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11004-200000170403
석사학위 청구논문
지도교수 신 지 호
한국영화의 베트남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전략 연구
2019년 2월
건국대학교 대학원
영상학과
이 종 훈
한국영화의 베트남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ful Strategies for the
Korean Movies to Enter the Vietnamese Film
Market
이 논문을 영상학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18년 10월
건국대학교 대학원
영상학과
이 종 훈
이종훈의 영상학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박 상 현 (인)
심사위원 안 종 혁 (인)
심사위원 신 지 호 (인)
2018년 11월
건국대학교 대학원
목 차
표 목 차 ··················································································································· ⅲ
그림목차 ··················································································································· ⅳ
국문초록 ··················································································································· ⅵ
1. 서론 ··································································································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배경 ···································································································· 2
1.1.2 연구목적 ···································································································· 7
1.2 연구방법 및 범위 ························································································· 9
1.2.1 연구방법 ···································································································· 9
1.2.2 연구범위 ·································································································· 11
2. 베트남 영화산업 개요 ·································································· 14
2.1 베트남 영화산업의 지형 변화: 국영화에서 민영화로 ··························· 14
2.2 베트남 영화산업의 민영화 후 시장 현황 ··············································· 19
2.2.1 베트남 영화시장 규모 ··········································································· 19
2.2.2 베트남 영화산업 관련 시장: 홈 비디오시장의 위상 변화 ··············· 22
2.2.3 베트남 영화 박스오피스 시장 ······························································ 23
3. 한국 영화산업의 도입: 배경과 추이 ········································ 26
3.1 베트남에서의 한국식 극장 시스템 ··························································· 26
3.2 한국 영화콘텐츠의 다양한 수용사례의 추이 ·········································· 29
3.2.1 한국영화의 진출(2000년부터 2014년까지) ·········································· 29
3.2.2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2014년부터 2015년까지) ························ 33
- i -
3.2.3 한국영화콘텐츠의 리메이크(2015년부터 현재까지) ·························· 40
4. 베트남 영화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대응 ···································· 45
4.1 베트남 영화산업의 새로운 변화들 ··························································· 45
4.1.1 멀티플렉스가 제공하는 새로운 영화소비 현상 ································· 45
4.1.2 베트남 영화콘텐츠의 트렌드 ······························································· 47
4.1.3 베트남 영화제작방식의 현대화 ···························································· 50
4.2 베트남 영화산업에서 한국영화의 새로운 전략 ······································ 52
4.2.1 베트남에서의 영화콘텐츠 공략 ···························································· 52
4.2.2 베트남에서의 영화제작방식의 절충화 ················································ 54
4.2.3 베트남에서의 공동제작영화 전략방안 ················································ 56
5. 결론 ································································································ 63
5.1 연구 결과 요약 ··························································································· 63
5.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70
- ii -
표 목 차
〈표 1〉 CJ E&M의 베트남 공동제작 영화리스트(2014년~2017년) ·························· 6
〈표 2〉 베트남 투자금지 및 제한업종(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해외콘텐츠시
장 동향조사) ·············································································································· 16
〈표 3〉 베트남의 WTO 양허안 - 1)엔터테인멘트 소프트웨어, 2)유통서비스, 3)녹
음물 유통서비스, 4)영화상영서비스 ·········································································· 17
〈표 4〉 2015년 베트남 영화시장 통계와 2020년-2030년 목표 ······························· 20
〈표 5〉 베트남 영화산업 규모 및 전망, 2009-2018(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 21
〈표 6〉 2014년 베트남의 연령별 미혼 및 기혼 인구 비중(%) ······························ 48
- iii -
그 림 목 차
〈그림 1〉 베트남 롯데시네마는 하노이 시에 탕롱관을 열었다. 탕롱관은 대형마트
인 빅씨마트 안에 자리 잡고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다. ························· 3
〈그림 2〉 베트남 진출 7년만에 오픈한 CGV 50호점. ··········································· 4
〈그림 3〉 주요 기업별 Cineplex 운영숫자(출처: Vietnam’s Film Industry Reporter
in 2013 by http://vfpress.vn 자료 토대로 무역관 자체조사 ······································ 5
〈그림 4〉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 ······························ 12
〈그림 5〉 베트남 영화시장 규모(출처: Hollywood Reporter 재인용) ··················· 19
〈그림 6〉 베트남 영화산업 규모 및 성장률, 2009–2018(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21
〈그림 7〉 베트남 홈비디오시장 하락률과 디지털배급시장 성장률, 2009-2018 ····· 23
〈그림 8〉 베트남 영화시장 분야별 비중 비교, 2009 vs. 2013 vs. 2018 ················ 23
〈그림 9〉 베트남 박스오피스시장 규모 및 성장률, 2009–2018 ·························· 25
〈그림 10〉 한국영화 〈편지〉 ··············································································· 30
〈그림 11〉 한국영화 〈찜〉(1998, 베트남 개봉 2001) ··········································· 30
〈그림 12〉 한국영화 〈퀵〉(2011, 베트남 개봉 2011) ··········································· 31
〈그림 13〉 한국영화 〈더 웹툰: 예고살인〉(2013) ················································ 32
〈그림 14〉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므이〉(2007) ·········································· 34
〈그림 15〉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마이가 결정할게2〉(2014) ····················· 35
〈그림 16〉2013년까지 베트남 역대흥행 1위 영화〈떼오엠-Teo Em〉(2013) ···· 36
〈그림 17〉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트리플 트러블〉(2015) ·························· 38
〈그림 18〉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2014)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내가 니 할
매다〉(2015) ·············································································································· 39
〈그림 19〉 한국영화 〈미녀는 괴로워〉(2006)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아름다움
을 위해 체중을 감량하다〉(2017) ············································································· 41
〈그림 20〉 한국영화 〈써니〉(2011)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고고 시스터즈〉
- iv -
(2018) ························································································································ 42
〈그림 21〉 한국영화 〈과속스캔들〉(2008)과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스캔들 메이
커〉(2018) ················································································································· 43
〈그림 22〉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2001)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마이 쌔
시 걸〉(2018) ············································································································ 43
〈그림 23〉 베트남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 ················ 49
- v -
국문초록
한국영화의 베트남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성공 전략 연구
베트남 영화시장은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주목해야할 시장 중 하나
이다.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국영화체제의 영화제작사와 영화관을 민영화
체제로 전향하면서 외국자본의 유입과 외국 영화제작사의 도입이 이루어
졌다. 특히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 진출과 한국 영화콘텐츠의 도입은 베트
남 영화시장의 빠른 발전을 가져왔고, 또한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현재
베트남 영화시장을 살펴보면 한국식 멀티플렉스로 새로운 현대화된 영화
관람 문화와 새로운 여가 공간을 제공하였고, 한국식 로맨틱 코미디라는
붐을 일으켰다. 하지만 현재 비슷한 패턴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쏟아져
나오고 있고, 현지 오리지널 콘텐츠의 부족으로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
를 리메이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영화콘텐츠의 베트남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방향을 제
시하고, 향 후 한국 영화콘텐츠의 성공적 베트남 영화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의 참고 자료가 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쓰여 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영화시장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베
트남 영화시장에서 성공한 한국 영화콘텐츠의 분석하였고, 한국 영화산업
이 진출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CGV와 롯데시네마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
고, 한국영화콘텐츠가 도입되어서 변화 된 베트남 영화제작 시스템을 CJ
E&M의 공동제작 사례로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영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
기업 식 수직구조의 제작 시스템이 아닌 베트남 현지 제작사와의 수평적
협력으로 공동제작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위해 한국-베
- vi -
트남간의 공동제작의 방안으로는 영화콘텐츠를 선택하기에 있어서 협의해
야할 점, 현지 파트너의 선택, 스태프 구성에 따른 제작비 산정, 파트너
간의 역할 분담, 수익 정산 및 분배에 있어서 알아야 할 점 등의 세부 단
계별 구체적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주제어 :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 한국영화 콘텐츠, 베트남 영화산업, 로맨틱 코메디,
공동제작영화
- vii -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베트남 영화시장은 아시아에서 한국 다음으로 주목해야할 시장 중 하나
이다. 아시아 콘텐츠 시장규모는 연평균 10%에 가까운 빠른 성장률을 보
여 주고 있으며 그 중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콘텐츠 시장 성장률은 아시
아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베트남은 한국인에게 친숙하면서도 낯선 곳이자 가깝고도 먼 나
라다. 베트남 전쟁의 기억부터 최근 박항서 신드롬까지 우리는 베트남에
대해서 익숙한 듯 하지만 정작 베트남에 대해서 아는 정보, 특히 현재의
문화적 상황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자국 인구는 약 9,670만 명이다. 이 중
약 820만 명의 인구가 남부 호치민에 약 780만 명의 인구가 북부 수도 하노
이에 밀집 되어 있다.1) 호치민과 수도 하노이는 베트남에서 인구밀집, 경제
력, 도시발전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하노이를 포함한 북부지역의 현지
인들이 저축성향이 강한 반면 호치민시를 포함한 남부지역은 외식이나 여가
등 일상에서의 여유를 위해 소비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여가
생활에 이해가 높은 도이머이 세대(20대~30대)2)들이 경제 도시인 호치민에
몰리면서 양분화 되고 있는 현상으로 분석되고 있다. 베트남인들의 여가 활
동은 베트남의 더운 기후로 인해 야외보다는 실내 활동을 선호한다. 이에
영화관, 노래방, 당구장등이 보편화되어 있고, 특히 영화관은 멀티플렉스3)의
증가로 젊은 층의 여가 공간으로 크게 자리 잡고 있고 이중 한국계 기업인
1) 베트남 통계청, 외교부.
2) 육수현, 『제한된 문화자본으로서의 한국어: 베트남 청년세대의 사회이동과 혼종적 주체성』, 전
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p.45.
3) 응왠티한융,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서비스요인이 고객의 소비가치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p.7.
- 1 -
CGV와 롯데시네마가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한국 영화산업의
베트남의 진출을 가능하게 하였고 한국 영화 콘텐츠 또한 크게 인기를 끌게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외국계 영화상영 서비스 기업과 영화제작회사들이
진출한 이 후로 크게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중에서도 한국영화가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계 영화상영 서비스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 배경과 한국 영화콘텐츠의 베트남 진출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1.1.1 연구배경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오랜 기간 동안 국가 기관의 관리 체제로 운영되
어 왔다. 그러던 중 2002년 영화제작의 민영화와 2006년 영화관의 민영화를
추진한 이 후, 외국 기업들에 의해 양적으로 질적으로 급성장 하고 있다. 베
트남 주요 극장 운영회사인 ‘Galaxy Cinema’ 통계4)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베트남에는 약 300개의 영화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하노이와 호치민의 매출
이 전체 매출 규모의 80%를 차지하고 있다.5)
베트남의 영화시장은 2006년에 하노이 시에 첫 민간 영화관이 들어서면
서 본격 적인 자국 영화 제작 경쟁에 들어섰고 외국과의 합작 제작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의 CJ 그룹과 롯데그룹은 영화상영 서비스와
더불어 배급 및 마케팅, 영화 제작사까지 갖추기 시작했다. 2008년 롯데시네
마가 한국과 베트남 합작회사 ‘DMC(Diamond Cinema Joint Venture Comp
any)’6)를 인수한 뒤, 상영관에서 팝콘과 음료 등 콤보 메뉴를 판매하고 커플
석을 마련하는 등 ‘한국형 멀티플렉스 시스템’을 베트남에 선 보였다.7) 멀티
4) 베트남에서 한국영화진흥위원회처럼 공식적인 통계를 집계하는 기관은 2013년에 와서야 도입되
기 시작했다.
5) Kotra 이동현, 「베트남 영화상영 서비스 시장, 한국 기업이 주도」, 2015, https://news.kotra.
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44085 (201
8. 11).
6) DMC는 Fellas와 Fa film의 합작회사로 호치민과 다낭에 다수의 지점을 보유한 Diamond Cine
ma이다.
- 2 -
플렉스란 한 영화관 안에 두 개 이상 여러 개의 스크린을 갖추고 있는 복합
상영관을 말하며, 한국에서의 멀티플렉스는 대형 건물 안에 쇼핑몰, 레스토
랑, 다양한 오락시설을 갖추어 소비자의 지역 특색에 맞게 하나의 문화 공
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17년 기준, 롯데시네마는 베트남 내 30개 관, 140
개의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고 소비자들이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
록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8)〈그림 1〉
〈그림 1〉 베트남 롯데시네마는 하노이 시에 탕롱관을 열었다. 탕롱관은 대형마
트인 빅씨마트 안에 자리 잡고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다.
한 편, 롯데시네마보다 한발 늦은 2011년 베트남에 진출한 CJ CGV는 베
트남 1위 멀티플렉스 사업자인 ‘메가스타’를 인수하면서 시장진출과 동시에
업계 1위에 올랐다. ‘메가스타’는 Phuong Nam Company와 Envoy Media P
artners가 각각 20%, 80% 자본을 투자해 2004년 설립된 합작회사로 그 당
시 ‘메가스타’는 현대식 영화관으로 알려지며 큰 인기를 끌었다. CJ 그룹은
7) 최방실, 『한국 영화극장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연구: 특별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문화영상학과, 예술학석사 학위논문, 2016, p.1, p.12.
8) 응왠티한융, op.cit., p.12.
- 3 -
2011년 ‘메가스타’의 지분92%를 매입하며 2013년 이름을 ‘메가스타’에서 ‘CG
V’로 변경했다. CGV는 2017년 기준 총 49개관, 306개의 스크린을 운영 중
이다.9)〈그림 2〉
〈그림 2〉 베트남 진출 7년만에 오픈한 CGV 50호점.
롯데시네마와 CGV가 가세한 베트남 영화서비스 시장은 2009년 1,330만
달러에서 2014년 7,860만 달러, 2020년까지 약 1억 달러 규모로 예상하며 아
시아에서 한국 이후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영화 서비스 시장 중 하나로
부각됐다. 이처럼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특별관, 한국형 고
품격 서비스,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 베트남 로컬 영화 편성 확대가 큰 역할
을 했다고 설명된다.10) 한국계 CGV는 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베트남 영화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롯데시네마, Galaxy Cinema,
9) Kotra 이동현, op.cit.
10) 권영은, 「CJ CGV, 한국형 서비스로 최단 기간 관객 1000만명」, 2016, http://www.hankook
ilbo.com/News/Read/201610302052202495 (2018. 11).
