 그 오차가 중요성 평가 기준*을 충족하도록 함
(FL1=WH1-(FL2+FL3+FL4))

※ 중요성 평가 기준 : 총 배출량이 500만 tCO2eq 이상인 할당대상업체는 총 배출량의 2.0%, 50만 tCO2eq 이상 500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업체에서는 총 배출량의 2.5%, 50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업체는 총 배출량의 5.0%으로 함

- 20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0. 오존층파괴물질(ODS)의 대체물질 사용(냉동 및 냉방)_냉동 및 냉방용 냉매 사용 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냉동및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냉방용 냉동/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1 4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냉매 냉방기 (unit) 코드명 료흐름
사용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오존층파
기타 기타

냉동/ 대기로 일부 불소계 불소계
4 0 2 9 물질의 Unit1 R1 WH1 A-1
냉방기 배출 온실가스 온실가스
대체
(HFCs) (HFCs)
물질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HFCs 충진량은 가스공급업체에서 구매하여 월별 입고 기준 양으로 결정함.
이에 대한 활동 데이터는 자재 관리부에서 거래명세서 및 전산으로 기록하여 수집 관리함

- 20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1. 오존층파괴물질(ODS)의 대체물질 사용(전기설비)_절연제 사용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측정 모니
절연제 코드 일련 시설
A 수전 활동명 배출 활동 지점 터링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6 3 사용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사업장 설비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자료 기호 유형
시설 (unit) 코드명
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오존층파

물질의
수전 굴뚝으로 육불화황 육불화황
4 03 0 대체 Unit1 R1 미설치 D
설비 전량 배출 (SF6) (SF6)
물질 사용
(전기
설비)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수전설비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침 산정방법론에 의거하여, ‘사용 중인 전기설비의 총
온실가스(SF6) 정격용량(1400kg) × 사용단계 배출계수’로 산정함

- 20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2. 기타 온실가스 배출_아세틸렌 용접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용접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7 기타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설비 (unit) 코드명 료흐름
용접
기타 온실 아세틸렌 아세틸렌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7 0 0 1 Unit1 설비(활동 대기 중 배출 F1 WH1 A-1
가스 배출 (C2H2) (C2H2)
자료량)
용접
기타 온실 아세틸렌 아세틸렌 미설치
7 0 0 1 Unit1 설비(순도 대기 중 배출 F1 D
가스 배출 (C2H2) (C2H2) 1
)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1/WH1: 용접설비의 아세틸렌 사용량은 공급업체에서 제공받는 세금계산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하며,
발행된 세금계산서는 자재팀에서 수집・관리함.
2) F1/미설치1:용접설비의 아세틸렌 순도의 증빙이 불가능하여 1.0(100%)을 적용함.

- 20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3. 기타 온실가스 사용_소화기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온실가스 활동명 배출 활동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5 0 기타 소화기 A 지점 및 설명 자료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료흐름
사용시설 코드명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기타 온실 이산화 이산화
7 0 0 2 Unit1 소화기 대기 중 배출 R1 WH1 A-1
가스 사용 탄소(CO2) 탄소(CO2)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전체 이산화탄소 사용량은 거래처 제공 세금계산서 상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 20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4. 고형폐기물의 매립_관리형 매립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온실가스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모니
코드 일련 시설 배출 측정지
관리형매 관리형매 활동명 터링
A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6 립 립 B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설명 코드명 료흐름
시설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고형 혼합
관리형매립 생활
5 0 0 1 폐기물의 Unit1 공정배출 폐기물 R1 WH1 A-1
시설 폐기물
매립 (Bulk)
고형 혼합
관리형매립 사업장
5 0 0 1 폐기물의 Unit1 공정배출 폐기물 R2 WH1 A-1
시설 폐기물
매립 (Bulk)
고형 혼합
관리형매립 혼합
5 0 0 1 폐기물의 Unit1 공정배출 폐기물 P1 FL1 B
시설 폐기물
매립 (Bulk)
고형 혼합
관리형매립 혼합
5 0 0 1 폐기물의 Unit1 공정배출 폐기물 P1 FL2 B
시설 폐기물
매립 (Bulk)
고형 혼합
관리형매립 혼합
5 0 0 1 폐기물의 Unit1 공정배출 폐기물 P1 FL3 B
시설 폐기물
매립 (Bulk)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R2/WH1 : 총 폐기물 입고량은 반입되는 폐기물 입고량을 상거래용 계근대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함
2) R1,R2/FL1 : 총 폐기물 입고량에 대해 성상분석을 월 1회 실시함
3) P1/FL2 : 총 매립가스 발생량은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유량계)를 통해 측정 값을 기준으로 함
4) P1/FL3 : 회수하는 매립가스에 대한 메탄 순도 측정은 1일 1회 실시하고 있으며, 측정실적 가중평균 값을
연간 평균 매립가스 메탄 순도로 적용함.

- 20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5. 고형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_사료화 퇴비화 소멸화 부숙토 생산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세부
사료화퇴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비화소멸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3 0 화부숙토 퇴비화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생산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고형


폐기물의 퇴비화공정 기타 액상
5 00 2 Unit1 혼합기 가축분뇨 R1 WH1 A-1
생물학적 비산 폐기물
처리
고형
폐기물의 퇴비화공정 기타 액상
5 00 2 Unit1 혼합기 가축분뇨 R2 WH2 A-1
생물학적 비산 폐기물
처리
고형
폐기물의 퇴비화공정 기타 액상
5 00 2 Unit1 혼합기 가축분뇨 R3 WH3 A-1
생물학적 비산 폐기물
처리
고형
폐기물의 퇴비 퇴비화공정 기타 액상
5 00 2 Unit2 가축분뇨 P1 FL1 B
생물학적 계근량 비산 폐기물
처리

- 21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외부에서 반입되는 탈수 Cake는 반입시 계근대를 사용한 계근값을 활용함
2) R2/WH2 : 외부에서 반입되는 탈수 Cake는 반입시 계근대를 사용한 계근값을 활용함
3) R3/WH3 : 외부에서 반입되는 탈수 Cake는 반입시 계근대를 사용한 계근값을 활용함
4) P1/FL1 : 반출되는 퇴비화 값은 반출시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계근대)를 통해 활동자료를
결정함

- 21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6. 하・폐수 처리_기타 하・폐수 처리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기타 A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하・폐수 산단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1 3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처리 폐수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처리장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폐수
기타 액상
5 0 0 4 처리 및 Unit1 폐수 유입 공정배출 폐수 R1 FL1 B
폐기물
배출
폐수 유입
기타 액상
5 0 0 4 처리 및 Unit2 COD 공정배출 폐수 R1 FL2 B
폐기물
배출 분석
폐수
기타 액상
5 0 0 4 처리 및 Unit3 폐수 방류 공정배출 폐수 P1 FL3 B
폐기물
배출
폐수 방류
기타 액상
5 0 0 4 처리 및 Unit4 COD 공정배출 폐수 P1 FL4 B
폐기물
배출 분석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하수 유입량은 드럼스크린 전단에 설치된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유량계)를 통해 계측된 값의
합계를 기준으로 함.
2) R1/FL2 : 하수 유입COD는 드럼스크린 전단에서 채수하여 하수처리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주1회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함. 연간 측정한 결과의 가중평균 값을 유입 하수의 COD 값으로 함.
3) P1/FL3 : 하수 방류량은 방류 전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유량계)를 통해 계측된 값의 합계를 기준으로 함
4) P1/FL4 : 하수 방류COD는 처리수 방류전 TMS 장치의 실시간 분석값을 기준으로 함. 연간 측정한
결과의 가중평균 값을 방류 하수의 COD 값으로 함.