- 4 -
BHD 및 작은 규모의 영화관들이 나머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11)〈그림
3〉
〈그림 3〉 주요 기업별 Cineplex 운영숫자(출처: Vietnam’s Film Industry
Reporter in 2013 by http://vfpress.vn 자료 토대로 무역관 자체조사
2010년 무렵부터 한국 영화산업관련 기업은 영화상영 서비스 외에도 베
트남 영화배급과 제작에도 진출했다. 국내 배급사로는 처음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CJ E&M12)은 2011년 영화 〈퀵〉(2011)을 처음으로 직배를 시작하
여 좋은 성과를 거둔 뒤 2012년 한 해 동안 〈오싹한 연애〉, 〈차형사〉,
〈광해〉, 〈왕이 된 남자〉, 〈늑대소년〉등을 직배하여 높은 성과를 거두
었다.
이에 힘입어 CJ E&M은 본격적으로 베트남에서 영화제작에 참여하게 된
다. 첫 공동제작 작품의 파트너로 기존 최고 흥행작 <떼오엠>(2013까지 베
트남 역대 현지 영화 1위)의 제작사인 ‘창풍필름’과 동 작품을 연출하였던
‘찰리 응웬(Charlie Nguyen)’ 감독을 선택하게 되었고, 그렇게 탄생한 <마이
11) kotra 이동현, op.cit.
12) CJ E&M은 CJ그룹의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가 합병한 업체이다. 사업영역으로는 방송사업부
문, 영화사업부문, 음악사업부문, 공연사업부문, 게임사업부문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영화사
업부문(투자 및 제작, 배급, 기획등)만 다루기로 한다.
- 5 -
가 결정할게 2>(2014)는 역대 박스오피스 1위(2017년 까지)라는 기대 이상
의 성과를 가져왔다.13) 이 후 CJ E&M은 현지 제작사 HK필름과 함께 CJ-
HK Entertainment 라는 회사를 설립해 〈수상한 그녀〉(2014)의 베트남 리
메이크 영화 〈내가 니 할매다〉(2015)등 베트남 현지 제작사와의 공동제작
으로 한국 영화산업의 베트남 진출에 성공을 이끌었다.〈표 1〉
CJ E&M의 베트남 공동제작 영화리스트(2014년~2017년)
No 작품명 개봉일 장르 비고
역대 베트남 로컬
1 마이가 결정할게2 2014.12.12 로맨틱 코미디
영화 흥행 2위
2 세 여자 이야기 2015.05.22 로맨틱 코미디
역대 베트남 로컬
3 내가 니 할매다 2015.12.11 로맨틱 코미디
영화 흥행 3위
4 트레이서 2016.04.22 액션
5 하우스 메이드 2016.04.22 공포
6 사이공 보디가드 2016.12.16 액션 코미디
역대 베트남 로컬
7 걸 프롬 예스터데이 2017.07.21 로맨틱 코미디
영화 흥행 7위
〈표 1〉 CJ E&M의 베트남 공동제작 영화리스트(2014년~2017년)
CJ E&M 이전에 베트남에서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으로 제작된 첫 영화
로 빌리픽쳐스의 〈므이〉(2007)를 꼽을 수 있다. 이 작품의 경우 베트남 현
지 제작사 ‘푹상필름’과의 공동제작으로 베트남 스태프 들이 참여하고 대부
분의 촬영이 베트남 현지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출자(제작투자)는 한국 측
13) 윤하, 『한국-베트남 영화 공동제작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학석사 학위논문, 2017, p.
26.
- 6 -
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한국 개봉을 염두 해두고 제작이 이루어져 베트남
로컬영화라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14) CJ E&M이 베트남에 진출한 이
래로, 롯데시네마도 한국에서 제작팀이 합류해 공동제작 영화를 추진하고
있고 몇몇 한국영화 판권을 가지고 있는 한국회사들이 현지 제작사와 공동
제작을 기획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베트남에서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 기업과 한국 영화제작사
가 베트남 영화산업에 진출한 상황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배경과 도입 과정은 본문 3장에서 다루겠다.
1.1.2 연구목적
현재 베트남의 영화시장은 매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미국 등 다수의 해외 투자자들과 영화 제작사들이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을 하고 있고, 특히 한국 기업들이 먼저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자국
영화 콘텐츠, 영화 교육시스템, 영화 제작시스템이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외국 기업들이 베트남 영화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고,
시장 규모로 봤을 때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여
겨지고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가 자리를 잡을 수 있고, 한국 영화(합
작, 공동제작 포함)가 흥행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는 한국 영화콘텐츠와
한국식 마케팅, 그리고 한국 제작시스템을 들 수 있다. 첫째, 베트남 내 한
국 영화콘텐츠가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점은 베트남인들의 문화와 정서가 한
국인들과 비슷한 점이 크게 어필을 했고 한류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배우들이 출연한다는 점이다. 둘째, 영화제작에 앞서 사전 제작 발표
회, 다양한 이벤트, 영화시사회, 극장시스템, 배우들의 무대인사 등 한국식
14) 공동제작영화와 합작영화의 차이에 대해서는 1.2.1 연구방법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겠다.
- 7 -
마케팅이 영화 흥행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셋째, 한국 영화제작시스
템은 적은 제작비와 낮은 기술력으로 만들어 지는 베트남 영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베트남 자국 내에서 외국계 기업에 대한 반감,
자국 영화산업 보호정책, 베트남식의 마케팅 활성화 등의 많은 변화가 일어
나고 있고 이로 인해 베트남 영화산업 시스템 구축과 제도적 방안 등에 대
한 연구와 정책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처럼 한국영화가 베트남에 진출
을 하기 위해선 베트남 영화산업의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고, 베트남에서 성
공한 한국 영화콘텐츠들을 사례로 전략적인 기획과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가 베트남 영화산업에 미친 연구
와 베트남에서 성공한 한국영화에 대한 연구 자료를 찾아보면 그 수가 매우
적을 뿐더러 내용도 부실하다.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 영화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베트남 영화시장에서 성공한 한국영화들의 사례를 분석
하여 한국영화가 베트남 영화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15) 응웬 프엉 타오, 『베트남 관객의 영화 소비동기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베트남, 한국, 미국
영화 소비 비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p.29.
- 8 -
1.2 연구방법 및 범위
1.2.1 연구방법
본 연구는 두 가지 큰 어려움에서 출발한다. 첫 번째로는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재가 있다. 이는 최근에 급부상한 베트
남 영화산업으로 인해 이제까지 이 지역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을 반영한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중국
간 공동제작영화의 사례를 포함한 유사한 한국영화의 해외 공동제작 사례
및 전략 방안을 연구의 참고문헌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비록 베트남 현지의
특수성을 다루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시행착오를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는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트남 영화산업의 현황, 영화시장
의 규모를 조사하다 보면 통계와 수치가 제 각각이어서 신뢰할 수 있는 객
관적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한국과 같이 영화진흥위원
회의 역할을 하는 공적 기관이 없고, 공신력 있는 미디어 리서치 회사가 없
기 때문이다. 베트남 현지의 영화관 상영시스템이 디지털로 바뀌고 멀티플
렉스 영화관이 증가함에 따라 극장 수익과 관객 수를 집계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이 생기긴 했으나, 2015년 기준으로 여전히 지방에서는 아날로그 상
영시스템이 유지되고 있고, 제작비와 수익 분배 또한 각 투자사와 배급사에
유리한 형태로 계약 되어 있어 정확한 수익, 관객 수 등을 투명하게 집계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 정부 관계부서의 발표문, 베트남 통계청,
한국 영화진흥위원회(Kofic),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자료를 우선적
으로 고려하여 반영하였다. 이외에도 현지에서 활동하는 영화 관련기업, 영
화관 운영기업, 제작자, 배급업자 등에 대한 언론기사, 인터넷기사 등을 통
해 2차적인 자료를 모으고 비교 분석하여 추론하기로 한다. 일부 추론된 자
- 9 -
료의 신뢰도 문제를 제기할 수 있겠지만, 베트남에서는 한국과 같은 영화산
업에 관련된 공식적인 자료나 통계를 발표하는 기관이 없는 실정이기 때문
에 현지 영화산업 관련 기업들이 발표한 통계와 기사 등을 집계하여 가장
근사치를 다루는 차선책을 택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에 표기되는 화폐 단위
는 각 보고서, 기사 등 출처에 표기된 단위 등을 그대로 표기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고, 비교 분석 등에 필요한 경우 현재 환율에 근거한 단위를 표기
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였다.
이렇게 얻어낸 베트남 영화산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 영화산
업 관련 기업이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하여 만들어진 공동제작영화 사례와
한국 영화콘텐츠의 활용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공동제작영화라는
용어는 합작영화 등과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공동제작영화’는 “한국영화제작업자와 외국영
화제작업자가 공동으로 제작한 영화 중 문화체육관광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
라 공동으로 제작비용을 출자하여 제작한 영화”16)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합작영화’는 공식적으로 정의된 용어는 아니다. 통상적으로
‘합작영화’는 “재원을 공동으로 출자하여 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공동출자
(Co-financing)’와 재정적인 제휴관계와 동시에 기획, 제작 같은 과정을 공
유하는 ‘공동제작(Co-production)’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17) 따
라서 이 연구에서는 합작영화도 공동제작영화의 범주 안에 포함하여 연구하
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한국영화와 관련 영화산업 기업에 의해
16)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조(공동제작영화의 출자 비율) 「영화 및 비
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4호에 따른 공동제작영화는 한국영화
제작업자와 외국영화제작업자가 공동으로 제작비용을 출자하되, 그 출자비율이 다음 각 호의 기
준에 맞는 것을 말한다.
1. 공동제작에 참여하는 영화제작업자의 국적이 2개국에 속하는 경우: 국적별 출자비율이 각각
20퍼센트 이상일 것.
2. 공동제작에 참여하는 영화제작업자의 국적이 3개국 이상에 속하는 경우: 국적별 출자비율이
각각 10퍼센트 이상일 것.
17) 영화진흥위원회, 『국제공동제작에 관한 연구』, 서울 : 영화진흥위원회, 2001, p.20.
- 10 -
많은 발전을 하고 있고 큰 변화를 하고 있다. 발전을 하게 된 요인으로 한
국 영화상영 서비스와 한국 영화콘텐츠의 사례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알아본
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영화가 베트남영화시장에서 성
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2.2 연구범위
베트남 영화산업에 대한 연구는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과 영화산업의 구
조적 변화를 결합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선,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으로
보자면 베트남 영화산업의 큰 변화가 된 시점은 크게 두 시점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1986년 베트남 정부에서 도이머이 정책18)을 수립하면서 민
간 영화사들이 시장 경쟁 시스템에 도입되던 시기이다. 두 번째는 2002년
민간영화사 설립을 허용하면서 부터 베트남 영화산업에도 본격적인 시장경
쟁이 시작되고19) 2006년 극장을 민영화 하면서 베트남 영화산업이 크게 발
전하게 된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기적으로 베트남 영화산업이 국
영화체제에서 현재의 민영화체제에 이르기 까지를 한정하여, 그사이에 일어
난 변화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기는 베트남 영화산업의 구조적 지형변화를 구체적으로 야기하
였다. 특히 민영화시기에 외국 기업들의 진출이후로 인해 베트남 영화산업
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는데, 본 연구는 그중에서도 한국영화산업의 역할
에 대해 집중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범위의 설정은 다음과 같은 현재 베트남 영화시장의 특수한
풍경에서 비롯된다. 민영화 이후 베트남 영화 관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연령
대는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다. 그중에서도 학교를 졸업하기 시작하는
10대 후반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초반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18) 도이머이 정책이란 베트남의 경제 개방 정책으로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대외개방과 시장
경제에 자본주의를 접목시키려는 정책이다. 1986년.
19) 응웬 프엉 타오, op.cit., p.19.
- 11 -
관객층 때문에, 2017년 개봉한 베트남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
니다)〉(2017)은 18세 미성년자 여자가 베트남 상류층 남자와 계약연애를 하
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로 메인 타깃 층을 10대 후반으로 설정하여 크게 인
기를 끌었다.(2017년 기준베트남 역대 흥행 영화 1위)〈그림 4〉
〈그림 4〉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
뿐만 아니라, 최근 베트남의 CJ E&M도 10대에서 20대 타깃 층의 공략
과 그 타깃에 맞는 마케팅의 도입으로 〈마이가 결정 할게2〉(2014), 〈내가
니 할매다〉(2015)등 2017년 기준 베트남 역대 흥행 영화 2,3위를 기록했
다.20) 이처럼 현재 베트남 영화는 메인 타깃 층을 10대에서 20대로 공략 중
이며, 베트남 영화의 대세 장르는 로맨스 및 코미디 장르로 2017년 베트남
영화순위 1~6위 중 50%가 로맨틱 코미디가 차지했고 2016년~2017년 상반기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관객 점유율이 75%를 차지했다.
20)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는 베트남 CJ E&M이 현지 제작사 ‘창풍필름’과 제작한 베트남
첫 공동제작영화이고, 〈내가 니 할매다〉(2015)는 베트남 CJ E&M이 HK film과 CJ-HK Ente
rtainment 란 공동제작사를 차리고 자체 제작을 한 첫 작품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3.2.
1 한국영화의 진출에서 다룰 것이다.
- 1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영화 메인 타깃인 10대부터 30대까
지 선호하는 현지 영화와 한국영화의 차이를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지점이 현재 베트남 영화의 가장 특징적인 경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흥행요소를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영화와 한국영
화콘텐츠를 리메이크한 사례로 비교해 분석하면 베트남 현지의 한국영화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중요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베트남 영화산업을 다룸에도 불구하고 제외하는 영역
들이 여럿 있다. 우선 베트남에서 제작된 영화중 상업적이지 않은 예술 영
화와 실험적인 영화들은 제외하기로 한다. 또한 현재 베트남 시장에서 개봉
되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들도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기로 한다.