- 21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7. 하・폐수 처리_기타 하・폐수 처리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기타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축산 활동명 배출 터링
A 하・폐수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1 3 폐수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처리 (unit) 코드명 료흐름
처리장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하수처리 기타 액상
5 0 0 3 Unit1 계근대 공정배출 가축분뇨 R1 WH1 A-1
및 배출 폐기물
하수처리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2 공정배출 가축분뇨 R1 FL1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3 공정배출 가축분뇨 R1 FL2 B
및 배출 T-N 폐기물
하수처리 방류 기타 액상
5 0 0 3 Unit4 공정배출 가축분뇨 P2 FL3 B
및 배출 량계 폐기물
하수처리 유출 기타 액상
5 0 0 3 Unit5 공정배출 가축분뇨 P2 FL4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유출 기타 액상
5 0 0 3 Unit6 공정배출 가축분뇨 P2 FL5 B
및 배출 T-N 폐기물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WH1 : 전체 폐기물 유입량은 반입되는 폐기물 입고량을 상거래용 유량계를 통해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함.
2) R1/FL1 : 가축폐수 유입BOD는 사업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주 1회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함.(수질공정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BOD5로 수질분석 수행)
3) R1/FL2 : 가축폐수 유입T-N는 사업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주 1회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함.(수질공정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흡광광도법으로 수질분석 수행)
4) P2/FL3 : 가축폐수 방류량은 처리수 방류 전 검교정된 내부계측기(유량계)를 통해 계측된 값의 합계를 기준
으로 함
5) P2/FL4 : 가축폐수 방류BOD는 사업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주 1회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함.(수질공정
시험기준에 의거하여 BOD5로 수질분석 수행)
6) P2/FL5 : 가축폐수 방류T-N는 사업장 내 자체 실험실에서 주 1회 분석한 값을 기준으로 함.(수질공정
시험기준에 의거하여 흡광광도법으로 수질분석 수행)

- 21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8. 하・폐수 처리_공공하수처리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온실가스
배출 모니
공공 코드 일련 시설 배출 측정지
활동명 터링
A 하수 ABC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활동자료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4 A 유형
사업장 처리 처리장 (unit) 설명 코드명 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하수처리 하수 기타 액상
5 0 0 3 Unit1 비산 하수 R1 FL1 B
및 배출 유입 폐기물
하수처리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2 비산 하수 R1 FL2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3 비산 하수 R1 FL3 B
및 배출 TN 폐기물
하수처리 기타 액상
5 0 0 3 Unit4 방류량 비산 하수 P1 FL4 B
및 배출 폐기물
하수처리 방류 기타 액상
5 0 0 3 Unit5 비산 하수 P1 FL5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방류 기타 액상
5 0 0 3 Unit6 비산 하수 P1 FL6 B
및 배출 TN 폐기물
하수처리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7 비산 하수 P2 FL7 B
및 배출 슬러지 폐기물
하수처리 탈수기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8 비산 하수 P2 FL8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탈수기 유입 기타 액상
5 0 0 3 Unit9 비산 하수 P2 FL9 B
및 배출 TN 폐기물
하수처리 탈리여액 기타 액상
5 0 0 3 Unit10 비산 하수 P2 FL10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탈리여액 기타 액상
5 0 0 3 Unit11 비산 하수 P2 FL11 B
및 배출 BOD 폐기물
하수처리 기타 액상
5 0 0 3 Unit11 슬러지 반출 비산 하수 P2 WH1 A-1
및 배출 폐기물

- 21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검・교정된 내부 유입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값을 유입 유량으로 활용
2) R1/FL2 : 유입 BOD는 자체 실험실에서 1회/일 분석한 값을 유입량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3) R1/FL3 : 유입 TN은 자체 실험실에서 1회/일 분석한 값을 유입량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4) P1/FL4 : 검교정된 내부 방류 유량계로 측정한 값을 방류수 유량으로 활용
5) P1/FL5: 방류수 BOD는 자체 실험실에서 1회/일 분석한 값을 방류량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6) P1/FL6 : 방류수 TN은 자체 실험실에서 1회/일 분석한 값을 방류량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7) P2/FL7 : 탈수기에 유입되는 슬러지 양은 유량계로 측정한 값을 활용하여 적용
8) P2/FL8 : 탈수기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BOD는 주기적 취수를 통한 자체분석 값을 유입 슬러지 양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9) P2/FL9 : 탈수기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T-N은 주기적 취수를 통한 자체분석 값을 유입 슬러지 양으로
가중평균한 값을 농도로 사용함
10) P2/FL10 : 탈수기 탈리여액의 BOD는 주기적 취수를 통한 자체분석 값을 사용함
11) P2/FL11 : 탈수기 탈리여액의 TN는 주기적 취수를 통한 자체분석 값을 사용함
12) P2/WH1: 검교정된 내부 계근대를 활용하여 슬러지 반출량 활동자료 값을 수집함

- 21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9. 폐기물의 소각_폐가스 소각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폐가스소 활동명 배출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7 8 각 RTO#1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폐기물의 RTO#1 직접배출
5 0 0 5 Unit1 폐가스 폐가스 R1 FL1 B
소각 (유량) (대기 중 비산)

폐기물의 RTO#1 직접배출


5 0 0 5 Unit1 폐가스 폐가스 R1 FL2 B
소각 (농도) (대기 중 비산)
기체 전량
도시가스 도시가스
1 0 0 2 연료 Unit1 RTO#1 굴뚝으로 F1 WH1 A-1
(LNG) (LNG)
연소 배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총 폐가스 유입유량은 자체 유량계를 통해 측정한 값을 설비 운영일지에 기록함
2) R1/FL2 : 총 폐가스 유입농도는 자체 계측기(FID 측정기)를 통해 탄화수소(THC)-메탄 함량 분석 값을
기준으로 산정함. 폐가스 소각시설의 소각량은 아래와 같이 산정함
- 소각량 = THC 농도 × 유량 × 가동시간 × 밀도
3) F1/WH1 : 총 도시가스 사용량은 도시가스 공급업체에서 구매하는 구매량을 기준으로 함. 도시가스
사용량은 공무팀에서 월별 고지서를 수집・관리함

- 21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39. 폐기물의 소각_폐가스 소각시설(플레어스택)_1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폐가스소 활동명 배출 터링
A Flare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7 8 각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Stack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Flare
폐기물의 직접배출
5 0 0 5 Unit1 Stack 폐가스 폐가스 R1 FL1 B
소각 (대기 중 비산)
(유량)
Flare
폐기물의 직접배출
5 0 0 5 Unit1 Stack 폐가스 폐가스 R1 FL2 B
소각 (대기 중 비산)
(농도)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 (정상, 계획된 비정상, 비계획된 비정상)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값을 활동자료로 사용함 (활동
자료 : 유량 x 농도)
1) R1/FL2 : (정상, 계획된 비정상, 비계획된 비정상)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값을 활동자료로 사용함 (활동
자료 : 유량 x 농도)

- 21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39. 폐기물의 소각_폐가스 소각시설(플레어스택)_2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폐가스소 활동명 배출 터링
A Flare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7 8 각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Stack (unit)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Flare
폐기물의 직접배출 미설치
5 0 0 5 Unit1 Stack 폐가스 폐가스 R1 D
소각 (대기 중 비산) 1
(유량)
Flare
폐기물의 직접배출 미설치
5 0 0 5 Unit1 Stack 폐가스 폐가스 R1 D
소각 (대기 중 비산) 2
(농도)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2 : (정상상태) PSM 보고서, HAZOP 보고서 등 정상시 발생하는 플레어링 유량 및 농도로
정하며 가동시간은 운전일지를 통해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산정함(활동자료 : 설계값 X 설계농도 X
운전일지 내 Flare Stack 가동시간)
(계획된 비정상상태, 비계획된 비정상 상태) 대기배출시설 신고서 등의 값을 유량과 농도로 정하며 가동
시간은 운전일지를 통해 기록하여 활동자료를 산정함 (활동자료 : 설계값 X 설계농도 X 운전일지 내
Flare Stack 가동시간)

- 218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40. 석탄 채굴 및 처리활동에서의 탈루 배출_메탄화 공정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세부
석탄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채굴 및 활동명 배출 터링
A 메탄화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1 9 처리 B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공정 (unit) 코드명 료흐름
탈루
배출

석탄의 국내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3 0 0 1 Unit1 석탄 채굴 대기 중 배출 석탄채굴 P1 (FL)1 D
채굴 무연탄
석탄의처
석탄 처리 국내 운반 및
3 0 0 2 리및 Unit2 대기 중 배출 P2 (FL)1 D
및 저장 무연탄 저장
저장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P1/(FL)1: 전체 제품생산량은 3톤 광차의 수량으로 일일 생산보고 값을 기준으로 함. 총 생산량은
생산부에서 월간 생산보고 상 생산량을 기준으로 함.
2) P2/(FL)1 : 전체 제품 선탄/운반/저장량은 월간 생산보고한 생산량을 기준으로 함. 연간 생산량은
생산부에서 월간 생산보고 상 생산량을 기준으로 기록・관리함

- 21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1. 석유 산업에서의 탈루 배출_기타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원유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A 활동명 배출 터링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7 기타 저장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사업장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시설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원유 원유
3 0 0 4 (석유) Unit1 저장 원유정제 원유 원유 R1 FL1 B
시스템 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FL1: 지침에 따른 계산을 통해 산정하며, 원유 투입량을 정도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계측기(유량계)
기반으로 최종 값을 산정함(IPCC에서 제공하는 석유 산업의 탈루성 온실가스 배출계수 활용)

- 220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42. 천연가스 산업에서의 탈루 배출_기타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Venting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3 3 3 3 3 001 0 0 0 7 기타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탈루시설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Venting


천연
에 의한 Venting 도시가스
3 0 0 3 가스 Unit1 탈루 R1 미설치 D
탈루 탈루시설 (LNG)
시스템
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R1/미설치: 내부 Venting량 산정기준 및 운영기준에 따라 활동자료 수집.

- 22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3.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_사업장단위전기사용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사업장단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공정 활동명 배출 터링
A 위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9 8 전력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전력사용 (unit) 코드명 료흐름
사용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
배출
셀 제작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WH1 A-1
공정
전기
사용)
간접
배출
셀 제작
6 0 0 1 (외부 Unit2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FL)1 C-1
공정
전기
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전력사용량은 한전구매량을 기준으로 공정사용량 및 외주업체 사용량의 합, 각 개별 전력
사용 데이터는 공무팀에서 영수증 및 사용일지 기록을 통해 수집・관리함, (WH1=(FL)1+FL2+FL3)
2) F1/(FL)1 : 한국전력공사에서 구매하는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검・교정되지 않은 자체 전력량계의
계측량을 각 공정별 전력사용량으로 결정

- 222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44.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 사용_건축물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전력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6 0 0 1 건축물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산업용)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


배출
전력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WH1 A-1
(산업용)
전기
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전력사용량은 한전 계량기 WH1에 의해 계량되며 발급된 고지서의 사용량으로 월별
데이터를 결정하고 발행된 고지서는 운영팀 담당자가 수집, 관리함

- 22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5. 신재생에너지_RE100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제1장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온실가스 모니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활동명 배출 터링
A 전력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6 0 0 1 기타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산업용)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


배출
전력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WH1 A-1
(산업용)
전기
사용)
간접
배출 재생에너
재생에너지
6 0 0 1 (외부 Unit2 지사용시 간접배출 전기 F1 WH2 A-1
전력
전기 설
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한전에서 발급한 한전고지서로 활동자료 수집
2) F1/WH2 : 재생에너지(풍력) 전력 사용량은 재생에너지 사용확인서로 활동자료 수집

- 224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45. 외부에서 공급된 열(스팀)의 사용_사업장단위스팀사용시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세부
사업장 사업장 배출 온실가스 측정 모니
코드 일련 시설
단위 단위 활동명 배출 활동 지점 터링
A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0 9 7 스팀 스팀 A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자료 기호 유형
사업장 (unit) 코드명
사용 사용 흐름
시설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배출( 사업장
Unit
6 0 0 2 외부열사 단위 스팀 간접배출 열(스팀) 열(스팀) F1 WH1 A-1
1
용) 사용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열(스팀) 사용량은 매월 열(스팀) 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는 고지서를 통해 활동자료를 수
집・결정하며, 열(스팀) 사용량은 공무팀에서 월별 발행되는 고지서를 통해 수집・관리함

- 22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6.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 (외부판매)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온실가스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모니
코드 일련 시설 배출 측정지
CO2 활동명 터링
A 포집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1 2 2 포집 A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시설 (unit) 설명 코드명 료흐름
시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산화탄 이산화탄
CO2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F1 FL1 B
포집량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이산화탄 이산화탄
CO2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F1 WH1 A-1
이동량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이산화탄 이산화탄
1) F1/FL1 : 조직경계 내부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한 양((포집량) = FL1 × FL2)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CO2 순도 F1 FL2 B
2) F1/FL2 : 조직경계 내부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여, 외부 KOLAS 인증업체에서 월 1회 CO2 순도를 측정함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1) F1/WH1 : 조직경계 내부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여, 외부로 판매할 때 계근대로 이동량을 측정함.
1) F1/FL3 : 조직경계 내부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여, 외부 KOLAS 인증업체에서 월 1회 CO2 순도를 측정함
이산화탄 이산화탄
( (이동량) = WH1 × FL3 ) CO2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F1 FL3 B
사용량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 226 -
제4장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예시

4.2.47.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 (자체사용)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세부 온실가스 활동자료 정보
일 배출 모니
코드 일련 시설 배출 측정지
CO2 탄산염 활동명 터링
A 번호 및 장치 지점 및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001 1 1 1 2 2 0 0 3 3 3 001 0 1 2 2 포집 제조시 A 활동자료명 유형
사업장 (unit) 설명 코드명 료흐름
시설 설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이산화탄 이산화탄
CO2 포집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F1 FL1 B
및 이동량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이산화탄 이산화탄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CO2 농도 F1 FL2 B
CO2) CO2)
및 이동 이동 시설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이산화탄 이산화탄 탄산염
1) F1/FL1 : 탄산염 제조시설로 투입되는 가스량을 측정하며, 연 1회 검·교정함 탄산염 탄산염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제품 F2 WH1 A-1
2) F1/FL2 : 탄산염 제조시설로 투입되는 가스 중 CO2 농도를 측정하며, 연 1회 검·교정함 (CaCO3) (CaCO3)
및 이동 이동 시설 제조량
( (포집량 및 이동량) = FL1 × FL2 )
※ 단, CO2 배출시설에서 다른 경로로 CO2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배출시설의 배출량을 포집량 및
이동량으로 갈음할 수 있음 이산화탄 이산화탄
탄산염 탄산염 탄산염
3) F2/WH1 : 탄산염 제품이 제조되어 외부로 판매되는 양을 계근대로 측정함 7 0 0 3 소 포집 Unit1 소 포집 및 F2 FL3 B
제품 순도 (CaCO3) (CaCO3)
4) F2/FL3 : 탄산염 제품의 순도를 외부 KOLAS 인증업체에서 월 1회 측정하여, 물질수지식을 통해 제품 제조 및 이동 이동 시설
시 반응에 포함된 CO2량을 산정함

- 22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4.2.48. 외부에서 공급된 폐열발전에 의한 전기 사용_건축물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3)변동
(1) 사업장정보 (2) 배출시설정보 (5) 배출활동 정보 배출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변 (6) (7) (8) (9) (10) (11)
일련 일련 배출 자체 시설규 구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코드 경
번호 번호 시설명 시설명 모 분 활동자료 정보
일 세부
배출 온실가스 모니
A 전력 코드 일련 시설 측정지
001 1 1 1 2 2 0 0 3 3 3 001 6 0 0 1 건축물 A 활동명 배출 터링
사업장 (산업용) 번호 및 장치 활동자료 활동자 점기호
지점 및 설명 활동자료명 유형
(unit) 코드명 료흐름
(4) 배출시설의 모니터링 도식도 (필요시_공정도 포함)
간접
배출
전력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전력 전기 F1 WH1 A-1
(산업용)
전기
사용)
간접
배출
전력 외부전력(폐 외부전력(폐
6 0 0 1 (외부 Unit1 간접배출 F1 WH2 A-1
(산업용) 열발전) 열발전)
전기
사용)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