더불어 2015년 기준 자국영화를 40편 정도를 만들기는 하지만, 여전히 시
나리오의 사전 검열을 받아야 하며 국가사상이나 베트남 현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영화, 또 적나라한 성적인 묘사 등의 시나리오는 제작이 불가한
상황이다. 따라서 베트남에서 만들어 졌지만 또는 베트남을 그린 영화지만
베트남 영화 시장과 무관한 영화들은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요컨대, 본 연구의 범위는 베트남 영화의 메인 타깃 층과 이를 겨냥한 한
국 영화콘텐츠를 베트남 시장에 맞게 재해석 해보고 베트남 영화산업이 국
영화에서 민영화 된 이후로 한국 영화산업에 관련된 기업들의 진출과 한국
영화콘텐츠의 진출로 인한 베트남 영화시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13 -
2. 베트남 영화산업 개요
2.1 베트남 영화산업의 지형 변화: 국영화에서 민영화로
베트남 영화산업의 시작은 1953년 국가가 만든 영화국 설립으로 시작되
었다. 1956년에 이 기관이 ‘베트남 영화 공사’와 ‘국영 상영 및 배급공사’로
분리되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프랑스, 미국과의 전쟁기간에 정부 주도로,
대부분이 혁명정신을 고취하는 혁명영화가 주를 이루었다.21) 이는 호치민의
통일로 까지 이어졌고 베트남 영화산업의 사실상 활성화된 시기는 1975년
통일 이후부터 1988년 까지라 볼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영화의 주제도 다양
화되고 국영체제의 영화사가 다수 설립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베트
남의 영화산업은 국가가 지원하고 관리하는 국영체제였으며 영화산업 종사
자도 사실상 공무원이었다. 1986년 이후 시장경제체제가 도입되면서 영화산
업에도 민간 진출이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국영기업의 영화시장 점유율이
높았다. 베트남에서는 영화가 국가의 관리를 받는 분야인 만큼 ‘표현의 자
유’에 있어서도 일정한 제약이 남아있다.22)
1986년 도이머이 정책 이후, 시장경제체제가 도입되면서 영화산업에도 민
간 진출이 이루어지고 해외 영화 수입 규제가 완화된다. 이는 정부의 영화
산업 독점이 폐지, 완화되지만 역설적으로 베트남 영화산업은 침체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1996년, 베트남 영화산업의 진흥을 위해 국가의 영화제작 지
원 사업이 시작되긴 했지만, 완성도 높은 수입영화의 벽을 넘긴 힘들었다.
여기에 2006년 이후, 외화 수입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메가스타, 롯데시네마
등 외국계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이 생겨나고 완성도 높은 외국영화들이 상영
되면서, 2009년에는 5편미만의 자국 영화만이 제작되고 자국영화 점유율도
21) 응웬 프엉 타오, op.cit., p.18.
2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하반기 3권」,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p.210.
- 14 -
10% 미만에 머물 정도로 최악의 침체 상황에 빠지게 된다.23)
이에 베트남 정부는 2010년 7월 스크린 쿼터 제를 시행하고, ‘영화산업
중장기 진흥정책’을 수립하는 등 베트남 영화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정책
에 노력하고 있다. 관련 기관으로서는 베트남의 콘텐츠 산업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와 정보통
신부(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MIC)를 설립하였다. 문화
체육관광부는 영화와 예술, 저작권 및 공연 등의 정책 수립과 산업 전략을
총괄하며 공연물 DVD, VCD 및 CD 등의 승인을 담당한다. 콘텐츠 분야 중
영화의 경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영화국(Vietnam Cinema Department)
에서 총괄한다. 영화국은 영화제작, 유통 등 전반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자국 영화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영화 시장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24)
이렇듯, 극장의 민영화 이후로 베트남 영화시장이 빠른 성장을 하고는 있
지만, 베트남 영화산업 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도 많다. 첫째, 자국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다. 콘텐츠에 대한 문제는 영화국 뿐만 아
니라 투자자, 제작자들이 공통으로 지적하고 있고 해외교류 사업을 진행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부분이다. 둘째, 프로듀서, 감독, 촬영감
독 등 영화제작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최근에는 베트남 출신의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감독들이 유입되면서 완성도가 조금씩 올라가고는 있지만 드라
마나 로맨틱 코미디에 한정되어 있고 액션과 특수 효과 등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작품의 경우에는 외국 스텝들에 의존하고 있다. 셋째, 영화제작비
가 한정적이다. 베트남에서는 한국처럼 영화투자를 위한 전문 투자사가 없
기 때문에 배급사나 극장 운영 기업 등에서 투자가 이루어지고 신규제작사
의 경우 영화 제작비 투자를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새로운 콘텐츠개발
이 어렵다.25)
23) 응웬 프엉 타오, op.cit., p.18.
2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op.cit., p.200.
25) 2016 한국-베트남 영화산업 네트워킹 행사 포럼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 15 -
베트남 영화산업의 민영화 전개는 외국기업의 투자와 관련된 정책도 살
펴보아야 한다. 베트남은 기본적으로 국내외 기업에 대해 차별을 두지 않지
만, 콘텐츠산업(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산업)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에 대한
엄격한 규정을 통해 국가의 정체성 또는 체제 유지를 위한 보호주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26)〈표 2〉
〈표 2〉 베트남 투자금지 및 제한업종(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WTO 가입 후 해외 영화에 대한 수입 한도가 없어
졌으나, 베트남 정부는 여전히 엄격한 경영을 통해 국내 영화산업을 통제
및 보호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 영화산업은 영화국의 영화예술법(No.54/2010
/ND-CP)에 의해 규제되는데, 외국인 또는 외국 기관이 베트남에서 영화를
제작하거나 유통 및 배급 시장에 진출하려면 베트남 사업자와 합작(joint ve
nture)이나 경영협력계약(business cooperation contract 이하 BCC)을 맺어
야 한다. 이때 합작 회사의 외국인투자는 49%까지만 허용되고 BCC를 통한
현지 파트너와 공동제작 영화에 한해서 51% 까지 허용된다.27)〈표 3〉
2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op.cit., p.200.
27)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시아 주요 6개국 문화콘텐츠산업 가이드북」,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p.68.
- 16 -
〈표 3〉 베트남의 WTO 양허안 - 1)엔터테인멘트 소프트웨어, 2)유통서비스, 3)
녹음물 유통서비스, 4)영화상영서비스
- 17 -
이러한 배경에서 대부분의 외국사업자들은 법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영
협력계약(BCC)을 통한 진출을 추진해왔다. 경영협력계약을 맺더라도 여러
비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으로는 외국투자자의 경영권 행사(수익의 송
금, 자산매각 등)가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이다. 때문에 베트남 영화 산
업의 외국인 투자가 녹록치 않은 것이 현재 현장의 목소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관련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
하여 빠르게 적응하고 있고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처럼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국영화에서 민영화로 지형 변화를 거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만큼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나타났다. 다음 장에서
는 민영화 후 변화 된 베트남 영화산업의 시장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 18 -
2.2 베트남 영화산업의 민영화 후 시장 현황
2.2.1 베트남 영화시장 규모
베트남 영화시장은 2006년 극장을 민영화하면서 외국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로 인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한국기업인 롯데시네마와 CG
V의 진출로 멀티플렉스가 증가함에 따라 영화배급 편수가 늘어나고 영화시
장 규모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베트남 영화국에 따르면 2013년 베
트남 영화시장 매출규모는 약 5000천만 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며, 2020년까
지는 약 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28)〈그림 5〉
〈그림 5〉 베트남 영화시장 규모(출처: Hollywood Reporter 재인용)
특히, CJ E&M이 배급과 제작을 시작하면서 2015년에는 양적 측면에서
영화 제작 편수와 배급 편수가 증가하였고, 질적 측면에서도 영화제작 기술
이 향상되었으며 다양한 주제의 영화들이 제작되었다.29)〈표 4〉
28) Kotra 이동현, op.cit.
29) 윤하, op.cit., p.14.
- 19 -
구분 2015년 2020년 2030년30)
총 관객수 5,100만명 1억 1,000만명 2억 5000만명
베트남영화 41편 80편 160편
외국영화 199편 270편 300편
전체 개봉 편수 240편 350편 460편
스크린 수 538개 800개 1200개
〈표 4〉 2015년 베트남 영화시장 통계와 2020년-2030년 목표
영화상영 서비스시장과 영화제작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영화산업도 성장
세를 보였다. 영화산업은 관련되어진 산업분야가 광범위하고 문화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서 국가 브랜드 및 경쟁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31)
영화의 관련된 산업으로는 첫째, 박스오피스 시장이다. 이는 영화극장 수익
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실제 해외 판권을 포함한 영화가 벌어들이는 총수
익을 의미한다. 두 번째, 디지털배급시장이다. 디지털배급시장은 박스오피스
의 통계에 포함이 될 수도 있지만, 매체와 광고, 방송수익은 포함되지 않아
서 박스오피스와는 다른 산업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홈비디오 시
장이다. 홈비디오란 비디오를 포함한 DVD, VCD등 비디오대여, 판매시장을
의미한다.
베트남의 영화관이 민영화 된 이 후로 박스 오피스시장과 디지털배급시
장은 꾸준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홈비디오
시장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 영화시장은 박스오피스시장과 디지털
배급시장의 성장률에 힘입어 향후 5년간 연평균 8.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
18년에는 1억 4,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32)〈표 5,그림 6〉
30)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영화국에서 발표한 “2020-2030’s target”.
31)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2008
년 11월), pp.134-143.
32) 한국콘텐츠진흥원, 「베트남 콘텐츠시장 규모 및 전망」,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 20 -
〈표 5〉 베트남 영화산업 규모 및 전망, 2009-2018(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6〉 베트남 영화산업 규모 및 성장률, 2009–2018(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 21 -
2.2.2 베트남 영화산업 관련 시장: 홈 비디오시장의 위상 변화
베트남 영화산업의 특징 중 하나는 홈 비디오시장의 특수성이다. 일반적
으로 영화산업은 개봉관 중심의 박스오피스 영역이 주도적 역할을 하지만,
베트남에서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활성화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홈 비디
오시장이 베트남 영화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중 홈 비디오
판매 시장은 2009년 38.2%의 점유율을 보였고 홈비디오 대여시장은 30.5%
의 점유율을 보여 홈비디오 시장은 68.7%의 점유율로 전체 시장을 주도했
다. 여기에는 베트남 국가 주도로 만들어지는 영화체제에서 민영화로 바뀐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영화 저작권제도가 만들어 지지 않아 불법 DVD, VC
D등 외국 영화를 볼 수 있는 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증가하고 디지털배급시장의 급격한 확대로
2013년에 홈 비디오시장은 대폭 시장이 축소되었다. 그 동안 불법복제물이
중심을 이루었던 홈 비디오시장은 IPTV와 같은 합법적인 디지털배급시장으
로 재편되었다.33)
디지털배급시장의 성장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2018년에는 홈비
디오 판매, 대여시장이 24.3%의 점유율로 축소될 전망이다. 박스오피스시장
은 2009년 28.3%의 점유율로 홈비디오 대여시장의 뒤를 이었으나 그 비중이
점차 늘어나 2013년에는 31.7%의 점유율을 보였다. 하지만 디지털배급시장
의 성장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소 줄어들어 2018년에는 26.4%의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배급(IPTV 포함)시장은 2009년 3.
0%의 점유율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했지만 2013년 폭발적인 성
장세로 확대되어 26.5%의 점유율로 박스오피스시장의 뒤를 이었다. 디지털
배급시장은 이러한 추세를 이어가 2018년에는 48.6%의 점유율로 베트남 영
화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갖는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34)〈그림 7, 그
림 8〉
33) 베트남에서는 IPTV를 제외한 VOD서비스시장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3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op.cit., p.582
- 22 -
〈그림 7〉 베트남 홈비디오시장 하락률과 디지털배급시장 성장률, 2009-2018
〈그림 8〉 베트남 영화시장 분야별 비중 비교, 2009 vs. 2013 vs. 2018
2.2.3 베트남 영화 박스오피스 시장
2013년 베트남 박스오피스시장은 전년대비 4.3%성장한 2,900만 달러 규
모를 나타냈다. 베트남에는 2013년 기준으로 약 200여개의영화관이 있으며
- 23 -
9,000만 명의 사람들이 영화를 관람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정부는 조직폭력 내용 영화의 상영을 금지하는 등 심한 검열을 실시하고 있
으며 영화 제작사들은 이러한 검열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은 영
화시장으로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정부의 검열과 규제로 인해 기대
했던 것보다는 더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영화시장은 향후 5년간 4.9%의 성장률로 2018
년에는 3,700만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영화 시장규
모는 2014년 기준 한 해 동안 8,700만 달러로 한국 시장 대비 5% 수준이며
전체 영화 관람객 수는 2,100만 명이다. 연간 1인당 관람 횟수는 0.2회, 인구
10만 명당 스크린 수는 0.3개에 불과하여 성장 잠재력이 높다. 최근 4년간
베트남 영화시장의 연간 평균 성장률은 30% 이상이며 2019년 시장 규모는
2배 성장한 2.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많은 인구 수 대비
극장이 부족해 신규로 극장을 오픈할 수 있는 지역이 풍부하여 베트남의 영
화 시장은 향후 5~6년 동안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한다.35)〈그림
9〉
35)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op.cit., p.581.
- 24 -
〈그림 9〉 베트남 박스오피스시장 규모 및 성장률, 2009–2018
(2011년 이전은 집계 불가한 수치로 제외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베트남 영화산업은 영화제작과 영화관을 민
영화한 이후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크게 발전을 하였다. 비록 아직까지는
베트남 자국 영화의 경쟁력은 외국 영화들에 비해 떨어지지만, 2012년 기준
점유율은 20% 로 매년 3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국영화체제의 획일성
에서 벗어나 영화콘텐츠의 장르가 다양해지고 제작 역량이 향상되고 있어
자국 영화의 점유율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지점에서 베트남 영
화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한국 영화상영 시스템과 한국 영
화콘텐츠를 들 수 있다. 이어지는 제3장에서는 베트남 영화산업에 한국식
영화산업이 도입된 배경과 추이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 25 -
3. 한국 영화산업의 도입: 배경과 추이
3.1 베트남에서의 한국식 극장 시스템
제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 영화산업은 사회주의 체제의 영향으
로 정부통제를 많이 받아온 편이었으나, 1986년 도이머이 정책과 함께 민간
자본의 영화산업 진출이 부분적으로 허용되면서 베트남 영화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베트남 국영영화사(Fafilm)36)에 의해 독점되었던 배
급업은 2002년 민간자본 영화사의 설립 및 영화수입이 허용됨에 따라, 매년
5편 정도의 자국 영화가 만들어지던 침체기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영화제
작 측면에서는 2015년 기준 40여 편으로 자국 영화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영화 상영시스템 측면에서는 2006년 극장을 민영화 한 이후로 해외자
본이 유입됨에 따라 최신 설비의 멀티플렉스극장으로 바뀌기 시작했다.37)
베트남 주요 극장 운영회사인 Galaxy Cinema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
준 베트남에는 약 300개의 영화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하노이와 호치민의
매출이 전체 매출 규모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영화국은 2013년 매
출규모는 약 5000천만 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며 2020년 까지는 약 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베트남 영화가 활성화된 요인으로는 한국계 극장서비스가 늘어난
요인도 한 몫을 했다. 롯데는 유통, 호텔업 등 베트남의 여러 산업 분야에
일찌감치 진출해 있는 한국계 대기업이다. 베트남 영화 산업에서 롯데 시네
마는 CGV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기업이다.38) 2008년 롯데시네마가 한국과
베트남 합작회사 DMC39)를 인수한 뒤 상영관에서 팝콘과 음료 등 콤보 메
36) Fafilm은 민영화 이후로 유명무실해졌지만 지금도 존재한다.