1) F1/WH1 : 전체 전력사용량은 한전 계량기 WH1에 의해 계량되며 발급된 고지서의 사용량으로 월별
데이터를 결정하고 발행된 고지서는 운영팀 담당자가 수집, 관리함
2) F1/WH2 :폐열전기 사용량(인증서)을 활동자료로 수집함

- 228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부 록

부록 1 용어정의

부록 2 FAQ

부록 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주요 오류 항목

부록 4 제3차 계획기간 배출권 할당 대상 부문・업종 분류

부록 5 산정 방법 및 배출계수 개정사항
부록

부록 1 용어 정의

l ‘배출량 산정계획’이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자료와 기타 온실가스・ 에너지


관련 자료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수집・감시・측정・평가 및 매개변수 결정에 관한 세부적인
방법 절차 일정 등을 규정한 계획을 말함

l ‘사전검토’란 배출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해 계획기간 시작 이전에 신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할당대상업체가 검토를 요청한 배출량 산정계획을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함

l ‘추가검토’란 계획기간 내 할당대상업체가 사전검토가 완료된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해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검토를 요청한 사항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함

l ‘할당대상업체’란 기본법 제42조제5항에 따른 관리업체 중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이상인 업체를 말함

l ‘배출시설’이란 온실가스를 대기에 배출하는 시설물, 기계, 기구, 그 밖의 유형물로써 각각의


원료(부원료와 첨가제를 포함한다)나 연료가 투입되는 지점 및 전기·열(스팀)이 사용되는
지점부터의 해당 공정 전체를 말함. 이때 해당 공정이란 투입 또는 전기·열(스팀)이 사용되는
설비군을 말하며, 설비군은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동일한 연료·원료·전기·열(스팀)을 사용하여
유사한 역할 및 기능을 가지고 있는 설비들을 묶은 단위를 말함

l ‘배출원’이란 온실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물리적 단위 또는 프로세스를 말함

l ‘배출활동’이란 온실가스를 배출하거나 에너지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함

l ‘기준기간11)’이란 매 계획기간 시작 4년 전부터 3년간(할당지침 제4조제1항제3호 및


제5호에 따른 업체로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에는 해당 할당대상업체로 지정하는 연도의
직전 3년간)을 말함

l ‘기존시설’이란 할당대상업체가 매 계획기간 시작 직전 연도까지(「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조정 및 취소에 관한 지침」12) 제4조제1항제3호 및 제5호에 따른 업체로서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에는 해당 할당대상업체로 지정하는 연도까지) 시행령 제6조제1항에 따른
주무관청에게 제출한 명세서에 보고된 배출시설을 말함

l ‘변동시설’이란 기존시설 중에서 신설・증설 및 폐쇄로 인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의 변동이 발생한
배출시설을 말함

11) 배출권거래제 제3차 계획기간의 기준기간은 2017~2019년임


12) 이하 ‘할당지침’이라 함

- 23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l ‘신설’이란 생산활동을 위하여 기존시설과 독립적으로 온실가스 배출활동을 하고 명세서에서 배


출량을 별도로 보고하는 배출시설을 물리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말함

l ‘증설’이란 기존시설에 생산활동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물리적 변경을 추가함으로써 변경


이전에 대비하여 기존시설의 설계용량이 100분의 10이상 증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100분의
5이상 증가하는 것을 말함

l ‘지속가동’이란 기준기간 동안 할당대상업체의 기존시설이 증설이나 폐쇄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지속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말함. 이 경우 기준기간 전에 신설된 시설이 기준기간 중 가동을
정지하였다가 재가동하거나, 기준기간 전에 가동을 정지하였다가 기준기간 중 재가동하는 경우
포함

l ‘폐쇄’란 배출시설이 물리적으로 제거되거나 가동을 지속적으로 정지하는 경우를 말함

l ‘가동개시’란 신설・증설 또는 재가동된 배출시설에 연료 또는 원료가 투입되어 온실가스


배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을 말함

l ‘소량배출사업장’이란 기준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3,0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


(tCO2-eq) 미만인 사업장을 말함

l ‘소규모 배출시설’이란 기준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경우 연평균 총량은 명세서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이하 같다)이 100 이산화탄소상당량톤(tCO2-eq) 미만인 배출시설을 말함

l ‘조직경계’란 업체의 지배적인 영향력 아래에서 발생되는 활동에 의한 인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 및 보고의 기준이 되는 조직의 범위를 말함

l ‘지배적인 영향력’이란 동일법인 등이 당해 사업장의 조직 변경, 신규 사업에의 투자, 인사, 회계,


녹색경영 등 사회통념상 경제적 일체로서의 주요 의사결정이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등의 업무집행에 필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함

l ‘운영통제 범위’란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리적
경계 물리적 경계 업무활동 경계 등을 의미함

l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連繫性)’이란 연료, 열 또는 전기의 공급점을 공유하고 있는 상태, 즉, 건물


등에 타인으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변환하지 않고 다른 건물 등에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말함

l ‘매개변수’란 두 개 이상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써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활동자료, 배출계수, 발열량, 산화율, 탄소함량 등을 말함

l ‘활동자료’란 사용된 에너지 및 원료의 양, 생산・제공된 제품 및 서비스의 양, 폐기물 처리량 등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에 필요한 정량적인 측정결과를 말함

l ‘배출계수’란 당해 배출시설의 단위 연료 사용량 단위 제품 생산량, 단위 원료 사용량, 단위 폐기물 소각량

- 232 -
부록

또는 처리량 등 단위 활동자료당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내는 계수(係數)를 말함

l ‘순발열량’이란 일정 단위의 연료가 완전 연소되어 생기는 열량에서 연료 중 수증기의 잠열을 뺀


열량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활용되는 발열량을 말함

l ‘총발열량’이란 일정 단위의 연료가 완전 연소되어 생기는 열량(연료 중 수증기의 잠열까지


포함한다)으로서 에너지사용량 산정에 활용됨

l ‘산화율’이란 단위 물질당 산화되는 물질량의 비율을 말함

l ‘전환율’이란 단위 물질당 변화되는 물질량의 비율을 말함

l ‘바이오매스’라 함은 생물유기체, 유기성폐기물, 동물・식물의 유지(油脂) 등으로 생물 또는 생물


기원의 모든 유기체 및 유기물을 말함

l ‘불확도’란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결과와 관련하여 정량화된 양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의


분산특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말함

l ‘산정등급(Tier)’이란 활동자료, 배출계수, 산화율, 전환율, 배출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수준을 말함

l ‘공정배출’이란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 원료의 물리 화학적 반응 등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말함

l ‘연소배출’이란 연료 또는 물질을 연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말함

l ‘연속측정방법(Continuous Emission Monitoring)’이란 일정 지점에 고정되어 배출가스


성분을 연속적으로 측정・분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정 장비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말함

l ‘품질관리(Quality Control)’란 배출량 산정결과의 품질을 평가 및 유지하기 위한 일상적인


기술적 활동의 시스템을 말함

l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이란 배출량 산정(명세서 작성 등)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검토 절차의 계획된 시스템을 말함

l “이산화탄소 포집 및 이동”이란 할당대상업체 조직경계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시설에서


할당대상업체의 조직경계 내부 및 외부로의 이동을 목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대기로부터 격리한 후
포집하여 이동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 23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부록 2 FAQ

1 제도 이해

Q1 제3차 계획기간 내 배출량 산정계획과 관련한 주요 업무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제3차 계획기간에 대한 배출량 산정계획 관련 추진일정은 다음과 같음.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p.27) 참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이행계획서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Q2 산정계획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이행계획’이란, 기본법 시행령 제 30조제4항에 따라 관리업체가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작성 및 제출하는 세부적인 계획이며,
‘배출량 산정계획’이란, 지침 제 2조제12항에 따라 할당대상업체가 온실가스 배출량 등 산정에
필요한 자료 및 기타 관련 자료의 연속적 또는 주기적인 수집・감시・측정・평가 및 매개변수
결정에 관한 세부적인 방법, 절차, 일정 등을 규정한 계획으로 제 3자 검증을 받아 제출되는
문서임.

- 234 -
부록

할당대상업체 및 할당대상사업장으로 신규 지정된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언제까지


Q3 제출하여야 하나요?

[답변] 지침 제 25조제1항에 따라 할당대상업체는 매 계획기간 4개월 전까지(8월 31일 까지)


환경부장관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배출량 산정계획 사전검토* 요청을 하여야 함. 다만, 할당지침
제36조에 따라 권리와 의무의 승계로 인해 할당대상 업체로 지정받은 경우에는 권리와 의무의
승계 통보가 일어난 시점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요청하여야 함.
► “사전검토”란, 배출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해 계획기간 시작 이전에 신규 할당대상업체가 요청한 배출량
산정계획을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

Q4 배출량 산정계획의 사전검토는 무엇이며, 매년 진행하여야 하나요?

[답변] “사전검토”란, 지침 제 2조제1항에 따라 배출량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해 계획기간13) 시작


이전에 할당대상업체가 요청(계획기간별 1회 제출)한 배출량 산정계획을 검토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 발생 시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를
요청하여야 함.

Q5 검증기관의 검증을 마친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언제까지 제출되어야 하나요?

[답변] 할당대상업체는 계획기간 중 배출량 산정계획에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 검토 요청하고, 환경부장관이 통지한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매 이행연도 종료일까지 전자적 방식으로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13) 법 부칙 제 2조에 따라 세 번째 계획기간(3차 계획기간)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함

- 23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계획기간 내 이행연도별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사항이 없을 경우에도 매 이행연도별로


Q6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아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에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기존 배출량 산정 계획을 사용할 수 있음.

Q7 배출량 산정계획 및 명세서는 동일한 검증기관에서 진행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과 명세서는 시행령 제21조 제1항과 제39조 제1항에 따라서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제출하여야 하나, 동일한 검증기관의 검증여부를 규정한 바 없음.

목표관리업체에서 할당대상사업장으로 지정된 경우 비할당대상 사업장은 배출량


Q8 산정계획 사전검토 및 검증 대상 사업장인가요?

[답변] 할당대상업체의 모든 사업장이 검증기관의 검증 대상임.

할당대상업체 내 소량배출사업장(3,000 tCO2-eq 미만)도 배출량 산정계획서 제출과


Q9 검증기관의 검증을 진행하여야 하나요?

[답변] 할당대상업체는 자신의 모든 사업장에 대해 배출량 산정계획서와 명세서를 제출해야 하므로


소량배출사업장도 배출량 산정계획 제출 하여야 하며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아야 함.

- 236 -
부록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은 1회만 가능한가요? 변경 시마다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아야 하나


Q10 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의 중대한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추가검토 요청을
하여야 하며, 11월 이후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추가적인 검토 요청 가능. 추가검토 요청시마다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아야 함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한 환경부장관 사전(추가)검토와 검증기관의 검증의 차이점은 무엇


Q11 인가요?

[답변] 사전(추가)검토는 환경부장관이 배출량 산정계획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검증기관의 검증은 검증기관이 배출시설 및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등이 지침에서 정의하는
절차와 기준 등에 적합하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확인하는 체계적이고 문서화된 일련의
활동을 의미함.

Q12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 중 중대한 변경사항이라 함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답변] 지침 제26조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에 의거 중대한 변경사항이라 함은 다음과 같다.

1. 업종의 변경
2. 조직경계의 변경
3. 배출활동 및 배출시설의 변경
4. 배출량 산정방법의 변경(배출계수, 매개변수, 시료채취・샘플링・분석 절차 포함)
5. 활동자료 수집, 측정 방법에 대한 변경사항(측정기기 포함)
6. 시행령 제39조제3항의 시정명령, 보완명령에 따른 변경 및 환경부장관이 검토한 의견에 따른 변경
7. 기타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사항

► 위의 변경사항은 지침 [별지 제3호 서식] 추가검토 신청서의 변경유형 항목과 일치하며, 변경신청 시 구분하여
작성하여야 함.

- 23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Q13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사항 발생 시 변경일정 및 제출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답변] 지침 제26조 1항에 따라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변경사항 발생 후 매


이행연도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를 요청하여야 함. 매 이행연도별 중대한 변경사항 외의 변경사항은
10월 31일까지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통지하여야 함
제출절차는 다음과 같음.
- 할당대상업체 :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 발생 → NGMS 시스템으로 배출량 산정계획서
변경요청을 위한 메뉴 OPEN 요청 → 배출량 산정계획 수정 →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 제출
- 환경부장관 :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 검토 → 검토결과 제출
► 단, 환경부장관 검토결과 보완 등의 검토의견이 있을 시 지속적인 검토・승인을 받아야 함.

Q14 계획기간 내 일시적으로 배출량 산정계획이 변경될 경우 변경신청을 하여야 하나요?

[답변] 지침 제 27조 1항 및 2항에 따라 기술적인 또는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인하여 검토된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 즉시 환경부장관에게 전자적 방식으로 통지하여야
하며,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배출량 산정계획의 일시적 적용 불가 사유, 기존
계획을 대체하는 임시 모니터링 방법, 원상복귀 된 시점 (일자) 및 관련 조치 사항) 사유를 지침
[서식 4] 배출량 산정계획 일시적 적용불가 통지서를 통해 환경부장관의 변경 승인을 받아야 함.
► 예 1 : 공장 화재로 1개월 이상 사업장 전체 가동 중단 혹은 일부 시설 가동 중단
► 예 2 : 연료전지 시설이 유지보수 계약 미체결로 가동중단되었으며, 향후 가동 예정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사항이 다수일 경우 추가검토 신청서는 대표 수정사항 1건만 작성


Q15 하여도 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의 검토의무가 있는 환경부장관의 경우, 할당대상업체에서 제출한


배출량 산정계획 추가검토 신청서를 기준으로 타당성을 검토하므로 변경사항에 대해 모두
변경요청서 작성하여야 환경부장관의 검토 결과를 받을 수 있음.

- 238 -
부록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사항 발생 후 매 이행연도 10월31일까지 제출 일정이 경과된 경우


Q16 어떤 재제가 발생하게 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요청일 미준수에 대한 명확한 법적재제는 없으나, 매 이행연도 중대한
변경사항은 10월 31일까지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배출량 산정계획을 변경한 후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 요청해야함

목표관리제와 달리 배출권거래제에서는 배출량 산정계획에 대한 검증기관의 검증이 필


Q17 요하므로 이에 따른 중소기업의 검증비용 면제 등 기타 중소기업 지원내역은 없나요?

[답변] 배출권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검증 받아야 하며, 본 사항에 대한 중소기업의 유예/면제 등의


사항은 현재 규정에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 23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2 작성방법 관련 일반사항

배출량 산정계획서 ‘2-2. 사업장 조직경계 입력’ 시 업체 보안 상 시설배치도, 공정도


Q1 등 작성이 어려운 경우 생략 가능한가요?

[답변] 할당대상업체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사업장 일반정보
등을 모두 작성・제출하여야 하나, 해당 업체 담당자는 환경부장관과 협의를 통해 생략여부를
결정하여야 함.

사업장의 형태가 유사 건축물이나 소량배출사업장이 다수인 경우, 대표사업장 일반정보


Q2 (사진, 시설 배치도, 공정도)만 입력해도 되나요?

[답변] 소량배출사업장의 경우, 사업장 들의 배출활동 구성이 동일하다면 (예 : 소형건물형태 대리점,


통신기지국, 주유소 등) 공정도 중 대표 1개로 제출 가능하나, 사진 및 시설배치도는 모두
작성하여야 함.
► 단, 대표공정도를 제시한 소량배출사업장 외 소량배출사업장은 , ‘(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 설명’
작성 시 공정도를 미첨부하기 때문에 대표공정도를 제시한 ‘소량배출사업장(사업장명 기입) 공정도 참조’
등과 같은 사유를 기입하여야 함.