37) 영화진흥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한국영화 진출현황연구』, 서울 : 영화진흥위원회, 200
3, p.204.
38) Kotra 이동현, op.cit.
39) DMC는 Fellas와 Fafilm의 합작회사로 호치민과 다낭에 다수의 지점을 보유한 Diamond Cine
ma이다.
- 26 -
뉴를 판매하는 등 한국형 멀티플렉스 시스템을 베트남에 선 보였다. 멀티플
렉스란 2개 이상의 상영관을 갖추고 쇼핑몰, 카페, 레스토랑, 게임 등 다양
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복합놀이공간을 의미한다. 롯데마트는 2008년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베트남 호치민에 진출하면서 현지 업체와 차별화해 멀티플
렉스 영화관, 문화센터, 볼링장, 쇼핑몰, 레스토랑, 카페 등 문화, 편의시설을
갖추었다. 롯데시네마는 자체 페스트푸드 브랜드인 롯데리아를 영화관내 갖
추고 팝콘, 음료 등 콤보 메뉴를 판매하고 커플들을 위한 커플 석을 마련하
는 등 한국형 멀티플렉스로 자리 잡았다. 이에 베트남 젊은 층들에게 큰 호
응을 얻었고 젊은 층 들의 여가 공간이 멀티플렉스로 옮겨가는 시점이 되기
도 하였다. 롯데시네마는 DMC 인수 이후 지속적으로 영화관을 증설하여 20
17년 기준 30개 관, 140개의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고 배급망도 갖추고 있어
한국영화 등을 자체 배급망을 통하여 상영하고 있다. 또한 2017년에는 한국
에서 영화 제작팀을 베트남에 들여와 현지 영화사와 공동제작 영화를 기획
중이다.
한 편, CJ CGV는 2011년 ‘메가스타’를 인수하여, 2013년 ‘CGV’로 이름을
변경한 뒤, 2017년 까지 49개관, 306개의 스크린을 확장하였다. 현재 베트남
영화 서비스 시장의 50% 이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롯데시네마가 2
위, Galaxy Cinema, BHD 및 작은 규모의 영화관들이 나머지 점유율을 차
지하고 있다. 메가스타는 Phuong nam company와 Envoy media partners가
각각 20%, 80% 자본을 투자해 2006년 설립된 합작회사로 그 당시 메가스타
는 현대식 영화관으로 알려지며 큰 인기를 끌었다. CJ 그룹은 2011년 이 메
가스타의 지분 92%를 매입하며 2013년 이름을 메가스타에서 CGV로 바꾸었
다. 베트남의 CGV는 CJ CGV의 글로벌 총 매출규모에서 30%를 차지하는
주요시장이며, 아시안 국가 중 베트남을 CJ CGV 그룹의 전략국가로 설정하
고 있다. 현재 베트남에서 CGV의 세력은 매우 막강하며, 나아가 Warner br
os, Paramount, Disney, Universal 등과 같은 세계적인 영화배급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CJ entertainment의 지원으로 많은 할리우드 블랙버
- 27 -
스터 영화들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다. 한 편, CJ E&M은 2016년 베트남
미디어회사 블루를 인수하여 CJ 블루를 설립하고 광고대행, 방송, 드라마 예
능, 홈쇼핑 등 현지화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2018년 영업 손실이 30억 원,
초반 운행 자금이 너무 커 CJ 블루는 존폐의 위기에 놓여있는 상태다. 하지
만 영화 사업 부문은 〈내가 니 할매다〉(2015), 〈고고 시스터즈〉(2018)
등으로 흑자를 기록 중이고, 출시하는 영화마다 흥행에 성공하며 기록을 이
어 가고 있다. 이처럼 CGV와 롯데시네마는 한국형 영화상영 서비스와 다양
한 한국영화 콘텐츠로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해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에 더하여 베트남에서 공동제작 된 현지 영화에 한국식 극장 시스템의 마케
팅까지 가세함으로써 영화 흥행에 있어서 없어서 안 될 중요한 요인으로 자
리 잡고 있다.
- 28 -
3.2 한국영화의 다양한 수용과 사례의 추이
3.2.1 한국영화의 진출(200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식 영화상영 서비스의 도입과는 별개로, 베트남에서는 이미 한류열풍
이 일고 있었다. 베트남에서의 한류도 중국과 일본처럼 TV드라마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베트남 방송국들은 1990년대 말부터 한국 드라마를 방영함으로
써 대중들에게 한류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베트남에 처음 소개된 한국 드라
마는 1995년 베트남 국영방송 VTV 1에서 방영된 KBS2의 〈내 사랑 유
미〉(1995~1996)로, 한국 드라마를 처음 접하는 베트남 시청자들에게 폭발적
인 인기를 끌었다. 1996년에는 하노이TV에서 KBS2의 드라마 〈느낌〉(199
4)이 방영되었다. MBC의 〈의가형제〉(1997)는 1998년 호치민TV에서 방영
된 이후, 하노이TV, 다낭TV, VTV 3에서도 재방송 되면서 한류열풍을 이어
갔다.
이러한 한류 드라마의 인기를 이어받아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영화의
꾸준한 진출도 이루어 졌다. 특히, 2000년 1월 한국영화 최초로 최진실, 박
신양 주연의 〈편지〉(1997)가 베트남 국영 영화사의 배급과 합작으로 하노
이에서 개봉되었다.〈그림 10〉 한 편, 같은 해 3월 장동건, 고소영 주연의
〈연풍연가〉(1998)가 호치민에서 개봉되었지만 흥행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다른 한편, 2000년부터는 한국 드라마에서 인기를 얻은 배우들이 출연한
한국 영화가 베트남에서 흥행에 성공하기 시작했다. 2001년 3월 베트남에서
개봉된 안재욱, 김혜수 주연의 〈찜〉(1998)은 약 9만 명의 관객과 20만 달
러의 수입으로 당시로서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의 성공을 계기로
한국 영화는 베트남 영화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40)〈그림 1
1〉
40) 응웬 프엉 타오, op.cit., p.35.
- 29 -
〈그림 10〉 한국영화 〈편지〉
(1997, 베트남 개봉 2000년)
〈그림 11〉 한국영화 〈찜〉(1998,
베트남 개봉 2001)
- 30 -
2001년에는 〈카라〉(1999), 〈엽기적인 그녀〉(2001), 〈패자 부활전〉(1
997), 〈해가 서족에서 뜬다면〉(1998) 등의 영화가 극장에서 개봉하여 흥행
에 성공했다. 현지 영화관계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한
국영화의 흥행요인은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유교적인 문화적 배경과 사랑
과 우정을 좋아하는 한국영화의 스토리가 베트남 문화와 비슷하다는 평가이
다. 이와 함께 베트남 자국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배우들의 연기와 세련된
영상, 고급 기술력도 흥행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림 12〉 한국영화 〈퀵〉(2011,
베트남 개봉 2011)
CJ E&M이 베트남 영화시장 직배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2011년, 한
국영화 〈퀵〉(2011)으로 16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큰 인기를 끌었다.〈그림
12〉 이러한 기세를 이어받아 2012년에는 〈오싹한 연애〉(2011), 〈차 형
사〉(2012), 〈광해, 왕이 된 남자〉(2012), 〈도둑들〉(2012), 〈늑대소년〉(2
- 31 -
012) 등을 직배하여 한 해 동안 약 7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듬해 2013년,
〈더 웹툰: 예고살인〉(2013)은 27만 7천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였고 베트남
내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역대 1위를 기록했다.〈그림 13〉 같은 해 〈7번방
의 선물〉(2012), 〈설국열차〉(2013)등이 개봉해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
1년에서 2013년은 베트남 영화시장에서 박스오피스의 비중이 가장 컸던 기
간이고(〈그림 8〉참조), 그중에서도 한국영화가 CJ E&M을 통해 가장 많이
수입, 상영되었다.
〈그림 13〉 한국영화 〈더 웹툰:
예고살인〉(2013)
이후로 CGV외에 롯데시네마와 기타 영화관에서도 한국영화의 상영이 꾸
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4년에는 〈명량〉(2014), 〈해적〉(2014),
〈두근두근 내 인생〉(2014), 〈나의 사랑, 나의 신부〉(2014)등을 베트남 관
객에게 소개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41)
- 32 -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1990년대 말 한국드라마의 유행으로 촉발된
베트남의 한류열풍은 200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영화의 직접수입을 통한
상영으로 이루어 졌다. 그런데 이 기간에 유의미한 변화를 찾을 수 있다. 20
00년대 초반에 베트남에 소개된 한국영화들은 한국에서의 개봉 시기와는 어
느 정도 시간적 차이가 있다. 이는 2000년대 초반에 한류열풍에 따라 로맨
틱 코미디 및 멜로드라마 장르의 작품들을 일종의 패키지로 선보인 경향으
로 보인다. 반면 CJ E&M이 직배사업을 시작한 2011년 이후의 한국영화들
은 베트남 현지 개봉시기와 한국에서의 개봉시기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
다. 이는 롯데시네마가 가세한 2014년까지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한
국과 베트남에서 한국영화가 개봉 및 소비되는 시간적 차이를 지운, 거의
동시대적 관람현상을 보여준다.
3.2.2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2014년부터 2015년까지)
2014년부터는 한국영화콘텐츠를 둘러싼 새로운 지형변화가 등장한다. 앞
서 다룬 한국영화의 수입 및 상영과는 별개로, 한국 제작사와 베트남 제작
사의 공동제작이 시작된 것이다. 예외적으로 한국 제작사와 베트남 제작사
의 공동제작 구조로 제작된 첫 영화는 〈므이〉(2007)이다. 비록 이전에
〈하얀전쟁〉(1992), 〈알포인트〉(2004) 등의 작품들이 베트남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이러한 영화들은 공동제작영화이기 보다는 베트남 현지
로케이션 촬영을 위해 협력한 사례라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므이〉(2007)
는 베트남 현지 제작사 푹상필름(Phuoc sang films)42)과의 공동제작으로 베
트남 현지 스태프 들이 대거 참여하고 대부분의 촬영이 베트남 현지에서 이
루어졌다는 점에서 최초의 실질적인 공동제작구조로 제작된 영화이다.〈그
림 14〉
41) 응웬 프엉 타오, op.cit., p.36.
42) 푹상필름(Phuoc sang films)은 2004년 베트남 배우 ‘루 푹상(Luu Phuoc Sang)’이 설립한 개
인 영화 스튜디오이다.
- 33 -
〈그림 14〉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므이〉(2007)
그렇지만 한국 개봉을 염두에 두고 대부분의 출자(제작투자)를 한국 측
에서 진행하는 식으로 제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베트남 현지영화라고 보기
엔 다소 무리가 있다.
〈므이〉(2007)가 한국에 회사를 갖고 있는 빌리픽쳐스가 베트남과의 공
동제작으로 만든 첫 영화라고 하면, 이후 2013년 CJ E&M이 베트남 현지에
진출해서 현지 제작사 창풍필름(Chanh phuong films)과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를 제작하면서,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는 국내 제작사가 베
트남에 진출해 만든 첫 공동제작 현지영화로 볼 수 있다.〈그림 15〉
- 34 -
〈그림 15〉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마이가
결정할게2〉(2014)
이전까지 베트남 역대 흥행영화 1위는 2013년 베트남 제작사 창풍필름이
제작한 영화 〈떼오엠-Teo Em〉(2013)이었다. 창풍필름은 기존 베트남 스
태프 들로만 영화를 만들던 것에서 벗어나 베트남계 젊은 미국인들로 영화
를 만들기 시작했고43), 영화 〈떼오엠, Teo Em〉(2013) 역시 베트남 출신
미국계 젊은 감독인 찰리 응웬(Charlie Nguyen)을 영입해 베트남 영화제작
에 새로운 붐을 일으켰다.〈그림 16〉
43) 1995년 캘리포니아 웨스트민스터의 Cinema Pictures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수많은 뮤직 비
디오, 광고, 라이브 콘서트, TV 쇼 및 장편 영화를 제작했다.
- 35 -
〈그림 16〉2013년까지 베트남
역대흥행 1위 영화〈떼오엠-Teo
Em〉(2013)
이러한 개방적인 제작 분위기를 이어받아 CJ E&M이 창풍필름과 찰리
응웬을 영입해 만든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는 2014년 기준 흥행영화
1위였던 〈떼오엠, Teo Em〉(2013)을 제치고 베트남 영화 역대 1위를 기록
했다. 이는 또한 한국 제작사가 베트남 현지에 진출해 만든 첫 공동제작영
화로,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 외에 또 다른 방식으로 한국영화산업이 진출한
모델로 꼽을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베트남 현지 제작사와 다수의 극장체인망을 가지고
있는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기업 그리고 한국 투자, 배급, 마케팅기업과의 협
업이다. 이전 까지 베트남 영화제작비는 한화로 2억 원에서 3억 원의 적은
제작비로 만들어 졌다.44) 때문에 기획 및 프리프로덕션 단계가 부족할 수밖
44) 베트남의 영화제작비 자료는 통계자료 및 언론에 공개 되어 있질 않다. 이 수치는 본 연구인이
2006년부터 베트남 현지에서 영화를 제작, 촬영하면서 작성한 기획서를 근거로 작성하였다.