할당받은 사업장 내 누락된 배출시설이 확인될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 반영 및 변경은


Q3 어떻게 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권거래제 내 배출권 할당은 기준기간에 보고된 배출시설을 기준으로 할당받으므로 과거


누락된 배출시설의 경우 신설 배출시설로 배출량을 보고하고 환경부장관과의 협의 후 과거년도
명세서 반영여부를 결정하여야 함.

임차된 건물의 관리비내역서(임차면적 분배)로 활동자료 수집이 될 경우 모니터링 유형


Q4 은 무엇으로 적용하여야 하나요?

[답변] 메인 측정기(WH) 활동자료에서 타당한 배분방식(예 : 임차면적 분배, 임차임 동일 배분 등)인


경우에는 D 유형(기타 모니터링 유형)을 적용하여야 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기존 배출시설) 참조

- 240 -
부록

배출량 산정계획서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은 어떠한 경우에 작성하여


Q5 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서 ‘1. 할당대상업체 총괄정보’~‘8.사업장별 품질관리 품질보증 활동 계획’


작성 서식 외에 기타 사항 및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작성할 수 있음.
► 매 이행연도별 배출량 산정계획의 변경사항이 발생하여 적합성 평가 시 별도의 설명이 필요한 경우(예 : 활동자료
수집방법 변경 및 배출량 산정방법 및 설명)
► 시스템 오류 및 기타 설명이 필요한 사항(예 : 첨부파일 대표 배출시설 일괄 입력사항 등)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시 각종 증빙자료를 첨부하도록 되어 있는데, 증빙자료를 첨부하지


Q6 않거나 첨부할 수 없는 경우 어떻게 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은 배출량 산정과 관련된 활동자료, 매개변수 및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정확성
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모든 증빙자료 제출을 원칙으로 함에 따라, 제출된 증빙자료의
미흡 등으로 인해 환경부장관으로부터 확인 및 시정이나 보완 명령을 받을 수 있음.

할당대상업체로 신규 지정됨에 따라 계측기기의 정도관리가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경우


Q7 최근 정도검사일은 언제로 작성하여야 하며, 정도검사 주기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하여야
하나요?

[답변] 최근 정도검사 시점을 알 수 없는 경우 할당대상업체가 배출권거래제도에 참여한 제 3차 계획기간


이행연도의 첫날(예 : `20년도에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경우 `21.01.01)을 기준으로 하며, 세부
계측기기별 정도검사 주기는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본문 참조.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 24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동일한 배출시설 내 일부 배출활동의 계측기기가 지침에서 정의한 정도검사 주기를 초과할


Q8 경우 어떤 재제가 발생하게 되나요?

[답변] 적합성평가 인증가이드라인에 의거 배출량 산정계획의 정도검사 주기를 준수하지 않은 경우,


유효기간을 초과한 매개변수는 보수적 산정 대상이 될 수 있음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 정도검사 주기 미준수에 따른 보수적 계산방법(배출권거래제 제1차 계획기간 온실가스 배출량 적합성
평가・인증 가이드라인)

[방법 1]유효기간을 초과하여 실시한 경우


: (적용조건) 정도검사 주기를 준수하지 않은 사실이 발견되었으나 이후 정도검사를 실시한 경우
[1-1] 정도검사 결과 불확도 허용범위 이내 : 유효기간을 초과한 기간에 대하여 계측기기의 불확도(제품
사양서 기준)만큼 활동자료 보정
[1-2] 정도검사 결과 불확도 허용범위 초과 : 유효기간을 초과한 기간에 대하여 계측기기의 불확도(성적서
기준)만큼 활동자료 보정
[방법 2]계측기에 대한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 (적용조건) 할당대상업체가 해당 계측기의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
[2-1] 유효기간을 초과한 기간에 대해여 계측기 사양(specification)의 불확도 2배를 적용하여 활동자료
보정

Q9 계측기기의 검정과 교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검정(verification)이란, 「계량에 관한 법률」로 규정한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기물에
검정증인을 표기하는 제반으로 계량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강제로 시행되는 제도.
교정(Calibration)이란, 「국가표준기본법」 제 3조에 의거 특정조건에서 측정기기, 표준물질, 척도
또는 측정체계 등에 의하여 결정된 값을 표준에 의하여 결정된 값 사이의 관계로 확정하는 일련의
작업으로 측정기의 사용자가 국제 또는 국가표준과의 소급성이 유지되고 있는지의 오차범위를
알고자 할 경우 실시하는 임의 제도를 말함.

모니터링 유형이 A 유형인 법적계측기기의 정도검사 주기(또는 검・교정주기)는 어떤


Q10 기준으로 작성하여야 하나요?

[답변] 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모니터링 유형 A 유형인 계측기기의 검정 또는 재검정(정도검사) 주기는


다음과 같으며, 기타 계측기기의 경우 환경부장관과의 협의가 필요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 242 -
부록

Q11 형식승인을 받은 계측기와 정도검사를 받은 계측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답변] 형식승인을 받은 계측기기란 「계량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의거 구조 및 성능에 관한 사항,


표시내용 및 표시방법 등에 관한 사항, 시험방법 및 시험절차에 관한 사항, 최대허용오차에
관한 사항을 만족하는 계측기를 말함.
정도검사를 받은 계측기기란 국가교정업무 전담기관으로부터 연구개발, 산업생산, 시험검사
현장 등에서 측정한 결과가 명시된 불확정 정도의 범위 내에서 국가측정표준 또는 국제측정
표준과 일치되도록 연속적으로 비교하고 교정(較正)을 받은 계측기기를 말함.
►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는 계량기(「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7]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는 계량기(제10조 관련)

1. 비자동저울
가. 판수동 저울
나. 접시지시 및 판지시 저울(최대용량이 2 kg 이하인 것 중 저울 또는 명판에 가정용, 교
육용 또는 참조용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제외한다)
다. 전기식지시 저울(최소눈금값이 10 mg 미만인 것, 검정 눈금 수가 100 미만 또는
200 000 초과인 것, 최대용량이 1 kg 이하인 것 중 저울 또는 명판에 가정용ㆍ교육
용ㆍ참조용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체중계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제외한다)
2. 분동(E1 등급의 분동은 제외한다)
3. 가스미터(최대유량이 1 000 m3/h 이하인 것에 한정한다)
4. 수도미터(호칭구경이 350 mm 이하인 것에 한정한다)
5. 온수미터(호칭구경이 350 mm 이하인 것에 한정한다)
6. 오일미터(호칭구경이 100 mm 이하인 것에 한정한다)
7. 주유기(자동차 주유용에 한정한다)
8. 요소수미터(자동차 주입용에 한정한다)
9. LPG미터(자동차 충전용으로서 호칭구경이 40 mm 이하인 것에 한정한다)
10. 눈새김 탱크(유류거래용에 한정한다)
11. 적산열량계(호칭구경이 350 mm 이하인 것으로서 열매체가 액체인 것에 한정한다)
12. 전력량계
13. 전기자동차 충전기(무선 충전기는 제외한다)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 243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모니터링 유형이 B유형인 검・교정 대상의 자체 계측기기(예. 크레인 로드셀, 유량계 등)의
Q12 정도검사 주기(또는 검・교정주기)는 어떤 기준으로 관리하여야 하나요?