- 36 -
에 없었고 마케팅을 할 수 있는 비용이 책정 되지 않아 영화홍보가 빈약 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CJ E&M은 제작비를 5억 원 정도로 끌어 올리고 투
자 단계에서 부터 마케팅을 염두 해둔 기획을 하기 시작했다. 자국영화를
선호하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까지의 젊은 층들을 타깃으로 해 흥행에
성공한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는 베트남 자국 영화제작 활성화와 더
불어 베트남에서의 한국과 베트남 공동제작영화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를 계기로 2015년 CJ E&M은 창풍필름과 두 번째 베트남 공동제작
영화 〈트리플 트러블〉(2015)을 제작해 개봉하지만, 흥행성적은 그리 좋지
않았다.〈그림 17〉 여기서 그 이유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영화의 완성
도와 마케팅에 힘입어 흥행에 성공한 〈마이가 결정할게 2〉(2014)와는 달
리, 〈트리플 트러블〉(2015)은 영화제작에 있어서 근본인 영화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았다는 진단이다. 〈트리플 트러블〉(2015)은 어느 날 잠에서 깨
어나 보니 그전 날의 기억이 없는 세 여자가 전날의 기억을 찾아 부딪치는
코미디 영화이다.
CJ E&M에 따르면 현지 시나리오를 영화화 하다 보니, 번역에서 오는
내용의 이해차이와 문화, 정서 등에서 오는 차이점이 제작 파트너인 외국제
작사(CJ E&M)가 접근하기 쉽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연출적인 측면에
서 소통이 수월하지 않았다는 점도 들 수 있다. 베트남에는 시나리오를 개
발하고 검증할 수 있는 인력 또한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영화시나리오를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학교가 부족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회사 또한
없는 상태이다.45)
이러한 실패사례를 통해 CJ E&M은 새로운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전문기관이 없는 관계로 세 번째 공동제작 영화는 한국
에서 흥행에 성공한 영화 〈수상한 그녀〉(2014)를 리메이크를 하기로 결정
하고 새로운 현지 제작사를 물색에 나섰다.
45) 베트남은 영화관련 학교가 하노이에 한곳, 호치민에 한곳, 총 두 곳 뿐이다.
- 37 -
〈그림 17〉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트리플 트러블〉(2015)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2015년, CJ E&M은 베트남 현지 제작사 HK fil
m46)과 CJ-HK Entertainment 란 공동제작사를 차리고 자체 제작을 하기 시
작했다. 이를 통한 세 번째 공동제작 영화는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201
4)의 리메이크작인 〈내가 니 할매다〉(2015)로, 기존의 흥행된 한국영화를
베트남 화한 첫 사례라 볼 수 있다.〈그림 18〉
46) HK film은 2005년 호치민에 카메라, 조명장비 렌탈 회사로 시작해 광고와 뮤직비디오를 제작
했으며 CJ E&M과의 만남으로 영화제작을 시작했다.
- 38 -
〈그림 18〉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2014)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내가 니 할매다〉(2015)
이 영화로 CJ E&M은 한국식 마케팅을 시도했고 한국적 감성을 베트남
의 감성으로 재창출해 한국식 로맨틱 코미디의 붐을 일으켰다. 이작품은 한
편으로는 이전까지의 공동제작시스템을 따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본격적으
로 한국영화콘텐츠를 리메이크하는 새로운 제작전략의 시발점으로 볼 수 있
다. 이러한 시도가 가능한 것은 기존의 공동제작시스템과는 차별화된 CJ-H
K Entertainment의 설립을 통해서 이다. 이전까지의 공동제작은 BCC를 통
한 양국 제작사들의 1회성 프로젝트였던데 반해, CJ-HK Entertainment의
설립은 지속적인 프로덕션이 가능 하도록 베트남 현지에 공동제작사를 차린
첫 사례라 볼 수 있다.
이렇게 제작한 〈내가 니 할매다〉(2015)가 성공한 요인으로는 첫째, 이
미 한국에서 흥행으로 검증된 시나리오를 베트남 현지화 하는데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둘째, 이전까지 현지 스텝들로만 이루어진 제작진에서 벗어나 베
- 39 -
트남계 젊은 미국 감독(판씨네,Phan Xine Linh)을 영입해 젊은 감각과 기술
적 완성도를 높이는데 주력했다. 셋째, CGV와 같은 극장체인과 긴밀한 협
력관계인 CJ E&M은 한국식 마케팅의 도입으로 젊은 타깃 층을 공략해 흥
행을 이끌어 냈다.
이처럼 CJ E&M이 베트남에 진출해 첫 공동제작영화를 시작으로 한국영
화 콘텐츠가 베트남에 도입돼 베트남 화하는 시발점으로 평가된다.
3.2.3 한국영화콘텐츠의 리메이크(2015년부터 현재까지)
2015년 이후 베트남에서 공동 제작되는 영화는 한국영화콘텐츠의 리메이
크가 붐이다. 〈내가 니 할매다〉(2015)는 새로운 공동제작시스템의 출발점
이면서도, 이후 많은 한국영화콘텐츠가 베트남에서 리메이크되는 계기이기
도 하다. CJ E&M은 자체 보유하고 있는 시나리오 판권 중에서 한국에서
흥행에 성공한 검증된 시나리오를 베트남 식으로 리메이크해 흥행을 이어가
고 있다.
2017년에는 〈미녀는 괴로워〉(2006)의 베트남판도 현지에 개봉했다.〈그
림 19〉〈미녀는 괴로워〉(2006)는 한국제작사 KM컬쳐스가 베트남 영화제
작사 TNA Entertainment47)에게 판권을 팔아 현지제작사가 〈아름다움을
위해 체중을 감량하다〉(2017)라고 이름을 바꿔 독립적으로 제작한 영화이
다. 이 영화의 흥행성적은 저조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베트남의 더운 날씨로
인해 배우가 오랫동안 분장 상태를 지속할 수 없어서 분장의 완성도가 떨어
졌고 한국 시나리오를 베트남 화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48)
47) TNA Entertainment는 베트남 인기여배우 Truong Ngoc Anh이 2002년 호치민에 설립한 종
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48) 공론화되지는 않았지만 베트남 영화제작 현장에서는 〈아름다움을 위해 체중을 감량하다〉(20
17)의 제작을 둘러싼 비 전문화된 제작진 및 제작방식에 대한 지적을 많이 하고 있다.
- 40 -
〈그림 19〉 한국영화 〈미녀는 괴로워〉(2006)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아름다움을 위해 체중을 감량하다〉(2017)
이 후, 2018년 현재 극장가에 상영 중인 리메이크 작품만 세 편에 달한
다. 특히 한국영화 〈써니〉(2011)의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고고 시스터
즈〉(2018)는 3월초 개봉, 한 달 만에 베트남 로컬 영화 역대 흥행 5위에 올
랐다.〈그림 20〉 〈고고 시스터즈〉(2018)는 〈써니〉(2011)의 국내 투자배
급사 CJ E&M의 베트남 현지 공동제작사인 CJ-HK Entertainment 가 만든
영화이기도 하다. 원작의 노하우를 살리되 철저히 현지화 하는 것이 초점이
었던 만큼, 〈써니〉(2011)가 주인공이 여고생이던 80년대와 중년이 된 현재
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삼았다면, 〈고고 시스터즈〉(2018)는 베트남 전쟁
이 끝나고 남-북 베트남이 통일되기 직전인 1974년과 미국 빌 클린턴 대통
령이 베트남을 방문한 2000년이 배경이다. 음악은 1970년대 베트남 히트곡
을 현대적으로 편곡했다.49)
49) 2018년 3월 베트남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고고 시스터즈〉(2018)의 박스오피스 1위를
두고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이 성공 요인”이라고 강조한 발언은 현지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 41 -
〈그림 20〉 한국영화 〈써니〉(2011)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고고
시스터즈〉(2018)
이와 더불어 〈과속스캔들〉(2008)의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스캔들 메
이커〉(2018)〈그림 21〉과 〈엽기적인 그녀〉(2001)의 베트남 리메이크 영
화 〈마이 쌔시 걸〉(2018)〈그림 22〉도 각각 2018년 3월, 4월에 개봉했다.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2001)는 2001년 12월 5일 하노이에서 개봉하여
당시 한류와 더불어 높은 인기를 끌은 바 있고, 〈과속스캔들〉(2008)은 베
트남 롯데시네마에 의해 2009년 10월 ‘Korea Film Festival’에서 처음 선 보
여 인기를 끌었다.50)
50) 강기명, 『극장은 콘텐츠로 말한다: 극장 콘텐츠 기획의 모든 것』, 서울 : 좋은땅, 2016, p.98.
- 42 -
〈그림 21〉 한국영화 〈과속스캔들〉(2008)과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스캔들 메이커〉(2018)
〈그림 22〉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2001)와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마이 쌔시 걸〉(2018)
- 43 -
최근에는 송지나 작가의 〈모래시계〉(1995)를 한국·베트남 합작영화로
제작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주지하다시피 국내에서 1995년 방영 당시 시청
률 60%에 육박했던 드라마이다. 〈조폭마누라 2〉(2003), 〈네버 엔딩 스토
리〉(2012)등의 한국영화도 베트남 현지화가 진행 중이다.
요컨대, 2015년 이후로 현재까지의 베트남 영화 콘텐츠는 한국 영화 콘
텐츠를 베트남 식으로 바꾼 리메이크 영화로 변하고 있다. 한류의 영향을
받아 한국식 로맨틱 코미디가 흥행한 이후로, 한국영화는 2000년대 초반부
터 2014년까지 한국영화의 수입,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공동제작, 그리고 2
015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영화의 리메이크와 같은 변화과정을 보여준다. 이
러한 추세는 한편으로는 베트남 영화의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걸 반증하며
아울러, 리메이크 영화도 곧 한계에 부딪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영화시장은 한국영화콘텐츠의 도입으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가져
왔다. 하지만 여기에 따른 문제점도 같이 나타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베트
남 영화산업의 새로운 변화들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의
한국영화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기로 한다.
- 44 -
4. 베트남 영화산업의 새로운 변화와 대응
지금까지 다룬 내용은 베트남 영화산업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된
상황이었다. 이를 토대로 제4장에서는 현재 새롭게 등장하는 베트남 현지의
풍경과, 이를 통해 가까운 시일 내에 일어날 변화의 방향, 그리고 그 변화에
대한 한국영화산업의 대응책을 다루고자 한다.
4.1 베트남 영화산업의 새로운 변화들
4.1.1 멀티플렉스가 제공하는 새로운 영화소비 현상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에서는 극장의 국영화에서 민영화를 거치
면서 외국 자본들이 유입되면서 멀티플렉스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는 베트
남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여가 활동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CGV 및
롯데시네마 같은 한국의 영화상영 서비스기업들은 한국형 멀티플렉스를 선
보임에 따라 10대에서 20대의 젊은 관객들을 유치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영
화관람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51)
일반적으로 베트남인들은 덥고 습한 동남아의 기후로 인해 야외 여가 활
동보다는 실내 여가공간을 더 선호한다. 이에 따라 노래방, 당구장, 카페, 영
화관 등이 활성화 되어 있다. 특히, 가족단위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
로는 영화관을 선호하였다. 때문에 코미디(로맨틱 코미디와는 다른 정통 슬
랩스틱 코미디/스크루볼 코미디)와 액션위주의 영화들을 주로 상영을 했고,
도이머이 이전 세대들의 높은 문맹률로 인해 자막이 익숙하지 않아 모든 영
화를 한국의 예전 변사 같은 인물이 더빙을 하여 들려주었다. 이는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기엔 한계가 있었고 영화콘텐츠 또한 코미디물과 액션물에 맞
춰져서 영화가 제작 되었다.
51) 응왠티한융, op.cit., p.75.
- 45 -
이러한 기존의 영화관람 문화와는 달리, 극장의 민영화를 거치면서 외국
자본이 유입되고 멀티플렉스가 증가함에 따라, 베트남의 젊은 세대들은 멀
티플렉스를 그 전과는 차별화 된 여가활동 공간으로 받아들이는 추세이다.
그 이유로는 영화관이 대형 쇼핑몰 안에 자리 잡음으로써 쇼핑 및 게임과
같은 놀이 공간, 다수의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이 존재하면서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멀티플렉스는 학교를 졸업하기 시작하는
10대 후반과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초반들에게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
리 잡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베트남 현지의 마케팅 분석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Q&
Me Market Research가 2014년 11월17일부터 11월21일까지 대도시에 거주
하는 18세 이상의 베트남인 500명을 상대로 영화관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52)
① 영화관을 많이 찾는 연령대는 20대 층 이었음.
② 최신 영화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10대와 20대 층의 경우 친구, 웹
사이트, 페이스북을 선호 했으며 30대의 경우 미디어 등의 영화 정
보란을 선호함.
③ 10대 연령층의 경우 롯데시네마를, 20대의 연령층의 경우 CGV
를, 30대 연령층의 경우 갤럭시 시네마를 선호했음.
④ 전체 관객 중 첫 번째 선호한 국가의 영화는 미국영화, 두 번째
선호 국가는 한국영화 순으로 나타났음.
⑤ 70% 이상이 연인과 로맨틱 코미디영화를 보는 것을 선호함.
⑥ 로맨틱 코미디 영화중 한국영화 선호율이 50%이상임.
이처럼 베트남인들에게 멀티플렉스는 단순한 영화상영 공간을 넘어서 새
롭게 부상한 젊은 세대 관객의 여가 생활을 바꾸는 문화 공간으로 다가간
다. 이에 따라 영화산업도 활성화 되어, 영화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계기
가 되었고, 대기업들 또한 젊은 층들을 타깃으로 한 전문적인 마케팅을 도
52) Kotra 이동현, op.cit.
- 46 -
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멀티플렉스의 도입은 영화의 산업적 규모 확대와 전문성 확보라
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CJ, 롯데 등 대기업의 수직 구조에 의해
멀티플렉스 상영관들이 시장을 독과점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나고 있다
는 지적이다.53)
4.1.2 베트남 영화콘텐츠의 트렌드
멀티플렉스와 같은 영화상영 공간의 변화는 그곳에서 소비되는 영화콘텐
츠에도 변화를 야기한다. 영화콘텐츠의 발전은 사회 문화적 변화와 함께한
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극장이 민영화되기 이전이었던 국영체제 시절엔
가족단위로 영화를 즐기던 공간이었기 때문에, 베트남의 영화콘텐츠는 코미
디와 액션위주의 영화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극장이 민영화 되고 멀티플렉스가 증가함에 따라 메인 관객층이 젊은 층으
로 바뀌기 시작하면서 선호하는 영화콘텐츠도 이들의 취향을 따르고 있다.
현재 제작되는 베트남 영화의 메인 타깃 층은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
다. 그중 20대 초반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
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령층이 로맨틱 코미디 장르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배경에는
한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베트남사회의 결혼 적령기가 놓여 있다. 베트남의
법적 혼인 가능 연령은 남성 만 20세, 여성 만 18세이며 최근 평균 혼인 연
령은 남성 만 26.8세, 여성 만 22.9세이다.54)〈표 6〉 이들은 베트남 전체 인
구에서 다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
하면서 여가활동이나 데이트장소로 멀티플렉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앞선 설
문조사에서 드러난다. 이들이 선호하는 영화장르로 로맨틱코미디 장르를 선
53) 이충직, 「한국영화산업과 멀티플렉스의 역할」, 『영상예술연구』, 제20권, 영상예술학회, 200
9, p.232.
54) Kotra 윤보나, 「베트남 웨딩 서비스시장, 키워드는 '파티'」, 2017, http://news.kotra.or.kr/us
er/globalBbs/kotranews/7/globalBbsDataView.do?setIdx=245&dataIdx=160337 (2018. 11).
- 47 -
호하게 된 이유에는 한류가 영향을 미쳤고, 이는 젊은 관객들에게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제시하면서 현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표 6〉 2014년 베트남의 연령별 미혼 및 기혼 인구 비중(%)
로맨틱 코미디 콘텐츠는 이제까지 한국영화의 직수입 또는 리메이크를
통하여 충족되었다. 하지만 2017년 이 후에는 이러한 추세에서 벗어나, 로맨
틱 코미디 장르를 따르면서도 10대에서 20대 관객층을 겨냥한 베트남의 오
리지널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가 등장하기 시작 했다. 사례로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을 꼽을 수 있다. 레탄손(Le Th
anh Son)감독이 연출한 이 작품은 개봉 16일 만에 200만 관객이 관람해 66
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해, 2013년 역대 흥행영화 1위〈떼오엠, Teo Em〉(2
013)과 2014년 역대 흥행영화 1위 〈마이가 결정할게 2〉(2014)의 기록을 넘
어서서, 2017년까지 베트남 영화 역대 흥행순위 1위를 기록하였다.〈그림 2
2〉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는 17세 고등학생인 여자 주
인공이 자신의 친구와 바람난 전 남자친구에게 복수하기 위해 37살 남자와
계약연애를 하면서 일어나는 로맨틱 코미디물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할 점
은 첫째, 이전까지 미성년자가 핵심인물로 등장하는 성인영화를 허용하지
- 48 -
않았던 베트남 검열과정에서 이례적으로 허가를 받았다는 것이다.(베트남은
현재 영화 시나리오의 사전검열을 시행하고 있다.) 둘째, 이미 CJ E&M과의
공동제작영화 〈마이가 결정할게 2〉(2014)를 만들었던 찰리 응웬(Charlie N
guyen)감독이 제작을 맡아 지휘하면서 젊고 신선한 감성을 보여줬다는 점이
다. 세 번째로는, 무엇보다도 한국-베트남 공동제작과 한국영화의 리메이크
붐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외국 자본을 받지 않고 순수 베트남 자본과 베
트남 콘텐츠로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그림 23〉 베트남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
요컨대,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의 성공은 베트남 영
화콘텐츠가 국가의 제재(사전검열, 소재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좀 더 다양한
소재로의 접근이 가능해 졌으며, 한국 영화콘텐츠와는 달리 베트남의 오리
- 49 -
지널 콘텐츠만으로도 흥행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킨다. 물론, 자극
적인 소재와 현실적이지 않은 내용으로 여전히 베트남 콘텐츠의 한계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긴 하지만, 순수한 자국 영화라는 점에서 의미를 들 수 있
다.
영화콘텐츠로서의 로맨틱 코미디 장르는 현재 베트남 현지 영화의 70%
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쏟아져 나와서
장르의 포화상태에 다다르고 있다. 이제까지는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리메이크로 대응하였으나, 한국 영화콘텐츠는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수가
부족하므로, 리메이크 영화의 소재도 곧 한계에 부딪칠 전망이다. 이러한 한
계는 베트남 영화의 오리지널 콘텐츠 부족에 따른 실정이기에, 궁극적인 타
개책은 베트남 현지의 자체 콘텐츠개발 및 창작 역량강화이다. 그러나 현실
적으로 이러한 콘텐츠 관련 역량의 강화는 단 기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의 한 영역으로서 협력해야 할 부분이다.
4.1.3 베트남 영화제작방식의 현대화
새로운 영화상영 서비스 시스템 도입과 새로운 영화콘텐츠의 트렌드는
베트남의 영화제작 시스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외국자본이 유입되기 전까
지의 베트남 영화제작시스템은 적은 제작비로 인해 감독중심의 소규모 시스
템이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감독이 시나리오에서 부터 투자, 기획, 캐스팅,
제작, 후반까지 모든 걸 다 관리하였다. 과거 한국에서도 그랬듯이 적은 제
작비 때문에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제작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이러한 감독중심 시스템의 장점은 첫째, 시나리오의 본래 의도인 작가주
의적인 연출이 가능하다. 둘째, 기획부터 제작, 후반작업까지 일관성 있는
작업이 가능하다. 셋째, 모든 제작 스텝, 배우들과 감독간의 소통이 수월하
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영화를 객관적으로 보는 시각 즉,
투자자 입장을 비롯한 제3자적 시각이 부족하고, 제작의 효율성, 제작시간의
- 50 -
분배, 제작 현장에서의 대체 능력 등의 부재를 꼽을 수 있다.
이 후 외국자본이 유입되면서 베트남의 영화제작시스템은 할리우드 제작
방식에서 비롯된 프로듀서 중심의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이는 거대 자본으
로 만들어 지는 상업영화에서 주로 채택하는 방식으로, 프로듀서가 투자, 기
획부터 상영, 수익분배까지 모든 걸 맡아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말하는 프
로듀서란 할리우드식의 제작자(Executive Producer)를 칭한다. 이러한 시스
템은 영화제작의 전반을 관리하기 수월한 장점이 있다. 제작자 밑으로 여러
명의 실무 프로듀서(기획프로듀서, 제작프로듀서, 라인프로듀서 등)를 두는
구조에서, 감독은 연출과 배우들의 관리만 책임지고, 투자와 스텝구성, 제작
관리는 프로듀서가 맡아 책임진다.
CJ E&M은 첫 공동제작영화 〈마이가 결정할게 2〉(2014)와 두 번째 공
동제작영화 〈트리플 트러블〉(2015)을 베트남 현지 감독 중심의 시스템으
로 제작을 했다. 이 두 영화는 위에서 말한 감독 중심 시스템의 장점으로
현지 여건에 맞게 제작을 했지만, 단점으로 관리체계 부실과 제작비 정산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CJ E&M은 세 번째 공동제작영화는 프로듀
서 중심의 시스템을 채택하게 되고, 투자에서부터 상영까지 전체를 관여하
였다. 감독 중심의 시스템에서 프로듀서 중심의 시스템으로 전환한 사례인
2017년 제작된 한국-베트남 25주년 기념 공동 제작 영화 〈아빠의 강〉은
한국 측 정민우 총 감독(프로듀서)과 안세진 연출 감독, 베트남 측 리하이
연출 감독의 공동 감독 시스템으로 제작 했다. 제작 스태프의 경우는 현지
사정을 잘 아는 제작진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는 제작진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제작 시스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베트남
현지 제작현장은 한국 영화제작 시스템을 충분히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실정
이다. 이는 베트남에는 영화제작에 관한 교육을 하는 학교나 기관은 현재
두 곳으로 스태프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기에는 양적으로 부족한 실정이
고, 급격하게 변하는 영화시장에 고용계약, 촬영허가 등 공공영역에서의 제
도적 뒷받침이 미흡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 51 -
4.2 베트남 영화산업에서 한국영화의 새로운 전략
이상에서의 논의와 같이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는 반면, 풀어야 할 과제들도 새롭게 등장하
고 있다는 점을 본 연구로 알게 되었다. 특히, 베트남의 영화산업은 여전히
발전 가능성이 높고, 동남 아시아권에서 가장 역동적인 시장이기에 이러한
변화에 따른 성공 전략이 요구된다.
4.2.1 베트남에서의 영화콘텐츠 공략
앞의 〈내가 니할매다〉와 〈고고 시스터즈〉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 문화와 비슷한 정서를 가지고 있는 베트남인들에게 한국 영화콘텐츠는
많은 공감대를 불러 올수 있었고, 이에 따라 한국식 로맨틱 코미디는 베트
남 인들에게 라이프 스타일을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베트남 관
객들은 한류를 계기로 한국의 영화 콘텐츠에 대한 기대 심리가 높은 편이
다. 관객들의 눈높이 또한 한국 드라마 등으로 인해 상당히 높아진 편이다.
이로 인하여 베트남의 영화콘텐츠는 현재 베트남 식 로맨틱 코미디와 한
국영화를 리메이크한 로맨틱 코미디가 주를 이루고 있다. 우선 베트남 현지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영화제작과 극장이 국영화 시절
에는 사회주의 체제와 억눌린 사회분위기 속에 코미디와 액션물이 주를 이
루었고, 민영화 이후 젊은 층의 주도로 로맨틱 코미디가 주를 이루었다. 이
는 베트남인들의 문화생활과 정서를 반영한다.55) 여기에는 현재 베트남인들
의 결혼적령기가 낮은 이유도 연관이 있다. 베트남 관객들의 주를 이루는
연령대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중반으로 이들의 여가 공간, 데이트공간이 영
화관을 선호 하는 이유이다.
55) 일반적으로 영화비평계에서는 코미디와 로맨틱 장르를 경제나 사회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나타
나는 대중영화장르로 다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에 대해서는 보다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52 -
그러나 비슷한 내용의 로맨틱 코미디가 반복됨으로써 새로운 소재 개발
을 통해 관객의 기대치에 맞출 필요가 커지고 있다. 응웬 프엉 타오에 따르
면 이는 베트남 인들의 경제 수준이 올라가면 선호하는 영화 장르도 바뀌게
될 전망으로 이어진다.56)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경우를 보면, 코미디영
화에서 로맨틱 코미디, 블랙코미디, 멜로드라마를 거쳐 갱스터, 스릴러 장르
로 관객들의 성향이 바뀌게 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최근 베트남 영화
〈Em chua 18(나는 18세가 아니다.)〉(2017)이 미성년자를 소재로 삼았음에
도 불구하고 사전검열에서 허용됨에 따라, 앞으로는 베트남 영화 콘텐츠도
베트남 사회와 경제의 변화를 반영한 다양한 영화들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된다. 따라서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로맨틱 코미디를 기본 틀로 하되, 현재
베트남의 사회 분위기와 문화 정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쪽으로 제작, 기
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새로운 관객층의 등장57)은 한국 영화의 리메이크에도 능동적인 대
응전략을 요구한다. 한국 영화콘텐츠는 한국의 많은 변화를 거치면서 시대
를 반영해왔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베트남에서 성공한 한국 영화콘텐츠
의 최근 추세는 〈내가 니할매다〉, 〈고고 시스터즈〉 등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스토리텔링이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외국 영화를 리메이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이 시나리오의 현지화라는 점을 고려하면, 베트남
은 한국과 문화적 정서가 비슷하기 때문에 한국영화콘텐츠를 베트남 화 했
을 때 공감대 형성을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다.58)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 제
56) 응웬 프엉 타오, op.cit., p.94.
57) 도이머이 이후 지금의 베트남 젊은 세대들의 행복지수는 아시아 1위이다. (영국을 기반으로 활
동하는 신경제단체 해피 플래닛 지수 (“The Happy Planet Index) (HPI)"에서 발표한 2016년
세계행복지수. HIP는 세계 140여 개국을 대상으로 복지수준, 기대수명, 소득분배, 생태 발자국
지수 등을 토대로 집계되었다. 베트남은 40.3포인트로 40.6~37.7포인트까지 분포되는 2번째 대
역에 머물렀지만, 1위 코스타리카, 2위 멕시코, 3위 콜롬비아, 4위 바누아투를 이어 베트남은 5
위를 기록했고 아시아에서 1위로 가장 행복한 국가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와 미래에 대한 걱정이 없다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러한 젊은 세대들에게 과거 모
습을 현재의 감수성으로 바라보는 방식의 현대화된 시대극은 새로운 노스텔지어를 통해 자국 영
화의 애착을 가져다 줄 수 있다.
58) 주만, 『한중공동제작영화의 중국시장 진출 현황 및 전망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
경영학과 문화콘텐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p.100.
- 53 -
작되고 있는 영화콘텐츠는 로맨틱 코미디물이 상대적으로 적고 스릴러, 액
션물 등이 주를 이루고 있음으로, 조만간 한국 영화콘텐츠를 리메이크 하는
데 있어서 소재가 제한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한국 영화의 콘텐츠를 그대로 리메이크하는 것에서 벗어나, 적극
적으로 베트남 사회분위기와 정서를 반영한 각색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시
나리오 개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콘텐츠 개발회사와 교육기관이 없는
관계로 당분간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까지는 시간이 걸릴 듯하다. 그
래서 콘텐츠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현지 제작사와의 협업과 현지의
역량 있는 시나리오(작가 등)를 찾는 게 급선무이다.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롯데시네마에서는 2011년부터 현지 영화제작 워크숍과 시나리오 공모 등 현
지 영화제작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59).
이처럼 시간을 가지고 현지 제작 여건에 적응하고 현지 역량 있는 인재
를 발굴해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보다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시스템 구축
이 필요하다. 이는 일회적, 파편적, 단기적 프로젝트에서 벗어나 공동영화제
작 시스템 안에서 양국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장기적, 안정적으로 진행
해야 할 과제이다.
4.2.2 베트남에서의 영화제작방식의 절충화
현지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인력의 발굴 및 육성은 영화제작시스템 전체
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로부터 베트남에서의 절충화한 영화제작방식이 고
려되어야 한다.
베트남 영화의 제작비는 2006년 기준으로 2억 원에서 3억 원사이로 제작
되었다.60) 때문에 시나리오 개발부터 리서치, 제작 홍보가 이루어 질수가 없
을 뿐만 아니라, 적은 제작비로 단기간 안에 제작을 끝내야 하는 제약으로
59) 배은나, 「베트남 대학생들에 영화제작·시나리오 교육」, 『중앙일보』, 2018년 4월18일.
60) 2013년 말에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베트남 현지 영화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베트남영화의 순제작비는 30~70만 달러(한화 3억 4,350만원~8억 150만원) 수준이었다.