[답변] 보유 또는 사용하는 계측기의 교정주기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고자 할 때에는 계측기의


정밀정확도, 안정성, 사용목적, 환경 및 사용빈도 등을 감안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그
기준을 설정하여야 함. 다만, 자체적인 교정주기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이
별도로 고시(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하는 교정주기 (정밀계기 교정주기 적용)를
준용하여야 함.
► 인정분야 세부분류 및 교정주기(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5-499호 별표 2 요약)

(단위: 개월)
구분 교정용 정밀
표준기 계기
자동 콘베이어 저울 (Auto-conveyor scale balances) - 12
자동 호퍼 저울 (Auto-hopper scale balances) - 12
질량 자동 계량 포장저울 (Auto-packer scale balances) - 12
전기식 지시 저울 (Electric balances) 24 12
분동 및 추 (Weights) 24 24
가스 밀도계 (Gas density meters) 18 12
액체 밀도계 (Liquid density meters) 24 12

밀도 고체 밀도계 (Solid density meters) 12 12


액체용 부액계 밀도, 비중, 알코올도, API도, 보메도, 당도, 우유도,
토양도, 염도, LPG 등(Hydrometers; density, specific gravity, 60 36
alcohol, API, baume, sugar,milk, soil, salinity, LPG, etc.)
액체용 차압 유량계 (Liquid flowmeters; differential pressure) 12 12
액체용 전자기 유량계 (Liquid flowmeters; electromagnetic) 18 12
유체 기체용 터빈 유량계 (Gas flowmeters; turbine) 12 12
유동 액체용 터빈 유량계 (Liquid flowmeters; turbine) 12 12
기체용 초음파 유량계 (Gas flowmeters; ultrasonic) 18 12
액체용 초음파 유량계 (Liquid flowmeters; ultrasonic) 18 12
교류 전류계 (AC ammeters) 12 12
교류 및
교류 전압/전류 교정기 (AC voltage/current calibrators) 12 12
교류전력
전력계 교정기 (Wattmeter calibrators) 12 12
이하 생략

- 244 -
부록

3 배출량 산정계획서 시스템 입력 관련 일반사항

배출시설의 분리/통합으로 배출량 산정계획 변경을 하고자 합니다. 변경되어야 할 부분


Q1 은 무엇입니까?

[답변] 기준기간 대비 계획기간 내 배출시설이 분리/통합될 경우 할당량 및 인증량의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출량 산정계획서 ‘3-1. 배출시설 정보 등’ (9)신/증설ㆍ폐쇄 등 정보와
(10)할당대상 여부, (11)특이사항에 세부내역 입력.

기준기간 대비 신규 방법론 적용 및 배출계수 산정등급 등의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변경


Q2 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입니까?

[답변] 배출시설 기준 기준기간 대비 계획기간 내 배출계수 산정등급의 변동이 있는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 ‘3-1. 배출시설 정보 등’ (11)특이사항 내 기타 추가설명이 필요한 배출시설로
구분하여 세부내역 입력.

동일한 배출시설 일련번호 내 다수의 배출활동(예. 2개 이상의 연료가 사용되는 경우)이


Q3 있는 경우 해당 배출활동의 모든 계측기 관련 정보를 작성 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서는 모든 배출활동의 활동자료 수집방법이 확인되도록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을 작성하고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의 활동자료별
측정기기 세부정보를 모두 입력하여야 함.

배출시설의 활동자료 수집방법이 계측이 아닌(예. 설계제원으로 배출량 산정 및


Q4 연비적용으로 추정 등)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 ‘3-2,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및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의 작성 방법은 무엇입니까?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서 ‘3-2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의 (10)측정지점 기호는 ‘미설치’,


(11)모니터링 유형은 ‘D 유형’으로 작성하며,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의 (5)측정
기기 이름에 ‘미설치 사유’를 작성함
► 소규모배출시설(100 tCO2-eq 미만)인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생략 가능

- 245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내부 관리용 측정기기와 공급업체에서 설치한 상거래용 측정기기가 모두 설치된


Q5 경우(예 : 외부스팀, 전력 등) 배출량 산정계획 ‘3-2,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에 모두 표시하여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나요?

[답변] 해당 배출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있어 활동자료가 수집되는 측정기기를 도식화하여


작성하여야 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 등’ 서식에 대한 활동자료의 구체
적인 수집방법 참조

내부 관리문서 변경에 따라 활동자료 수집방법이 변경될 경우 변경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


Q6 입니까?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 ‘3-2,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지점’에서 (12) 활동자료 구체적인


수집방법 설명에 변경사항을 자세히 설명하여야 함.

Q7 측정기기의 개선계획은 계획기간 또는 각 이행연도 중 어떤 기준으로 작성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은 계획기간 단위로 작성하여야 하며, 변경사항 발생 시 환경부장관에게


추가검토 요청을 하여야 함.

Q8 자체 측정기기의 정도검사(또는 검・교정)가 불가한 경우 어떻게 하여야 하나요?

[답변] 정도검사 대상인 자체 측정기기 중 제 3자가 인정할 수 있는 “안전, 기술상의 이유로 인해


정도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등의 사유로 정도검사(또는 검・교정)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관련
증빙자료(예 : 전문기관의 정도검사(교정)불가 사유서 등)를 제출하여야 함.

- 246 -
부록

에너지 공급업체가 설치 및 관리의 의무가 있는 측정기기(예 : 전력량계, 도시가스 계량기,


Q9 열(스팀)계량기 등)의 경우 모두 법정계량기로 간주하여 생략 가능한가요?

[답변] 법정계량기(WH)에 해당하는 다음 측정기기의 경우, 배출량 산정계획 목차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내 (5)측정기기 이름과 (6)측정기기 고유번호 항목만을 입력하고 법정계량
기(WH)임을 증빙하는 문서(예 : 요금고지서, 공급계약서 등)를 (9)에 첨부하는 것으로 간소화
가능하나 그 외 측정기기는 모든 정보를 입력하여야 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 법정계량기(WH) 해당 계측기(배출량 산정계획서 본문 요약)

1. 한전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전력량계


2. 한국가스공사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도시가스 계량기
3. 한국도시가스협회에서 등록된 공급업체에서 설치하여 관리하는 도시가스계량기
4. 주유기(석유제품 판매업자 법정계량기)
(단, 열(스팀)계량기의 경우는 측정값이 온도, 압력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으므로 측정기기 정보를
입력하여야 함)

배출량 산정계획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중 (8)측정범위의 적용 단위가


Q10 없는 경우 어떻게 작성하여야 하나요?

[답변] 시스템 상 단위분류에 해당 단위가 없는 경우 기타1~기타3 의 단위 중 1가지 선택 후 ‘9. 배출량


산정계획 작성 관련 기타사항‘ 에 해당 내용을 입력함.
► NGMS 시스템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 (8)측정범위’ 팝업창 참고

- 247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배출량 산정계획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중 (10)첨부와 (17)첨부의


Q11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측정기기 현황정보(6)~(9)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10)에 첨부하며, 측정기기의 검사, 관리정
보 및 불확도를 입증하는 사항에 대한 관련 증빙자료를 (17)에 첨부하여야 함.

배출량 산정계획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중 (17)측정기기의 보정여부 및


Q12 (18)보정방법에 대한 부분은 어떠한 경우에 작성하게 되나요?

[답변] 가스유량과 같이 온도계, 압력계 및 유량계와 같은 다수의 측정기기를 토대로 활동자료값이


구해지는 경우 보정여부(Y/N)와 보정방법(예 : 0℃, 1atm)에 대해 작성하여야 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4. 활동자료의 모니터링(측정) 방법 참조

배출량 산정계획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의 (11)최소산정등급 적용 여부에


Q13 '최소산정등급 없음'이 자동 입력된 경우 오류사항인가요?

[답변] 해당 메뉴 내 일부 매개변수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최소산정등급 없음”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기타인자(순도, 밀도, 분율, 효율 및 과거 배출량이 없는 경우 등)로 최소
산정등급이 없는바 오류사항이 아님.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 참조

Q14 배출량 산정계획 ‘5-3. 최소 산정등급 미 충족 사유 등’은 어떠한 경우에 작성하게 되나요?

[답변] 해당 배출시설의 적용예정 산정등급이 최소산정등급보다 낮은 경우 ‘(8)최소 산정등급(Tier)


미 충족사유’를 작성(예 : 차하위 산정등급 적용 기준 만족 등)하여야 하며, 지침에서 제시하지
않은 자체개발 산정등급(Tier 3)을 적용할 경우 ‘(9)산정등급 Tier 3 적용 시 사유’를 작성
하여야 함.

- 248 -
부록

배출량 산정계획 ‘7.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중 첨부파일은


Q15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나요?

[답변]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개발에 필요한 분석기관 및 분석항목, 절차 등 관련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야 함.

공급업체로 부터 사업장 고유(Tier 3) 배출계수(직접/간접)를 제공받을 경우 사업장


Q16 고유(Tier 3) 배출계수 개발 계획은 공급업체만 작성하면 되나요?

[답변] 기타 부생연료 등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급업체가 배출계수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작성하여야 함.
► 참고. 열(스팀) 및 부생연료의 Tier 3 배출계수 관련 작성 서식

1. 열(스팀)
- 판매 : 배출량 산정계획서 7-3 / 명세서 7-2, 10-3
- 구매 : 배출량 산정계획서 6 / 명세서 5-12, 7-2
2. 부생연료
- 판매 : 배출량 산정계획서 7-2 / 명세서 7-2, 10-2
- 구매 : 배출량 산정계획서 6 / 명세서 5-1, 7-2

배출량 산정계획 ‘7.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간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 중 동일한


Q17 첨부파일이 다수의 배출시설에 적용될 경우 대표 배출시설 1개에만 첨부하여도 되나요?

[답변] 동일한 첨부파일의 경우, 대표 배출시설 1개에 첨부하는 것이 가능함.

배출량 산정계획 ‘7-1. 사업장 고유(Tier 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의 (6)분석


Q18 항목은 어떠한 기준으로 작성하여야 하나요?

[답변] 배출량 산정계획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산정등급’의 (7)매개변수를 기준(예 : 활동자료,
배출계수(원소/공업분석 및 조성분석 등), 순발열량, 총발열량, 산화계수 으로 작성하여야 함.
►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3.2.7.1. 사업장 고유(Tier3) 직접 배출계수 개발 계획(자가소비) 참조

- 249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부록 3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주요 오류 항목

l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시 항목별 주요 오류 내용은 아래와 같음

항목별 주요 오류내용

MP 항목 오류 내용

신설/증설/폐쇄 시설에 대한 (3)~(5) 항목 작성 누락

‘2-2. 조직경계 관련 서류’ 추가설명 작성 누락

2-2. 사업장 조직경계 2-2의 (1)~(10) 항목 입력 누락

시설배치도상 에너지 사용시설 현황 식별 불가

조직경계 사진, 시설배치도, 공정도에 변경된 사업장명 미반영

폐쇄/신설/증설/분리통합 등 시설 변동 내역 내용이 명세서와 불일치 또는 누락


3-1. 배출시설 정보 등
기타 온실가스 사용시설의 보고 누락

요소수 사용량과 순도 분리 미보고 (단, 순도 100% 제외)

아세틸렌 사용량과 순도 분리 미보고 (단, 순도 100% 제외)

지침 개정에 따라 활동자료 코드 변경되었으나 적용 오류(기타 온실가스 배출 및 사용(7001)


→ 기타 온실가스 배출(7001)/사용(7002) 분류)

(4)도식도와 (10)측정지점 기호, (12)활동자료 수집방법 불일치

(11)모니터링 유형에 적절하지 않은 (10)측정지점 기호 적용

1개 시설에 측정지점 기호 중복 적용

활동자료 변경 혹은 추가로 인한 3-2 (9) 활동자료 정보와 5-1, 5-2의 활동자료 불일치
3-2.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측정 등 모니터링 유형 적용 오류

저장탱크 재고량을 고려한 활동자료 수집방법의 모니터링 유형 적용 오류 (주로 C 유형 적용)

(4)도식도와 (5)~(12) 모니터링 포인트 정보 불일치

측정기기 미설치이나, (4)도식도 및 (10)측정지점 기호 작성 오류

(4)도식도에 여러 배출시설이 표기되어있는 경우. 해당 배출시설에 대한 식별 표시 누락

D유형에 대한 모니터링 포인트, 4-1 정보 입력 누락

(10)측정지점 기호 적용 오류 (FL, (FL) 기호 혼동)

활동자료 변경에 따른 변경 전 활동자료 삭제 필요

폐가스 소각시설(신설)에 대한 배출활동코드, 활동자료 코드 작성 오류


3-3. 배출시설별 활동자료의
폐가스 소각시설의 기상폐기물에 대한 3-3장 입력 누락
측정지점 등 (신설)
모니터링 포인트 누락

- 250 -
부록

MP 항목 오류 내용

측정기기 관련 (5)~(18) 항목 입력 누락 및 작성 오류

배출량 산정계획서상 작성된 측정기기 정보와 증빙자료 불일치

3-2 항목과 4-1 항목의 모니터링 포인트 불일치

첨부파일 누락 및 적절하지 않은 증빙자료 첨부

C 유형 적용 시, 자체 즉정기기의 불확도와 거래용 측정기기 불확도 불일치


4-1. 활동자료의 모니터링
방법 개요 C 유형 적용 시, 거래용 측정기기에 대한 정보 미기입

(9)첨부파일의 측정기기 고유번호 식별 불가

정도검사 주기 초과하였으나 4-2 측정기기 개선계획 작성 누락

폐가스 소각시설에 대한 4-1장 입력 누락

요소수 사용량과 순도 분리 미보고 (단, 순도 100% 제외)

활동자료 코드 변경 오류에 따른 5-1 항목 작성 오류


5-1. 배출시설별 산정방법론의
(5)적용예정 산정 등급 입력 오류 및 누락
산정등급
폐가스 소각시설(신설)에 대한 배출활동코드, 활동자료 코드 오류로 5-1 항목 작성 오류

5-2 항목 작성 누락

5-2. 배출활동별 매개변수 5-2 항목 활동자료 매개변수 중복입력


산정등급 활동자료 코드 변경 오류에 따른 5-2 항목 작성 오류

폐가스 소각시설(신설)에 대한 배출활동코드, 활동자료 코드 오류로 5-2 항목 작성 오류

- 251 -
제3차 계획기간 배출량 산정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

부록 4 제3차 계획기간 배출권 할당 대상 부문・업종 분류

l 3차 계획기간 6개 부문 69개 업종 분류(업체기준)

부문 업종 KSIC
코드
전기업 351
전환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352
증기, 냉온수 및 공기조절 공급업* 353
석탄 광업 051
토사석 광업 071
도축, 육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 101
동물성 및 식물성 유지 제조업 104
낙농제품 및 식용빙과류 제조업 105
곡물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106
기타 식품 제조업 107
알콜음료 제조업 111
비알콜음료 및 얼음 제조업 112
담배 제조업 120
방적 및 가공사 제조업 131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134
기타 섬유제품 제조업 139
나무제품 제조업 162
펄프, 종이 및 판지 제조업 171
산업 석유 정제품 제조업 192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201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 202
비료, 농약 및 살균, 살충제 제조업 203
기타 화학제품 제조업 204
화학섬유 제조업 205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211
의약품 제조업 212
고무제품 제조업 221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22
유리 및 유리제품 제조업 231
내화, 비내화 요업제품 제조업 232
시멘트, 석회 및 플라스터 제조업 233
기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9
1차 철강 제조업 241
1차 비철금속 제조업 242

- 252 -
부록

부문 업종 KSIC
코드
금속 주조업 243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251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259
반도체 제조업 261
전자부품 제조업 262
사진장비 및 광학 기기 제조업 273
전동기, 발진기 및 전기 변환, 공급, 제어 장치 제조업 281
일차전지 및 축전지 제조업 282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283
산업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291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292
자동차용 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 301
자동차 부품 제조업 303
선박 및 보트 건조업 311
항공기, 우주선 및 부품 제조업 313
건물 건설업 411
전기통신업 61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620
자료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서비스업 631
종합 소매업 471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529
일반 및 생활 숙소시설 운영업 551
건물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681
고등 교육기관 853
병원 861
유원지 및 기타 오락관련 서비스업 912
철도 운송업 491
육상 여객 운송업 492
수송 도로 화물 운송업 493
해상 운송업 501
항공 여객 운송업 511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370
폐기물 폐기물 처리업 382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383
공공・기타 수도사업 360

- 25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