윤하, op.cit., p.57.에서 재인용.
- 54 -
인해 완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외국 자본이 본격적
으로 유입되면서 제작비가 평균 5억 원 이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손익 분기를 맞출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영화들이 요구 되었는데, 베트
남에는 수준 높은 기술력이 있는 전문 스태프 들이 부족한 문제를 낳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CJ E&M은 젊은 베트남계 미국감독들을 영입한 전
략을 진행했다. 전문 인력의 외부영입을 통해 흥행에 성공하긴 했지만, 이는
제작비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의 경우는 오랜 영화제작 경험과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 그래픽기술 등이 높은 스태프 들이 포진 돼 있어 협력
관계의 파트너 십으로는 충분한 가치를 갖는다. 때문에 베트남과의 공동제
작이나 한국영화콘텐츠를 베트남에서 제작을 하려면 한국의 전문 제작스태
프를 영입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61) 다만 이렇게 하려면 프로
듀서가 양국의 문화와 영화제작 시스템을 충분히 이해하는 사전준비가 필요
하다.
제작시스템의 측면으로 봤을 때는, 감독중심의 제작방식에서 프로듀서 중
심의 영화제작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영화제작을 처음 투자부터 기
획, 제작, 상영, 마케팅까지 프로듀서(제작자)가 효율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
는 시스템이긴 하지만, 대기업의 수직구조의 산업(독과점과 같은)으로 이어
질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실정이다.62) 이러한 문제는 현지 파
트너와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하는 외국 기업이 당면한 특수성일수도 있지
만, 현지 영화제작에 있어서 제도적인 부분이나 방안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
하는 부분이다.
이는 제도적 측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베트남에서 영화제작을 위
한 회사를 설립하려면 현지 회사와의 합작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때의 지
61) 이는 마찬가지로 제작비 상승의 요인이다. 장기적으로는 공동제작영화 시스템에서 베트남 현지
스태프의 전문성을 높이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4.2.3에서 자세히 논의 할 것
이다.
62) 현리나, 『영화산업의 제휴파트너 선정에 관한 사례연구 : 한중 공동제작 영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국제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014, p.63.
- 55 -
분은 외국기업은 49%까지 밖에 투자할 수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부분의
외국사업자들은 법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영협력계약(BCC)을 통한 진출을
추진해왔다. 경영협력계약은 외국의 지분이 51%까지 확보를 할 수는 있지
만, 경영협력계약을 맺더라도 여러 비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으로는
외국투자자의 경영권 행사(수익의 송금, 자산매각 등)가 어렵다는 것이 일반
적 평가이다.63) 때문에 베트남 영화 산업의 외국인 투자가 녹록치 않은 것
이 현재 현장의 목소리이다. 이를 위한 타개책으로 모색한 결과물이 CJ E&
M의 현지 공동제작사인 CJ-HK Entertainment 이다.64)
지금의 모델은 공동제작시스템을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대기업이 소
규모의 영화사를 합병한 수직적 지배구조를 취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한국-
베트남 간의 공동제작사는 동등한 파트너십을 통한 수평적 협력구조로 나아
가야 할 것이다.65) 이 과제는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사가 베트남 영화산업에
서 어떻게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영화제작을 진행할 것인지에 관한 구
체적 전략방안 속에서 다루어 질 것이다.
4.2.3 베트남에서의 공동제작영화 전략방안
현재 베트남에서 공동제작으로 성공한 회사는 CJ E&M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CJ E&M은 대기업의 수직구조 제작방식으로 영화산업
관련 계열사가 포진되어 있는 관계로 CJ E&M을 모델로 삼아서 공동제작
전략을 수립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러한 대기업의 수직구조에 따른 공
동제작 접근은 이미 한국영화의 중국영화산업 진출 사례에서 비판적으로 연
구 된 바 있다. 예컨대 한중 공동제작 연구에서 영화산업의 제휴파트너 선
정에 대해 사례 연구를 한 현리나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63) 한국콘텐츠진흥원(2017), op.cit., p.68.
64) 이러한 시도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하나의 성공 모델로 꼽기에는 무리가 따르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그 추이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65) 황길남, 『영상콘텐츠 국제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정책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
대학원 첨단영상학과 영상예술학-영상정책 및 기획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p.72.
- 56 -
“영화 산업은 일반 제조업과 달리 특정 하나의 회사와 제휴를 맺는 것이 아니라
영화 가치사슬의 각 단계별 주체 (투자사, 제작사, 배급사, 상영관)와 제휴 관계를
형성한다. 물론 CJ 엔터테인먼트처럼 제작부터 상영까지 수직적 통합이 이루어진
회사는 이 경우에 속하지 않지만 중국은 제작사, 배급사, 원선 회사, 상영관이 분리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가치사슬 단계별로 각 회사와의 제휴가 필수적이다.”66)
현리나의 주장은 한국-중국 공동제작영화 사례에 초점을 두지만, 이는
베트남을 포함한 여타 국가 간 공동제작 전략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유효성이 있다. 여기에는 문화콘텐츠의 현지화 전략이 중요한 키워드를 제
공한다.67) 본 논문은 기존에 이루어진 공동제작영화 사례와 문화콘텐츠 현
지화 전략을 결부하여,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영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도출
하고자 한다.68)
한국-베트남간의 수평적, 상호 협력적 공동제작의 방안은 영화제작의 전
반적인 과정을 포괄하면서도, 각 제작 영역을 영화콘텐츠의 선택, 현지 파트
너의 선택, 스태프 구성에 따른 제작비 산정, 파트너 간의 역할 분담, 수익
정산 및 분배에 있어서 알아야 할 점 등의 세부 단계별 구체적 전략을 취할
것이다.
1) 영화콘텐츠의 선택
영화 공동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영화콘텐츠의 선택이다.
여기에는 베트남 현지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할 것인지, 한국에서는 영
화화 되지 않은 기존의 콘텐츠를 현지화 할 것인지, 아니면 한국영화를 리
메이크를 할 것인지 등 세 가지의 선택 방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66) 현리나, op.cit., p.63.
67) 현지화란 세계화 추세 속에서 해외 시장을 개척하려는 기업들에게 아주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
로, 기업들이 현지의 언어, 관습, 종교 등 문화적 가치를 고려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유통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제 분야 중 영화, 드라마, 음악 등 문화적 특성이 강한 분야
에서 현지화가 더 중요하다.
68) 박경화, 문현주, 「한중 공동제작영화의 현지화 전략 연구-영화 <20세여 다시 한 번>을 사례
로-」,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2016], 한중인문학회, 2016. p.187.
- 57 -
첫 번째, 베트남 오리지널 콘텐츠의 공동제작은 현지 노하우를 잘 아는
프로듀서나 제작자가 동반 되어야 한다. 이는 앞서 얘기 한바와 같이 전문
시나리오 작가의 글인지 꼼꼼히 살펴 볼 필요가 있고 특히, 번역과정은 영
화관련 종사자에 의해 번역이 되었는지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
다. 베트남에는 시나리오 관련 교육기관과 회사가 없기 때문에 소재가 마음
에 들더라도 프로듀서, 제작자 등 전문가를 통한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한국에서 영화화 되지 않은 기존의 콘텐츠(시나리오를 비롯하여 소설,
웹툰 등)를 현지화 하는 경우도 한국의 시나리오 작가가 베트남 현지에 체
류하거나 혹은 현지 시나리오 작가를 통해 베트남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고
반영할 필요가 있다.69) 세 번째, 한국영화를 리메이크 하는 경우에도 각색이
필요한 건 마찬가지지만, 그보다 우선 소재가 베트남 정서와 맞는지를 검증
할 필요가 있다.70) 이를 위해 먼저 한국영화 시사를 통한 의견을 들어 보고,
전반적인 콘셉트, 각색방향 등을 정해야 한다.
이상의 선택의 과정에서 현지 제작사와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영
화콘텐츠를 선정하고 기획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콘텐츠
소스로 부터 출발하여 현지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한국-베트
남 간의 공동콘텐츠 개발로 나아가야 한다.
2) 현지 파트너의 선택
그다음 단계로는 현지 파트너의 선택이다. CJ E&M과 같이 수직구조의
공동제작 구조가 아닌 이상 현지 파트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양자간의
이해관계에 의해 공동제작이 이루어지는 만큼, 상호간 부족한 부분이나 간
과하는 지점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이 부분에서 영화가 현지 개봉만을 목표로 할 것인지, 양국 동시 개봉을
목표로 할 것인지가 중요하다.71)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현지에서 개봉되는
69) 임도연, 김진영, 「베트남의 드라마 한류 재활성화를 위한 현지화 방안」, 『글로벌문화콘탠츠
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p.165.
70) 현리나, op.cit., p.56.
- 58 -
공동제작영화만을 다루기로 하였음에, 해외 판권과 동시 개봉에 대한 얘기
는 제외한다. 무엇보다 현지 공동제작의 경우에는 파트너 제작사의 제작 역
량과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예컨대 현지 제작사의 포트폴리오를 살펴 볼
필요가 있고, 배급, 마케팅능력이 있는지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다.72)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파트너사가 영화제작 및 투자, 배급, 상영 등의 라이센
스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항목들은 민간 부문에 한정 되
는 것이 아니라 공적영역의 뒷받침이 필요하다.73) 이를 위해서는 양자 간의
파트너십을 보장 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투명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
다.74)
3) 스태프 구성에 따른 제작비 산정
세 번째 단계로는 제작비의 산정이다. 앞서 얘기 한 바와 같이 베트남의
영화제작비는 현재 평균 5억 원의 순제작비와, 여기에 마케팅 비용을 더 한
6억 원에서 8억 원 사이의 총제작비 규모이다. 제작비는 공동제작에 있어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영화제작 스태프의 구성에
서 기인한다.
근래 들어 주요한 베트남 영화제작에서 메인스태프 들은 대부분 외국인
스태프 들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메인 외국인 스태프 들의 인건비는
베트남 스태프 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촬영감독만 외국인 스
태프로 고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한국 공동제작자 측 입장에서 보면, 베
트남을 포함하여 해외에서의 공동제작에서 대부분의 메인 스태프들을 한국
인으로 구성하려는 경향이 크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제작비가 올라
가는 요인이다. 이는 베트남의 평균 제작비가 한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71) 현리나, op.cit., p.65.
72) 고로, 『한중 공동제작 영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
상예술학-영화이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p.57.
73) 가령 지적재산권, 영화관련 산업에 대한 세재감면혜택, 제작지원에 관련한 전문기관의 정책, 업
계 표준계약서 실행 등과 관련하여 양국 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74) 황길남, op.cit., p.108.
- 59 -
점과도 상충한다. 그래서 한국 측에서는 제작비를 올리고 싶어 하지만, 베트
남 공동제작자 측에서는 제작비를 올리면 손익 분기점도 올라가는 탓에 한
국 스태프를 줄여야 하는 요구가 발생한다.
이러한 스태프 구성과 제작비를 둘러싼 이해관계의 충돌에 관련하여, 베
트남에 진출하려는 한국제작사는 다음과 같은 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베트남 영화는 제작비가 적은 관계로 촬영 회차도 한국에 비해 상당히 짧은
편이다. 이로 인하여 한국에서 단일 영화로 베트남에서 공동제작을 하는 것
은 상당한 압박요인이 된다. 따라서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 할 목표로 한
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베트남 현지에 공동제작사를 설립하여 현지 파트너
와 공동제작형식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태프 인건비 부분의 방안을 찾아보면, 현지 제작비로 충분한 규모
의 한국 스태프를 고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기술력의 이유로 한국 스태프를 고용해야만 하는 경우라면, 한국 공동
제작사 측에서 모자란 인건비 부분을 수익의 일부에서 나누는 러닝개런티의
형태로 추진하고, 그만큼의 부분을 베트남 제작사측에서 다른 필요한 부분
으로 요구해 합의 하는 방안이 있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 측에 요구하는 부
분으로는 베트남 현지의 PPL, 협찬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스태프 구성에 따른 제작비 산정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공동제
작 시스템을 이해하는 프로듀서의 역량이 요구된다.75) 제작자의 역할 이외
에도, 감독도 공동연출 시스템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지 대사 처
리와 같은 연기 연출을 위해서는 현지 사정을 잘 아는 베트남 감독이 연출
을 맡고, 영상 및 편집을 포함한 전반적인 작품의 완성도를 관장할 수 있는
한국 감독이 공동 감독으로 참여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다.76)
75) 정재승, 『한중합작영화 <마음이2(싱싱리시엔지)>의 국제공동제작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
학원 영화영상학과 영화기획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p.32.
76) 이러한 공동연출 방식으로 제작한 사례로는 2017년 한국-베트남 25주년 기념 공동 제작 영화
〈아빠의 강〉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한국 측 정민우 총 감독(프로듀서)과 안세진 연출 감독,
베트남 측 리하이 연출 감독의 공동 감독 시스템으로 제작 했다.
- 60 -
4) 양 측의 역할 분담
네 번째 단계로 영화의 제작비가 산정되면 한국 공동제작자와 베트남 공
동제작자의 역할을 명확히 정해야 한다. 이는 일의 균형화, 업무 분담, 제작
의 효율성을 위해서 필요하다.
현지 제작자가 해야 할 역할을 세부적으로 보자면, 시나리오 현지화에 필
요한 자료조사, 로케이션, 배우 캐스팅, PPL 업체, 협찬사, 장비 업체 선정
등이 있다. 이는 베트남 현지 사정을 잘 아는 베트남 공동제작자 측에서 진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77) 한편 한국 공동제작자의 역할로는 콘텐츠의 선정,
연출자 및 프로듀서 등 메인스태프 선정, 홍보 마케팅 업체 선정 등의 역할
이 있다. 이 역할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는 콘텐츠의 선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콘텐츠가 한국 시나리오 혹은 한국영화의 리메이크 작품
이더라도 최종 각색 단계는 현지 제작사측과 협의 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
는 시나리오를 현지화 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시나리오 작업을 제외한 전반적인 스태프 운영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메인 스태프를 한국인을 고용하더라도 나머지 스태프 들과 배우들은 현지인
으로 구성해야 한다. 후반작업 또한 베트남 현지에서 작업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CG, DI 등은 한국에 의뢰 할 수 있고, 비용이 문제
가 된다면 태국에서 진행 할 수도 있다.78)
홍보 마케팅 부분은 베트남 현지에 진출해있는 한국 업체에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업체들은 이미 베트남에서 성공한 사례가 있고, 현지 특
성을 잘 아는 한국식 마케팅으로 최근 로컬 영화를 크게 흥행시켰다. 단 현
재 베트남 내에 영화 홍보마케팅 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P&A79) 비용은 현
77) 정재승, op.cit., p.51.
78) 태국을 선정한 이유는 베트남의 기술수준보다 높으면서도 한국과 비교하여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79) P&A란 Print and Advertisement 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홍보, 마케팅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인
다.
- 61 -
지 공동제작사와 협의해야 한다.
5) 수익 정산 및 분배
마지막 단계로 수익정산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베트남에서의 공동
제작방식은 BCC의 방식으로 공동제작하게 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
은 수익분배 및 정산이다.80)
베트남의 수익정산 방식은 국내와 같은 총제작비 배분 방식이 아니라, 순
제작비 배분 방식임을 유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P&A 비용을 많이 투입하여
대대적인 홍보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 손익분기점을 돌파한 이후에는 수익
률이 더 높아진다. 이것이 한국 측이 취하는 홍보, 마케팅과 수익간의 모델
이다. 베트남에서는 이와 반대되는 입장을 취한다. 그들에게는 극장 매출액
에서 선공제하는 P&A금액이 많아지면 손실 규모가 더 커지는 부담이 생긴
다. 이는 아직까지 베트남 영화산업의 수입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입장차이이다. 따라서 P&A비용 집행도 작품에 따라 신중하게 판
단해야 한다.81) 이를 위해서는 베트남 현지에 공신력있는 회계사를 고용하
여 전반적인 제작비 산정 및 집행과 수익, 분배를 투명하게 진행하는 것이
필수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한국영화가 베트남에 진출해서 성공할 수
있는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서 베트남의 영화산업과 베트남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베트남의 변화된 영화산업을 살펴보
았다. 이를 토대로 베트남에서의 한국영화 성공전략은 베트남 현지제작사와
의 공동제작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향후 변화된 환경에
서 새롭게 요구되는 공동제작 전략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80) 현리나, op.cit., p.51.
81) 윤하, op.cit., p.67.
- 62 -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본 연구는 한국영화가 베트남 영화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
략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진출 전략을 수립하
기 위해서 우선 한국영화의 베트남 진출 상황과 배경을 영화상영 서비스 분
야와 영화콘텐츠 분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베트남 영
화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베트남 영화시장에서 성공한 한국영화
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현재 베트남의 영화시장은 한국 영화상영 서비스와 한국영화콘텐츠의 활
약으로 큰 발전과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베트남의 영화시장은 빠른 성장
에도 불구하고 자국 영화 콘텐츠, 영화 교육시스템, 영화 제작시스템이 여전
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된 상황과 새롭게 도출된 문제들의 해결
방안을 모색한 본 연구의 논지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콘텐츠 차원에서 보자면, 현재 베트남 영화시장에서는 비슷한
패턴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쏟아져 나오고 있고, 현지 오리지널 콘텐츠의
부족으로 인하여 한국 로맨틱 코미디영화를 리메이크하는 실정이다. 베트남
에 진출한 대표적인 한국기업인 CJ E&M은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와
〈써니〉등을 리메이크한 〈내가 니 할매다〉와 〈고고 시스터즈〉로 흥행
을 이끌었다. 이 영화들은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의 내용에서 벗어나, 시공간
적 변화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내용으로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새로
운 재미를 베트남 관객에게 선보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외국영화의 콘텐츠를 그대로
리메이크하는 수동적인 제작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베트남 사회분위기와
정서를 반영한 각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
구하고, 한국에서 흥행한 영화의 판권은 비용부담이 높고, 이러한 시나리오
- 63 -
를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또한 베트남에는 영화
콘텐츠 개발회사와 교육기관이 아직 미비하다는 문제들이 확인된다. 따라서
콘텐츠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현지 제작사와의 협업과 현지의 역량
있는 시나리오(작가 등)를 찾는 게 우선적인 방안이다. 다른 방안으로는 아
직 영화화 되지 않은 영화시나리오 공모전, 단편영화, 웹툰 등의 콘텐츠를
찾아 영화화 하는 것이 있다.
둘째, 영화제작 시스템 차원에서 보자면, 베트남의 영화시장은 외국과의
공동제작으로 인해 많은 흥행영화를 배출하고 있지만, 현재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 지나치게 대기업에 의존하는 상업적인 추세를 따르는 실정이다. 이
에 대한 실례로 2015년 CJ E&M이 현지 제작사 HK film과 공동제작회사 C
J-HK Entertainment 를 설립해, 한국영화 〈수상한 그녀〉의 리메이크 영
화 〈내가 니 할매다〉를 흥행에 성공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한국제작
사가 베트남에 진출해서 공동제작회사를 설립한 첫 사례라 볼 수 있지만,
현지에 포진해 있는 영화관련 회사(계열사)들이 대기업에 수직구조 시스템
의 지배를 받는 종속적 관계를 보여준다. 그러하기에 현재의 상황은 일반적
으로 추진 할 수 있는 공동제작사의 형태가 아니라는 점을 연구 결과를 통
해 알 수 있다. 이는 베트남 영화시장에 진출해 한국영화가 성공 할 수 있
는 방법은 현지 제작사와의 공동제작이 바람직하다는 전제하에, 장기적으로
동등한 파트너십을 통한 수평적 협력구조로 나아가야 하는 전략 방안을 요
구한다. 본문에서 상술하였다 시피, 향후 추구해야 할 한국-베트남간의 공동
제작 방안은 1) 영화콘텐츠의 선택, 2) 현지 파트너의 선택, 3) 스태프 구성
에 따른 제작비 산정, 4) 양 측의 역할 분담, 5) 수익 정산 및 분배 등의 세
부 단계별 구체적 전략을 취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한국영화가 베트남에 진출해서 성
공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영화제작 주체와 베트남 현
지 제작 주체 간의 상호 이행을 전제로 한 수평적 공동제작이 가장 바람직
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64 -
5.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영화 산업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논문에서는 산업 현황을 객관적으로 다
루는 통계 데이터가 1차적인 자료일 것이다. 그러나 베트남 영화산업의 현
실은 이러한 1차적 통계 데이터의 수집 및 접근을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 산업 현황을 전담하는 전문 기관 및 집계 시스템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베트남 영화산업 정보는 공식적인 발표 자료가 없어 자
료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베트남
에서 개최한 세미나 자료, 현지 영화관계자들의 인터뷰, 조사 내용 등을 바
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 재구성하였다.
객관적인 산업현황 데이터의 미비함에 더하여, 베트남의 영화산업과 공동
제작에 관련된 기존의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점도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었다. 이 분야에 대한 유사한 관심은 현지 영화산업 관련 회사의
내부자료 및 종사자들의 개인적 경험에서 부분적으로 찾아야 했다.
현지 영화관계자와의 미팅에서 얻은 자료를 근거로 파악할 수 있었던 점
은 CGV와 롯데 시네마 등 멀티플렉스를 갖춘 영화관이 생겨나면서부터 비
로소 집계된 관객 수와 수익 등 통계에 관련한 수치들이다. 하지만 이 통계
는 각 기업들의 입장에서 내놓은 수치들이라 세부적인 항목은 알 수가 없었
다. 또한 공동제작과 관련해 만난 영화관계자들은 오랫동안 영화 산업에 종
사한 사람들이 아니라 체계가 잡혀있지 않았다.
기본 데이터 수집의 난점과는 별개로 본 연구의 또 다른 한계는 공동제
작영화 사례를 베트남 영화시장에만 한정 지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베트
남 진출 이전, 혹은 동시적으로 한국영화가 다른 나라의 영화산업에 진출하
고 공동제작을 추진한 경우는 이미 있어 왔다. 이들 기존 사례와 베트남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더라면 조금 더 입체적인 조망이 가능했을 것이다. 유
사한 진출 사례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공동제작의 공통된 문제와 베트남의
특화된 문제를 구분하여 접근하지 못한 점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 두고자
- 65 -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제약 및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베트남간의 공동제작
영화의 활성화와 지속적인 성공 전략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
을 하고자 한다.
첫째, 콘텐츠와 관객간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제까지의 콘텐츠-관객에 대한 논의나 연구는 단순한 영화콘텐츠의 가공이
나 이미 성공한 사례의 사후 설명에 머물렀다. 앞으로는 구체적으로 특정한
영화콘텐츠가 관객 라이프 스타일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역으로 관객
의 취향 변화가 어떠한 새로운 콘텐츠를 요구하는지에 대하여 깊이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작시스템의 제도적 차원에서 영화산업의 발전에 따른 영화제작시
스템 변화와 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 기존의 연구는 산업현황과 관련정책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이루어 졌
다. 향후에는 영화제작현장의 생생한 목소리가 연구에 반영되어서 보다 구
체적이고 실질적인 길잡이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글로벌한 프로젝트 기획의 일환으로 한국-베트남 공동제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동남아시아 문화권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연구 또한 고
려해야 할 것이다. 공동제작영화는 단지 참여한 양 국가의 영화시장만을 고
려한다면 여전히 시장규모와 이에 따른 제작규모의 한계를 지니게 마련이
다. 베트남은 가깝게는 라오스와 캄보디아, 미얀마, 태국, 더 나아가 동남아
시아 문화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베트남 영화산업에 대한 심
화된 연구는 동남아시아 영화산업 연구를 위한 토대가 되고, 이를 통해 한
국영화산업이 새로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데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66 -
참 고 문 헌
단행본:
강기명, 『극장은 콘텐츠로 말한다: 극장 콘텐츠 기획의 모든 것』, 서울 :
좋은땅, 2016.
영화진흥위원회, 『국제공동제작에 관한 연구』, 서울 : 영화진흥위원회,
2001.
영화진흥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한국영화 진출현황연구』, 서울 :
영화진흥위원회,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베트남 콘텐츠시장 규모 및 전망」, 서울 : 한국콘텐
츠진흥원, 2015.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시아 주요 6개국 문화콘텐츠산업 가이드북」,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하반기 3권」, 서울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학술지:
박경화, 문현주, 「한중 공동제작영화의 현지화 전략 연구-영화 <20세여
다시 한 번>을 사례로-」,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2016], 한중인문학회, 2016.
이충직, 「한국영화산업과 멀티플렉스의 역할」, 『영상예술연구』, 제20
권, 영상예술학회, 2009.
임도연, 김진영, 「베트남의 드라나 한류 재활성화를 위한 현지화 방안」,
『글로벌문화콘탠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글로벌문화
콘텐츠학회, 2018.
최은영, 「한국영화산업의 발전방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한국콘텐츠학회, 2008.
- 67 -
학위논문 :
고로, 『한중 공동제작 영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
상대학원 영상학과 영상예술학-영화이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육수현, 『제한된 문화자본으로서의 한국어: 베트남 청년세대의 사회이동
과 혼종적 주체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사
학위논문, 2015.
윤하, 『한국-베트남 영화 공동제작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학석
사 학위논문, 2017.
응왠티한융,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서비스요인이 고객의 소비가치 및 재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응웬 프엉 타오, 『베트남 관객의 영화 소비동기 및 소비행동에 관한 연
구: 베트남, 한국, 미국 영화 소비 비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신
문방송학과, 신문방송학 석사학위논문, 2015.
정재승, 『한중합작영화 <마음이2(싱싱리시엔지)>의 국제공동제작 연
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학과 영화기획전공 석사학
위논문, 2011.
주만, 『한중공동제작영화의 중국시장 진출 현황 및 전망 연구』. 중앙대
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문화콘텐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최방실, 『한국 영화극장의 변화와 발전에 대한 연구: 특별관을 중심으
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예술문화영상학과, 예술학석사 학위논문,
2016.
현리나, 『영화산업의 제휴파트너 선정에 관한 사례연구 : 한중 공동제작
영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국제경영전공 석
사학위논문, 2014.
황길남, 『영상콘텐츠 국제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정책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첨단영상학과 영상예술학-영상정책
및 기획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 68 -
신문기사 :
권영은, 「CJ CGV, 한국형 서비스로 최단 기간 관객 1000만명」, 『한국
일보』, 2016년 10월31일,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610302052202495
배은나, 「베트남 대학생들에 영화제작·시나리오 교육」, 『중앙일보』,
2018년 4월18일.
전자문헌:
Kotra 윤보나, 「베트남 웨딩 서비스시장, 키워드는 '파티'」, 2017.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globalBbsDataView.do
?setIdx=245&dataIdx=160337 (2018. 11).
Kotra 이동현, 「베트남 영화상영 서비스 시장, 한국 기업이 주도」, 2015,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
o?setIdx=243&dataIdx=144085 (2018. 11).
- 69 -
ABSTRACT
A Study on the Successful Strategies for
the Korean Movies to Enter the Vietnamese
Film Market
Lee, Jong Hoon
Department of Moving Imag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Vietnamese film market is one of the markets that should be n
oted next to Korea in Asia. The Vietnamese film industry turned to th
e privatization system of the film production companies and movie the
aters in the nationalization system, and foreign capital inflows and fore
ign film production companies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the penetr
ation of Korean movie screening services and the penetration of Korea
n movie contents have brought about rapid development of the Vietna
mese movie market, and also caused many changes. Looking at the cu
rrent Vietnamese movie market, Korean multiplexes have provided a n
ew culture of movie viewing and new leisure space, creating a Korean
romantic comedy boom. However, romantic comedy movies with simila
r patterns are pouring out and there is a remake of Korean romantic c
omedy movies due to lack of local original contents.
This study was aimed at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the advancem
ent of Korean movie contents into the Vietnamese movie market and t
he main goal of becoming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strategy for suc
- 70 -
cessful entry of Korean movie contents into the Vietnamese movie ma
rke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
ms of the Vietnamese movie market, and analyzed the successful Kore
an movie contents in the Vietnamese movie market, and review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Korean movie industry through CGV a
nd Lotte Cinema, We have analyzed the changed Vietnamese film prod
uction system as the case of CJ E&M co-production.
Through these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for the success of Kor
ean films in Vietnam, it is necessary to co-produce with horizontal pro
ducers in Vietnam, rather than the production system of large-scale ve
rtical structure. For this purpose, we need to take concrete strategies i
n detail, such as consultation in choosing movie contents, selection of l
ocal partners, estimation of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staff compositi
on, division of roles among partners.
Keyword : Korean Movie Screening Service, Korean Movie Contents, Vietnam Movie
Industry, Romantic comedy, Co-produced film
- 71 -